[전체] “이화대훈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2)
- 이화대훈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문화(古文化)』 7(韓國大學博物館協會, 1969) 이화대훈장 1900년 4월 칙령 제13호로 제정된 훈장.
- 이화대훈장(李花大勳章)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화대훈장 이화대훈장 李花大勳章 훈장(勳章) 금척대수장(金尺大綬章), 서성대훈장(瑞星大勳章), 훈장조례(勳章條例), 대훈위훈장(大勳位勳章) 정치인사/녹훈 물품 도구 대한민국 대한제국기 대한제국기 목수현상위어훈장(勳章) | 관련어금척대수장(金尺大綬章), 서성대훈장(瑞星大勳章), 훈장조례(勳章條例), 대훈위훈장(大勳位勳章)
- 서성대훈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2년 9월 추가로 제정, 반포된 훈장. [내용] 훈등은 대훈위에 속하고 무등이며, 이화대훈장(李花大勳章) 위에 있어 황친 및 문무관 가운데서 이화대훈장을 받은 자가 특별한 공이 있을 때 황제의 특지(特旨)로 수여하였다....
- 태극장(太極章)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태극장 태극장 太極章 훈장(勳章) 금척대수장(金尺大綬章), 이화대훈장(李花大勳章), 자응장(紫鷹章), 팔괘장(八卦章), 훈장조례(勳章條例) 정치인사/공신 물품 도구 대한민국 대한제국기 대한제국기 목수현상위어훈장(勳章) | 관련어금척대수장(金尺大綬章), 이화대훈장(李花大勳章), 자응장(紫鷹章), 팔괘장(八卦章), 훈장조례(勳章條例)
- 훈장조례(勳章條例)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훈장조례 훈장조례 勳章條例 훈장(勳章) 금척대훈장(金尺大勳章), 서성대훈장(瑞星大勳章), 이화대훈장(李花大勳章), 태극장(太極章), 팔괘장(八卦章), 자응장(紫鷹章), 서봉장(瑞鳳章), 훈장연금(勳章年金), 표훈원(表勳院) 정치인...상위어훈장(勳章) | 관련어금척대훈장(金尺大勳章), 서성대훈장(瑞星大勳章), 이화대훈장(李花大勳章), 태극장(太極章), 팔괘장(八卦章), 자응장(紫鷹章), 서봉장(瑞鳳章), 훈장연금(勳章年金), 표훈원(表勳院)
고서·고문서(4)
- 枢密院文書・枢密院高等官転免履歴書 大正ノ一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1907년 12월 27일부터 1909년 11월 17일까지 한국황태자(영친왕) 敎養掛로 일했다. 1908년 5월 5일 한국황제(순종)에게 梨花大勳章을 수령하고 패용을 허락받았다. 장신 2015. 10. 28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5. 10. 28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叙勲裁可書・明治四十一年・叙勲巻十二・外国勲章受領及佩用五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lt&BID=F0000000000000051082&ID=M0000000000000043189&TYPE=&NO= 樞密院顧問官 文学博士 子爵 末松謙澄이 순종황제로부터 韓國李花大勳章을 하사받은 후 일본 본국에 통보하면서 이를 패용하길 요청하고, 그 증거로 勳章, 書狀寫를...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7. 01. 20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叙勲裁可書・明治四十二年・叙勲巻九・外国勲章受領及佩用五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0000000000051122&ID=M0000000000000043460&TYPE=&NO= 海軍中將 男爵 出羽重遠이 순종황제에게 韓國李花大勳章을 하사받고, 統監府參與官 荒井賢太郞이 韓國勳一等太極章을 하사받자 이를 일본 본국에 통보하면서 패용하길 요청하고, 그 증거로...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7. 01. 26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叙勲裁可書・明治四十二年・叙勲巻六・外国勲章受領及佩用二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000000000000051119&ID=M0000000000000043444&TYPE=&NO= 陸軍大將 男爵 大久保春野가 순종황제로부터 韓國李花大勳章을, 陸軍步兵大佐 山本延身이 韓國勳二等八卦章을, 陸軍一等主計 石井斧三이 韓國勳四等八卦章을, 勳六等 中田三郞이 韓國皇帝...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7. 01. 25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주제어사전(3)
-
이화대훈장 / 李花大勳章 [역사/근대사]
1900년 4월 칙령 제13호로 제정된 훈장. 훈등은 대훈위에 속하고 무등이며 태극장 위에 있어, 문무관 중 태극1등장을 받은 자가 특별한 공을 세웠을 때 황제의 특지로 수여하였다. 패용시 정장이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옆구리로 드리우게 되어 있는 데 반하여, 부장은 왼
-
서성대훈장 / 瑞星大勳章 [역사/근대사]
1902년 9월 추가로 제정, 반포된 훈장. 훈등은 대훈위에 속하고 무등이며, 이화대훈장 위에 있어 황친 및 문무관 가운데서 이화대훈장을 받은 자가 특별한 공이 있을 때 황제의 특지로 수여하였다. 패용할 때는 정장이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허리에 드리우고 부장은 왼쪽
-
태극장 / 太極章 [역사/근대사]
1900년 4월 칙령 제13호로 제정된 훈장. 훈등은 훈에 해당하고 이화대훈장 아래에 있으며, 1등에서 8등까지의 등차를 두었고, 문무관 중에서 공훈에 따라 수여하였다. 1등의 정장은 대수로서 오른쪽 어깨에서 왼쪽 허리에 드리우고, 부장은 왼쪽 가슴에 단다. 2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