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헌경” 에 대한 검색결과 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1)

사전(2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19(숙종 45)∼1791(정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초명은 성경(星慶), 자는 몽서(夢瑞), 호는 간옹(艮翁). 제화(齊華)의 아들이다. 재주가 뛰어나 6, 7세에 벌써 문장을 이루었다. ...
    이칭별칭 몽서(夢瑞)| 간옹(艮翁)|성경(星慶)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51(철종 2)∼?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부평(富平). 자는 용칠(容七). 현감 연광 (演光)의 아들이며, 연삼(演參)에게 입양되었다. 1874(고종 11) 증광시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이세화(李世華)의 사손(祀孫)으로...
    이칭별칭 용칠(容七)
  • 천학문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 지은 천주교 배격의 척사론서(斥邪論書). [내용] 은 척사론자인 안정복(安鼎福)과 같은 시대 사람으로 안정복의 『천학문답』과 똑같은 제목으로 글을 써서 천주교를 비판하였다. 그 요지는 유교의 상제...
  • 경재실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말의 충신‧학자 홍로(洪魯)의 실기. [편찬/발간 경위] 1790년(정조 14) 홍로의 후손 홍희우(洪羲佑)‧홍철우(洪哲佑)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허조(許稠)‧정원교(鄭元敎)‧홍병훈(洪炳勳)의 서문이 있고,...
  • 덕곡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들의 명단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주요경전과 주석서를 비롯하여 『상헌수필(橡軒隨筆)』ㆍ『호유록(戶牖錄)』ㆍ『계방일기(桂坊日記)』ㆍ『덕곡기문(德谷記聞)』 등을 인용하는 한편, 각 주제별로 이익(李瀷)ㆍ채제공(蔡濟恭)ㆍ황덕길(黃德吉)ㆍ()ㆍ권철신(...

고서·고문서(51)

신문·잡지(7)

  • 이월 칠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죵이품 으로 시강원 부쳠를 임다
    게재일1899년 2월 8일 | 기사분류관보
  • 삼월 이십오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죠왈 시강원 부쳠 을 명야 궁부 특진관을 으라 시다
    게재일1899년 3월 27일 | 기사분류관보
  • 쟝례원소경 홍승목으로 특진관을 명고...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쟝례원소경 홍승목으로 특진관을 명고 경효뎐뎨됴 김영뎍으로 쟝례원소경을 명고 특진관 으로 경효뎐뎨됴을 명다(이샹 월오일)
    게재일1901년 4월 9일 | 기사분류관보
  • 십팔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시강원 부쳠 은 가의를 승고 쟝례원상례 죠기하 삼품을 승다 부협판 민병한으로 경무 무셔리를 명다 봉상 쥬 원 운갈닌에 쟝레원우쟝례 김셕룡으로 임고 륙품 윤하영으로 우쟝례를 임다
    게재일1899년 2월 20일 | 기사분류관보
  • 십삼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죠셔샤 죵이품 민형식으로 즁츄원 일등 의관을 명옵시고 죵이품 민경호로 궁부 특진관을 명옵시고 졍이품 민죵묵과 죵이품 으로 즁츄원 일등 의관을 명옵시고 졍이품 김병익과 죵이품 민치헌 윤상연 리죵직으로 다 즁츄원 일등 의관을 명옵시고 죵일품 유한즁으로 즁...
    게재일1898년 9월 14일 | 기사분류관보

주제어사전(9)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19∼1791). 영조 때 진사로서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정언·사서·지평·사간·집의·수찬이 되었다가 교리로 옮겨 시독관을 겸임하였다. 정조 때 동부승지·참찬관·대사간·한성부판윤이 되어 기로소에 들어갔다. 저서로는《간옹집》24권이 있다.

  • 권종락 / 權宗洛 [종교·철학/유학]

    미상∼1819년(순조 19). 조선 후기 학자. 죽림공 권산해 후손, 부친 권익수와 모친 이주윤의 딸 월성이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간재 의 문인으로 경전의 뜻을 익혔으며, 함께 깊이 교유한 인물로는 번암 채제공, 이계 홍양호 등이 있다. 영주 금성단과 영월 창

  • 신광하 / 申光河 [종교·철학/유학]

    1729(영조 5)∼1796(정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호, 어머니는 이천령의 딸이다.1751년(영조 27)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조경묘참봉, 공조참의, 첨지중추부사, 죄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목만갑··정범조 등과 함께 당대 사문장으로 꼽히

  • 경재실기 / 敬齋實紀 [종교·철학/유학]

    고려후기 학자 홍로의 유고와 행장·묘갈명 등을 수록하여 1790년에 간행한 실기. 1790년(정조 14) 홍로의 후손 홍희우(洪羲佑)·홍철우(洪哲佑)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허조(許稠)·정원교(鄭元敎)·홍병훈(洪炳勳)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정

  • 경은실기 / 耕隱實紀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문신 이맹전의 유고와 행장·묘갈명 등을 수록하여 1816년에 간행한 실기. 3권 1책. 목판본. 1816년(순조 16) 후손 인백(仁伯)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과 권말에 유심춘(柳尋春)·신면주(申冕周)의 발문이 있다. 연세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