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해” 에 대한 검색결과 28,48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900)

사전(6,099)

  • 경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금속활자본. 1916년 후학 권보상(權輔相)에 의하여 편집, 간행되었다. 서는 없고 권말에 권보상의 발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31수, 부(賦...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문신. [내용] 1380년(우왕 6) 12월 예의판서(禮儀判書)로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권중화(權仲和)와 함께 명나라에 들어가 금 300냥, 은 1,000냥, 말 450필, 베 4,500필을 바치고 시(諡)와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31(중종 26). 조선 중기의 무신. [내용] 1510년(중종 5) 군기시직장(軍器寺直長)으로 재직하였고, 1514년 감찰(監察)에 제수되었으나, 1510년에 일어났던 삼포왜란 당시 왜적이 웅천성(熊川城)을 포위했을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상도진휼경차관(慶尙道賑恤敬差官)ㆍ좌승지ㆍ도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1544년에 첨지중추부사ㆍ대사헌ㆍ대사간ㆍ예조참판을 지내고, 또다시 대사헌이 되었다. 인종이 즉위한 뒤에도 계속 대사헌으로 있으면서 권신 이기(李芑)를 우의정에 탁용(擢用 : 발탁하여 등용함)...
    이칭별칭 경명(景明)| 온계(溫溪)| 정민(貞敏)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숙종실록(肅宗實錄)』 『조야집요(朝野輯要)』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1670) ?∼1670(현종 11)....
    이칭별칭 자연(子淵)| 농옹(聾翁)| 충정(忠靖), 충민(忠敏)|함릉군(咸陵君)

단행본(43)

  • 저자 : 강경태(신라대학교 해외한국학지원센터 센터장), 전동진(신라대학교 국제학부 교수)... | 출판사 : 세종출판사 | 출판일 : 2011.08.25
    분야교육 | 유형단행본
    제1장.세계 속의 한국 (1)세계화와 한국 (2)한국의 세계적 현대성과의 충돌 제2장.한국 사회변화의 주요 특징과 요인 (1)미국의 안보우산과 경제성장 (2)경제
  • 저자 : 강경태(신라대학교 글로벌한국학센터 센터장), 이송희(신라대학교 사학과 교수), 정미숙(신... | 출판사 : 세종출판사 | 출판일 : 2012.04.27
    분야교육 | 유형단행본
    제1장.선사시대와 고조선 (1)한국역사의 시작(B.C. 50만~B.C.1세기) (2)고조선‧최초의 국가 (3)삼한시대 제2장.삼국‧남북국시대 (1)삼국시대(B.C
  • 저자 : 이성규(단국대학교), 복기대(인하대학교)... | 출판사 : 두솔 | 출판일 : 2013.10.30
    분야역사 | 유형단행본
    1. 홍산문화 연구사 2. 홍산문화 개관 3. 홍산문화 유적 및 유물 분석 4. 홍산문화의 기원과 관련 문화들과의 관계 5. 요서 지역의 생태환경과 홍산문화의 인류학적 고찰
  • 저자 : 강경태(신라대학교 해외한국학지원센터 센터장), 신군재(신라대학교 무역학과 교수), 정쾌영... | 출판사 : 세종출판사 | 출판일 : 2011.08.25
    분야교육 | 유형단행본
    제1장.한국의 초기 경제상황 (1)개설 (2)한국전쟁과 경제기반의 붕괴 (3)사회적 여건 제2장.한국경제의 성장과정 (1)시대별 주요 경제정책과 성과
  • 한국 명작의 와 감상 [외국 한국(어문)학과 대학생을 위한 교재 개발 | 復旦大學 (Fudan University)]
    저자 : 황현옥... | 출판사 : 문예원 | 출판일 : 201611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논문(15)

고서·고문서(9,106)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리해 김 여자 경상북도 예천군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이하 한자 잘 모르겠음) 7 2 리해, 격동, 비분...
    대표표제어리해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리해 김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심하구(沈河区) 7 6 리해, 발언, 절목, 축구팀, 일본, 눈시울, 륙천만...
    대표표제어리해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권 남자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우홍구(于洪区) 대영공사 2 2 , 헤여진, 이산가족, 최선에, 힘...
    대표표제어이해 | 성씨
  • 친형제친혈육, 40년, 소식, 죽엇는지, 꿈결, 그리워, 친형제, 목소리, 잠, 이르지못하고, 기다리게, 리산가족, 소원, 다시한번, 부탁, 욕심, 과도, 부탁, , 고생, 리산가족, 저에친형님들, 초청, 신체, 좋지못합니다, 중화인민공화국, 요녕성, 반금시, 쌍태...
    대표표제어리해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리해 김 남자 경상남도 거제시 길림성(吉林省) 길림시(吉林市) 교구(郊区) 강북향 3 3 리해, 시정부, 요청,...
    대표표제어리해 | 성씨

구술자료(231)

  • 심 깊은 삼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의 이야기 말미에 사람이 너무 청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강조한 뒤 그 이야기를 부연하려는 듯 이해심 많은 시어머니 며느리 손자간에 일어난 짧은 얘기를 덧붙였다.*
    조사일시1984-02-09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 제보자신성균
  • 심이 깊은 새신랑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제보자더러 다른 사람들 이야기만 듣지 말고 하나 해 보라고 하자 한참 동안 망설이다가 끄집어 내었다. 청중들도 공감해 가며 들었다.*
    조사일시1984-07-25 | 조사장소경상남도 울주군 언양면 | 제보자박정상
  • 부인을 하는 꼬마신랑의 마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서 제보자가 한 이야기에 청중과 조사자들이 잘한다고 칭찬을 했다. 조사자가 다시 꼬마신랑 이야기를 청하자 어른들에게 들은 이야기가 있다면서 곧장 구연을 시작했다.
    조사일시2010. 2. 10(수) | 조사장소경상북도 문경시 영순면 이목리 375번지 노인회관 | 제보자김분이
  • 중국(한국계)_리하이리엔(연)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2018_031_중국B_01_리하이리엔(연) 리하이리엔(연) 중국(한국계) 리하이리엔(연) [중국(한국계), 여, 1982년생, 결혼이주 10년차] 리하이리엔 제보자는 1982년 중국 하얼빈에서 태어났다. 2008년에 아버지를 따라 이주했고, 5년 전에
    원국적중국(한국계)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07_267 전북 전라북도 장수군 전라북도 장수군_모노래 곡풍 모노래 곡풍 논훔치는 소리 전라북도 장수군 장계면 대곡리 지성 2015.7.20 素2015-7-20 관(1942년 충청도 출생.남.조실부모하고 17세에 지성마을 입촌) 이소라 이소라 무후렴 모노
    녹음지역전라북도 장수군 장계면 대곡리 지성 | 녹음날짜2015.7.20 | 가창방식선입후제창, 또는 독창

기초학문(1,136)

  • 와 체계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재호, 게재일 : 2005
    11530 안재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서철학연구회 2005 와 체계화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9b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와 철학상담: 의 열림과 닫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서동은, 게재일 : 2013
    45185 서동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해석학회 2013 와 철학상담: 의 열림과 닫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복의 불교철학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윤호, 게재일 : 1999
    09940 조윤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전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9 복의 불교철학적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
    유형논문 | 게재일1999
  • 李覯의 經世論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정병석, 게재일 : 2000
    09210 정병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철학연구회 2000 李覯의 經世論的 釋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
    유형논문 | 게재일2000
  • 신뢰의 윤리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1
    50032 한국연구재단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1 신뢰의 윤리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
    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3,103)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쥬뎐원경 리근호씨가 작일 입셩고로 셔리경 리죵건씨 곳 임이되엿더라
    게재일1906년 6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條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미국공 안련씨가 셩에 슈도노흘 건으로 궁부와 됴약하다가 미결하엿데 그에 담보하랴든 관을 법국에 뎐당 한다든일에 하야  죠회하고 반하엿다하더니 안련씨가 그됴약하든 공문을 다 외부로 보다더라
    게재일1901년 6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善(善) 서울 善 禮智町 81 청부업 - 토목 청부 70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海善(李海善) | 지역서울 | 품목청부업 | 영업종목토목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善(善) 서울 善 永登浦町 466 포백류 - 포목(布木) 소매 4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海善(李海善) | 지역서울 | 품목포백류 | 영업종목포목(布木)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範(範) 서울 範 武橋町 13 금융 - 금융 - 26.7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海範(李海範) | 지역서울 | 품목금융 | 영업종목금융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멀티미디어(7,012)

  • 《경민편》의 _3주차_1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새로 읽는 한국의 고전 새로 읽는 한국의 고전 (1) 한국 고전의 를 통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도를 높인다. (2) 한국 고전의 감상을 통해 고전의 본질
    강좌제목새로 읽는 한국의 고전 | 강의자황재문 (대표)교수
  • 《경민편》의 _3주차_2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새로 읽는 한국의 고전 새로 읽는 한국의 고전 (1) 한국 고전의 를 통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도를 높인다. (2) 한국 고전의 감상을 통해 고전의 본질
    강좌제목새로 읽는 한국의 고전 | 강의자황재문 (대표)교수
  • 《경민편》의 _3주차_3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새로 읽는 한국의 고전 새로 읽는 한국의 고전 (1) 한국 고전의 를 통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도를 높인다. (2) 한국 고전의 감상을 통해 고전의 본질
    강좌제목새로 읽는 한국의 고전 | 강의자황재문 (대표)교수
  • 《경민편》의 _3주차_4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새로 읽는 한국의 고전 새로 읽는 한국의 고전 (1) 한국 고전의 를 통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도를 높인다. (2) 한국 고전의 감상을 통해 고전의 본질
    강좌제목새로 읽는 한국의 고전 | 강의자황재문 (대표)교수
  • 《경민편》의 _3주차_5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https://keka.snu.ac.kr/) 새로 읽는 한국의 고전 새로 읽는 한국의 고전 (1) 한국 고전의 를 통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도를 높인다. (2) 한국 고전의 감상을 통해 고전의 본질
    강좌제목새로 읽는 한국의 고전 | 강의자황재문 (대표)교수

연구결과보고서(1)

기타자료(1,154)

  • 정;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996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66면 (38) 제36회 163명(1940년 3월 졸업) 정;晶 경성법학전문학교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승;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997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66면 (38) 제36회 163명(1940년 3월 졸업) 승;昇 경성 보성전문학교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254 남한 경성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1-18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80면 동;東 경성부 食糧配給組合 제11회 1936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494 남한 경성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1-18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94면 창;昌 경기도 안성군 안성면 서리 285 제13회 1938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856 남한 경성 경복공립중학교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75면 성;誠 京城 東一은행 제10회 1935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95)

주제어사전(292)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691∼1779). 이여 후손, 이건명·권상하의 문인이다. 숙종 때 청주에서 도내별과에 제4등으로 뽑힌 이후,《소학》을 근본으로 정성과 공경, 사물의 이치와 인간의 본성을 깊이 연구하여 학문과 덕행을 쌓았다. 문장은 경서와 사기에 기본을 두어,

  • 룡전 / 龍傳 [문학/고전산문]

    ·박문서관(博文書館)·한성서관(漢城書館)에서 발행한 「심부인전(沈婦人傳)」이 주목된다. 특히, 「심부인전」은 『증상연정심청전(增像演訂沈淸傳)』이라는 책에 「심청전」과 함께 들어가 있는 것으로, 룡의 부인을 주인공으로 한 작품이지만, 그 내용은 같다.

  • 조 / [종교·철학/유학]

    1660(현종 1)∼1711(숙종 37). 조선 후기의 학자. 일상 아들이다. 1681년(숙종 7) 사마시에 합격, 1689년 인현왕후가 폐위되자 벼슬을 단념하였다가 1694년 왕후가 복위된 뒤에 빙고별검이 되었다. 이어서 공조·호조낭관을 거쳐 전주통판을 지내다가 17

  • 조 / [문학]

    항일기의 신소설작가(1869∼1927). 어려서 한문 공부를 하여 진사 시험에도 합격했으나 신학문에 관심을 두어 고향인 포천에 청성제일학교를 설립하였다. 1906년 잡지 《소년한반도》에 소설〈잠상태〉를 연재하면서 본격적인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한때 《매일신보》등의

  • 창 / [종교·철학/유학]

    1599(선조 32)∼1651(효종 2). 조선 중기의 문신. 임 증손, 할아버지는 규, 아버지는 인후, 어머니는 신영의 딸이다. 임숙영의 문인이다. 1630년에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수찬, 교리, 헌납, 이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송파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