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현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7)
사전(18)
- 이현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1867년(고종 4) 4월에 이조참의(吏曹參議)에 임명되었으며, 1869년에는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이 되었다. 1871년에는 승정원 예방승지(禮房承旨), 1873년 우승지가 되었...
- 이현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96∼1970. 독립운동가. [내용] 일명 승림(承林). 함경남도 단천 출신. 1905년 만주로 이주하였으며, 1920년 김숙림(金肅林)ㆍ윤세복(尹世復)ㆍ김성규(金星奎) 등과 백두산 서남쪽 무송현(撫松縣)에서 흥업단(興業團)을 조직, ...이칭별칭승림(承林)
- 정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현익(李顯益)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773년(영조 49) 이현익의 손자 이상진(李商進)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김양행(金亮行)의 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20권 10책. 목판본. 규장...
- 박춘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39∼1920. 조선 말기의 무관. [내용] 장로교 교인. 평양 중군(中軍) 이현익(李玄益)의 부하이다. 1866년(고종 3) 7월 미국 상선 제너럴셔먼호사건 때 억류된 이현익을 구출한 용맹으로 유명하며, 이 일로 오위장(五衛將)과
- 신태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朴珪壽)의 명으로 중군(中軍) 이현익(李玄益)과 함께 셔먼호에 승선하여 당시 상선의 통역으로 있던 선교사 토머스와 회견을 가졌다. 여기에서 천주교와 야소교(耶蘇敎)는 모두 나라에서 국법으로 금지된 것이며, 교역요청도 함부로 허가할 수 없으니 즉시 물러갈 것을 요...
고서·고문서(127)
- 임신년 이현익(李鉉翊) 위장(慰狀)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위장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위장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주역대전 : 해제_18. 이현익(李顯益)의 주역설(周易說)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주역대전 58 해제 18. 이현익(李顯益)의 주역설(周易說) 조선의 후기 학자 이현익(李顯益, 1678~1717)의 저술이다. 저자의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자는 중겸(仲謙)이며, 호는 정암(正菴)이다.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후손이고 이홍(李泓...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1863년 기양연(奇陽衍)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63년(철종14) 9월 5일에 기양연(奇陽衍)이 아버지 기윤진(奇允鎭)에게 서울에서 보낸 편지이다. 시험을 기다렸다가 볼 것을 생각하고 있으며, 영광군수(靈光郡守)로 이현익(李玄翊)이 정해졌다는 소식 등을 전하고 있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장성 행주기씨 금강종가
- 거문도(巨文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801 B017801 거문도 巨文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高宗 24年 7月 19日_018 ○兵批, 判書以下缺。 知事作闕單李玄翼, 知事單尹滋悳, 同知單林龜成, 副司果徐宜相·柳長煥·高大奎, 巨文島鎭水軍僉節制使兼守防將單申錫孝, 巨文島鎭管古今島水軍同僉節制使單李秉喜,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거문도(巨文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803 B017803 거문도 巨文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高宗 24年 7月 19日_018 ○兵批, 判書以下缺。 知事作闕單李玄翼, 知事單尹滋悳, 同知單林龜成, 副司果徐宜相·柳長煥·高大奎, 巨文島鎭水軍僉節制使兼守防將單申錫孝, 巨文島鎭管古今島水軍同僉節制使單李秉喜,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정암 이현익의 사단칠정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선열, 게재일 : 201662765 이선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율곡학회 2016 정암 이현익의 사단칠정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16
기타자료(1)
- 이현익;李鉉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1459 남한 경성 배재고등보통학교 1-27 배제 제5호 1924 108면 1. 동창생 씨명 및 주소 (가나다 순);18) 고등보통학교 제4회 이현익;李鉉翊 (주소및현황)경성부 의주통2정목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배재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이현익 / 李顯益 [종교·철학/유학]
1678년(숙종 4)∼1716년(숙종 42). 조선 후기 문신. 이여 후손, 증조는 이형, 조부는 이시휘이다. 부친 이홍과 모친 박선의 딸사이에서 3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이현정과 동생 이현태가 있다. 익위사세마·왕자사부·종부시주부·공조좌랑·진안현감 등을 역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