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항로” 에 대한 검색결과 4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1)

사전(118)

  • 박문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통정대부 태려(泰呂)의 딸이다. ()의 문인으로, 1866년(고종 3) 사복시주부(司僕寺注簿)ㆍ평안도도사(平安道都事)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취임하지 않았으며, 1882년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ㆍ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 등의 직이 내려졌으나 모두 사퇴하...
    이칭별칭 대수(大殊)| 운암(雲庵), 운재(雲齋), 징암(懲庵)| 문헌(文憲)
  • 임규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이준(李埈)ㆍ이인구(李寅龜)ㆍ이용헌(李用獻) 등과 교우를 맺고 도의를 강론하였다. 북인세가(北人世家)로서 노론을 지지하였으며, 주자(朱子)와 송시열(宋時烈)을 적극 숭배하여 회우당(晦尤堂)을 짓기도 하였다. 당시 노론의 선배...
    이칭별칭 용숙(容叔)| 금천(錦川)
  • 이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12(순조 12)∼1853(철종4).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백흠(伯欽), 호는 괴원(槐園). 경기도 양근(楊根)의 벽계(碧溪)에서 출생. 항로(恒老)의 아들이다. 1835년(헌종 1) 사마시에 합격하였...
    이칭별칭 백흠(伯欽)| 괴원(槐園)
  • 정두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관(崔相琯)에게 글을 배웠고, 뒤에 ()를 사사하였다. 1879년(고종 16)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주서에 임명되었고, 곧 승문원정자가 되었다. 이듬해 성균관전적을 거쳐 사간원정언이 되었다. 1887년 사헌부지평이 되어서는 선정을...
    이칭별칭 응칠(應七)| 운암(雲巖)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유학사(朝鮮儒學史)』(현상윤, 민중서관, 1949) 『조선유교연원(朝鮮儒敎淵源)』(장지연, 해동서관, 1922) 「()의 위정척사사상(衛正斥邪思想)」(홍순창, 『독서신문(讀書新聞)』 27...
    이칭별칭 이술(而述)| 화서(華西)| 문경(文敬)

단행본(3)

  • 조선후기 심설논쟁 화서학파-표점, 해제, 선역-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저자 : ... | 출판사 : 학고방 | 출판일 : 20211230
    이 책은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자료의 수집 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사업의 결과물로서, 총 4권의 자료집 가운데 제2권에 해당한다.이 책은 간재학파의 전우, 곽종석, 김준영, 오진영, 최병심, 남진영, 권순명, 유영선의 심설논변 자료이다. 이 책의 뒤편에는 이 ...
  • 화서학파의 심설논쟁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저자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철학연구소 엮음 ... | 출판사 : 문사철 | 출판일 : 20220115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철학연구소에서 진행하고 있는 심설논쟁아카이브 작업의 부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항로와 화서학파 학인들의 학문 사상에 대해서는 학계의 연구가 상당수 집적되었다. 그동안 발표되었던 논문 가운데 수작(秀作)이라고 할 만한 것, 연구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
  • 저자 : 이봉규, 한정길, 이원석, 엄연석, 양일모 ... | 출판사 : 도서출판 동과서 | 출판일 : 20191231
    이 책은 조선시대에 연행사절 혹은 다른 방식을 통해 서양의 종교와 학문을 수용한 사상가들을 중심으로 서학의 충격과 접변이라는 관점에서 조선시대 후기 사상가들이 서학을 형상화하는 방식 서학의 세계상에 대해 보인 반응을 조명하였다.

논문(4)

고서·고문서(271)

  • 주역대전 : 해제_46. ()의 주역전의동이석의(周易傳義同異釋義)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 58 해제 46. ()의 주역전의동이석의(周易傳義同異釋義) 본관은 벽진(碧珍)이며, 초명은 광로(光老)였으나 철종 사친(私親)의 이름을 피하여 항로(恒老)로 개명하였다. 자는 이술(而述)이고, 호는 화서(華西)로 경기도 양평 출신이다....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화서선생문집(華西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화서선생아언(華西先生雅言)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想 今只有茅菴數間 西有甘泉 漑寺前稻田) 窟菴(詳山房 ○金自詳記 所謂石屋 自盖而積 雨不能漏 石簞自鋪而野火不能焚 石壁自立而狂風未能搖 石泉自湧未能汚者此也)
    출처전거耽羅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900년 이승욱(李承旭) 서간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
    11월 17일에 이승욱이 기우만에게 보낸 편지이다. 기정진의 시호를 추증하는 일로, 이미 공의가 있어서 임금의 윤허를 받기에 이르렀으니 사림의 경사라는 말과 함께 이번에 화서 선생과 고산 임헌회선생도 모두 증시를 하게 되어서 두 집안의 본손이 모두 와있는데, 형...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장성 고산서원

기초학문(1)

  • 와 전우의 역사의식에 관한 철학적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1
    35827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서철학회 2001 와 전우의 역사의식에 관한 철학적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01

신문·잡지(2)

  • 뎡삼품 젼우긔로 륙군참령을 임고 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뎡삼품 젼우긔로 륙군참령을 임고 뎡삼품 로 졍위를 임고 즁츄원의관 김용 량셕환 김창욱 은길 리셕쥬 리지영에 졍삼품 신셩모 륙품 하문규 최긔복 구품 김인범 리응훈 강영으로 임고 리긔소와 함흥뎐보쥬 권창식으로 은진뎐보쥬를 임고 김일졔로 함흥뎐보쥬...
    게재일1903년 3월 10일 | 기사분류관보
  • 가들의 협정에 의하여 부과된 국제 항공권에 위반되는 것이다. 불란서당국의 이와 같은 조치는 쁘라―그―슈트라스부르그―파리간의 항행권을 보장하기 위한 가능성을 체코슬로바키아로부터 박탈하고 있는 것인바 에 대하여 체코슬로바키아는 1946년 7월 27일부 체코슬로바키아...
    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1_0921_04_02 | 책임주필리춘백

기타자료(2)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1075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34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26) 제24회 103명(1928년 3월 졸업) ; (주소 및...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2488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34면 (26) 제24회 103명(1928년 3월 졸업) ; 경기도 이천군 이천세무서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1)

  • /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1792∼1868). 과거를 포기하고 성리학 연구에 전념하였으며 주리철학의 대가이다. 조정에 천거되어 동부승지·공조참판·경연관 등을 역임하였고 병인양요가 일어났을 때 주전론을 펼쳤다. 저서로 《화서집》, 《벽계아언》 등이 있다.

  • 김한섭 / 金漢燮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학자. 아버지는 노현, 어머니는 해남윤씨 상열의 딸이다. 의 문인으로, 가 죽은 뒤에 다시 임헌회와 기정진의 문인이 되었다. 1883년엔 그의 스승 임헌회의 문집인『고산문집』간행을 위하여 오랫동안 고창에 있었다. 저서로는『오남문집

  • 노산사지 / 蘆山祠址 [예술·체육/건축]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벽계마을에 있는 해방 이후 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시도기념물. 경기도 기념물 제43호. 원래 노산사는 가 살아 있던 당시 그가 경모하던 주자(朱子)와 송시열(宋時烈)의 위패와 영정을 모셔 놓았던 사당이었으나 가 죽은 후에 후손들이

  • 유인석 / 柳麟錫 [정치·법제/정치]

    조선 후기의 위정척사론자·의병장(1842∼1915). 의 문하에서 김평묵과 유중교로부터 존화양이사상을 익혔다. 1876년 강화도조약 체결 때에는 개항 반대운동을 전개하였고, 을미사변과 단발령을 계기로 의병항전을 개시하였다. ‘위정척사’·‘존화양이’ 정신에 입각

  • 유중교 / 柳重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832∼1893). 김평묵과 함께 의 문하에서 수학했다. 1852년 의 명으로 《송원화동사합편강목》을 편수했다. 1876년에는 선공감가감역에 제수되었으나 취임하지 않았다. 1881년 척사위정의 소론이 일어나자 김평묵과 함께 춘추의리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