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홍준” 에 대한 검색결과 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7)

고서·고문서(45)

  • () 내성동약(奈城洞約)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일종의 동약(洞約)이라 하는데 16세기 전후 내성현호평촌(虎坪村)에 거주하던 ()이 중심이 되어 결성한 동약은 현재 남아 있는 우리나라의 동약 자료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자료에는 당시 동약의 결성의의를 언급한 의 서문(序文), 죄질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계문서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1881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구례 오미 문화유씨 운조루
  • 1756년 이종서(李宗緖)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756년(영조32)3월 4일에 이 이종서에게 고당평의 논 2두락 2야미(부수: 7부1속)를 18냥에 팔면서 작성한 토지거래문서이다.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全羅道庄土文績_제22책 : 全羅南道順天郡所在庄土明禮宮提出圖書文績類 77. 咸豊九年-己未-十月十三日幼學車致規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39.8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859년(철종 10) 10월 13일 李昌煥 답주 李昌煥 답주 車致規 幼學 車致規 幼學 전라 장성 읍서 新洑 전라도 장성(군/현) 읍서(면/방) 新洑...
    자료명全羅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京畿道庄土文績_제55책 : 京畿道楊州郡眞官里庄土明禮宮所管圖書文績類 91. 順治四年-丁亥-十二月初三日平海令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50x32.1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무, 수결 1647년(인조 25) 12월 3일 李忠達 幼學 전주 李忠達 幼學 전주 平海令 平海令 李惟新 경기 양주 동면 眞官 경기도 양주(군/현) 동면(면/방) 眞...
    자료명京畿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12)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第一酒店) 서울 第一酒店 鍾路 3-61 요리_음식점 - 조선 주점 - 27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弘俊(第一酒店) | 지역서울 | 품목요리_음식점 | 영업종목조선 주점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외자도입행정에 대한 고찰 (2) 7 Viet-Num 외환관리개관 (1) 14 수출대금 회수기간의 연장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 조선출판경찰월보 054호 대중일기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54호 대중일기 대중일기(大衆日記) 제4호 미기재 () 원산(元山) 조선_1933년 2월 14일 불허가 미기재 한국어 대중일기, 프롤레타리아 프롤레타리아와...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54호 대중일기 | 출판물명대중일기(大衆日記) 제4호
  • 외자도입 행정에 대한 고찰 (4) 9 미국의 통화정책제도상의 제문제 (2) 19 Viet-Num 외국환관리개관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 현행 환율의 구조 조동선 9 동경통신 진경득 17 OSROK 대 SHIBAKAWA LUMBER Co의 배상청구사건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5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생졸년 미상. 부친은 이시민, 형은 이종준이다. 1486년(성종 17) 진사시에 합격, 후진교육에 힘썼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가 일어나 중형이 화를 당한 후 가족과 함께 영천의 두암에 은거하였다. 1652년(효종 3) 백록리사에 제향되었다. 저술로 그의 형

  • 고평 / 高平 [역사/근대사]

    1886-미상.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 본관은 제주(濟州)이고, 본적은 전라북도 정읍(井邑)이다. 1918년 2월 중국 국자가(局子街) 하장리(下場里) 연길(延吉) 도윤공서(道尹公署) 외교과원 박동원(朴東轅)의 집에서 ()·이성근(李聖根)·김영학(金永學

  • 김신근 / 金信根 [역사/근대사]

    연사로 활동하였고, 간도(間島) 국자가(局子街)의 ()·이성근(李聖根)·박동원(朴東轅)·김영학(金永學), 용정촌의 김정(金精), 팔도구(八道溝)의 유예균(劉禮均), 평강(平康)의 고동환(高東煥) 등이 조직한 광복단(光復團)의 대한독립기성총회(大韓獨立期成總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