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현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5)
사전(62)
- 농암사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운곡리 에 있는 농암(聾巖) 이현보(李賢輔)의 신위를 봉안한 사당. [내용]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31호. 사당은 종가 뒷편 기슭에 위치하였으며, 내부 평면은 전면 3칸, 측...연계항목농암사당(聾巖祠堂)
- 이현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농암(聾巖)의 시가관(詩歌觀)」(유증선, 『시문학』4, 1959) 이현보 초상 조선 중기의 문신 이현보를 그린 초상화. 95㎝x120㎝. 비단에 채색. 보물 제872호. 개인 소장. 이 초상화...이칭별칭 비중(?仲)| 농암(聾巖), 설빈옹(雪?翁)| 효절(孝節)
- 이현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79(숙종 5) ∼?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덕승(德升). 만상(萬相)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봉조(鳳朝)이고, 아버지는 정신(正臣)이며, 어머니는 유이진(柳以震)의 딸이다. 1723...이칭별칭 덕승(德升)
- 李賢輔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532 李賢輔 인물 聾巖, 登第, 淸節, 自勵, 參判, 搢紳, 出餞, 盛事, 愛日堂, 奉親, 優遊, 山水, 自娛, 士大夫, 名節, 知中樞 燕山戊午 永川, 湓川 棐仲, 孝節 D_10_01_24 대동운부군옥 10권 1장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0권 1장 2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긍구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고려 말에 창건하여 접객별당으로 사용하던 것으로, 그 뒤에 이현보(李賢輔)가 중수하여 당호(堂號)를 긍구당이라 하였다고 전한다. 정면 3칸, 측면 2칸에 서북으로 한칸의 방을 덧붙여 ㄴ자형으로 배치하였는데, 방은 모두 뒤편에 두고 전면 3칸은 누마루로 꾸몄...연계항목긍구당(肯構堂)
고서·고문서(80)
- 1498년 이현보(李賢輔) 홍패(紅牌)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498년 4월에 성균생원 이현보가 문과 병과 제20인으로 급제하였음을 증명하는 문서이다. 문과의 선발인원은 33명으로 각각 갑과에 3명, 을과에 7명, 병과에 23명을 선발하는데, 이현보는 전체 선발인원 가운데 30번째로 선발된 것이다. 그리고 이현보가 치룬 시험은...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홍패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홍패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501년 이현보(李賢輔)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501년 4월에 이조에서 연산군의 명령을 받아 권지교서관부정자인 이현보를 종사랑 행 영흥훈도에 임명한 문서이다. 1498년 5월 10일에 임명하는 명령이 있었지만 3년 뒤에 이 문서를 발급 받았다. 영흥은 조선시대 중앙직할지인 한성부를 비롯한 5개의 부 가운데 하나...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502년 이현보(李賢輔)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502년 10월에 승사랑 행 예문관검열 겸 춘추관기사관인 이현보를 통사랑 행 예문관검열 겸 춘추관기사관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연산군의 명령을 받은 것은 9월 25일이고 문서 발급은 10월에 이루어졌다. 예문관은 관원의 사령서를 작성하는 업무를 관장하는 관청이고, 춘...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504년 이현보(李賢輔)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504년 1월에 선무랑 수 성균관전적인 이현보를 선무랑 수 세자시강원사서에 임명하는 문서이다. 1월 17일에 내린 명령을 이조에서 받들어 이 문서를 내린 것이다. 세자시강원은 왕세자에게 경서와 사적을 강의하고 도의를 가르치는 관아이다. 선무랑은 종6품 하계이고, 사...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504년 이현보(李賢輔) 고신(告身)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504년 2월에 연산군의 명령을 받아 이조에서 선무랑 수 성균관전적인 이현보를 선무랑 수 세자시강원사서에 임명한 문서이다. 이조에서 1월 17일에 이현보를 세자시강원사서에 임명한다는 명을 받들어서 2월에 발급한 것이다. 영천이씨 농암종택에는 이 문서와 내용이 같은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기초학문(1)
- 初期 士林派의 정치적 좌절과 退溪學 - 李賢輔?李彦迪?周世鵬을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기주, 게재일 : 200930555 김기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양명학회 2009 初期 士林派의 정치적 좌절과 退溪學 - 李賢輔?李彦迪?周世鵬을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1)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일화를 소개한 글 이현보(李賢輔), 어부사(漁父詞), 권벌(權撥), 김정국(金正國), 이언적(李彦迪) 조양보번역문.pdf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9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기타자료(1)
- 신라 효공왕이 당 소종에게 올린 謝恩表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仰天慈 故昔遠祖政明 仰求禮記 玄宗聖帝別賜孝經 灼見化成著於實錄臣謹案記曰 子孫之守宗廟社稷者 其先祖有善而弗知不昭也 知而不傳 不仁也 又據經曰 立身揚名 以顯父母 孝之終也 臣以亡祖贈大師凝 頃遇咸通中 化行而天下同風 德被於海隅出日 東暆跼跡 北極馳心 守遐蕃而莫遂觀周 奉儒道而唯期至魯...대표표제어신라 효공왕이 당 소종에게 올린 謝恩表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14)
-
이현보 / 李賢輔 [종교·철학/유학]
1467(세조 13)∼1555(명종 10). 조선 중기의 문신·문인. 아버지는 흠이다. 홍귀달의 문인이다. 1498년(연산군 4)식년문과에 급제, 예문관검열·춘추관기사관·예문관봉교 등을 거쳐, 1504년(연산군 10) 38세 때 사간원정언이 됐다. 이때에 서연관의 비행
-
어부가도산곡 / 漁父歌陶山曲 [언론·출판/출판]
집부(集部) - 사곡류(詞曲類) 이현보(李賢輔), 이황(李滉) 저, 목판본, 간사년미상, 불분권 1책(어부가 6장, 도산곡 6장). 농암 이현보의 어부가(漁父歌) 9장과 퇴계 이황의 도산(陶山) 12곡이 실린 책이다. 이 곡에 관한 내용을 담은 농암과 퇴계의 초서체
-
생일가 / 生日歌 [문학/고전시가]
1553년(명종 8)이현보(李賢輔)가 지은 시조. 1553년(명종 8) 이현보(李賢輔)가 지은 시조. 작자의 문집인 『농암집 聾巖集』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의 87세 생일에 인근의 노인들과 벼슬아치들을 초빙하여 정연을 베푼 자리에서 지은 노래이다. 벼슬을 사퇴한 뒤의
-
분강가단 / 汾江歌壇 [문학/고전시가]
16세기 중반 이후 이현보(李賢輔)를 중심으로 분강에서 이루어진 시가 모임. 분강가단은 16세기 중반 이후 경상도 예안의 분강에서 이현보(1467∼1555)를 중심으로 시회를 즐기고 뱃놀이를 하면서 강호의 즐거움을 누린 일군의 시가활동을 말한다. 이현보는 벼슬살이에서
-
선반가 / 宣飯歌 [문학/고전시가]
1527년(중종 22)이현보(李賢輔)의 어머니가 지은 시조. 『농암문집(聾巖文集)』에 수록되어 있다. 이현보가 26세 때 동부승지로 말미를 얻어 어머니를 뵈러가게 되자, 그 소식을 들은 이현보의 어머니가 지었다. 일찍 부모를 여읜 이현보의 어머니는 외삼촌인 문절공(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