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헌락” 에 대한 검색결과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

사전(3)

  • 약남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50년 의 후손 이경희(李景羲)가 편집‧간행하였다. [서지적 사항] 7권 3책. 목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계명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 농수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 중간한 것이다. 권두에 권엄(權儼)의 초간서(初刊序)가 있고, 권2에 이중구(李中久)의 중간서(重刊序)와 권말에 김재인(金載人)‧()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42수, 서(書) 15편, 부록인 권섭서도망작(權葉西悼亡作)‧...
    이칭별칭농수유고(農?遺稿)
  • 정간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초기의 문신 허후(許詡)의 시문집. [내용] 불분권 1책. 목활자본. 1890년(고종 27) 후손 종두(宗斗)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미(李瀰)의 서문이, 권말에 ()‧남용만(南容萬)‧종두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

고서·고문서(6)

  • 3 第三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25년_웅촌면(熊村面) 1825년 웅촌면(熊村面) 第十六巖谷里 3 第三統統首 第一戶 忠翊年肆拾貳甲辰本慶州父化國祖嘉善雲三曾祖折衝興碩外祖通政李泰玉 本全州妻김姓年肆拾丙午本김海父聖觀祖泰興曾祖通政愛先外祖宋萬郁本懷德女召史年 拾丙子等壬午戶口相准...
    연도_면이름1825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十六巖谷里
  • 일녕선생실기(一寧先生實紀)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개인-전기-행장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1923년 경주향교(慶州鄕校) 답통문(答通文)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럼 정조는 그를 가선대부병조참판으로 추증하고, 표충각을 세워 그의 공로를 드러나게 하였다. 그리고 이팽수의 공로는 본 통문에서 말하는 것처럼 채제공, 권상일, 이헌경, , 홍량호, 김상집, 정존람 등 당시의 기라성 같은 인물들의 묘갈명, 묘지명, 초혼사, 초혼묘시...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경주 옥산서원
  • 활산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나라를 향한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고 있다. 答李景淳 (19) (1718∼1791)에게 답한 書로, 자신이 궁벽한 구석에 거하면서 사람들과 거의 만나지 않고, 또 귀를 막고 듣지 않으려고 해도 거짓되고 헐뜯는 말이 생긴다는 것과 근거없이 남북 두 곳 사이에서...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화계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인품과 세상의 성쇠에 따라 달라지므로 지나치게 자신의 기준만을 고집할 필요는 없다고 하며, 伏羲易과 불교 서적을 읽고 있다는 것에 대해 어떤 책을 말하는지 묻는 내용. 與趙監司書 (9) 趙明鼎에게 보내는 편지. 지난 겨울 을 통해 안부를 전해듣고 금년의 慘禍...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18∼?). 1748년 학행으로 천거되어 강릉참봉이 되었다. 이후 평양봉사를 거쳐 의금부도사와 사포서별제, 하양현감이 되었고, 1776년 익위사익위를 거쳐 상의원주부·함창현감 등을 지냈다. 문집으로《약남집》이 있다.

  • 농수문집 / 農叟文集 [종교·철학/유학]

    것이다. 권두에 권엄(權儼)의 초간서(初刊序)가 있고, 권2에 이중구(李中久)의 중간서(重刊序)와 권말에 김재인(金載人)·()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42수, 서(書) 15편, 부록인 권섭서도망작(權葉西悼亡作)·묘지명, 권2에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