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한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3)
사전(19)
- 경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한응(李漢膺)의 시문집. [내용] 13권 6책. 목판본. 1885년(고종 22) 그의 손자 흥로(興魯)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말에 이만준(李晩埈)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2에 시...
- 해동근사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이한응(李漢膺)이 편찬한 성리학서. [내용] 3책. 목판본. 『속근사록(續近思錄)』이라고도 한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근사록』은 북송사자(北宋四子)의 어록을 주희(朱熹)와 여조겸(呂祖謙)이 편찬한 성리학 입문...이칭별칭속근사록(續近思錄)
- 이한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11(숙종 37)∼? 조선 후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사준(士俊). 순신(舜臣)의 증손이며, 훈련대장 봉상(鳳祥)의 조카이다. 1752년(영조 28)에 선전관이 되었는데 영조에게 직언을 간하다가 영해로 귀양갔다...이칭별칭 사준(士俊)
- 이한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78(정조 2)∼1864(고종 1).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중모(仲模), 호는 경암(敬菴). 동표(東標)의 후손이며, 아버지는 진굉(鎭紘)이다.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큰할아버지로부터 글을 배웠으나 성장...이칭별칭 중모(仲模)| 경암(敬菴)
- 이한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해는 주영한국공사관 명예총영사 마틴턴의 주선으로 유해는 고국으로 돌아와 경기도 용인에 안장될 수 있었다. 가선대부 내부협판에 추증되었으며, 장충단(奬忠壇)에 배향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순국열사이한응선생유사...이칭별칭 경천(敬天)| 국은(菊隱)
고서·고문서(47)
- 을사년 이한응(李漢膺)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868년 이한응(李漢應)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68년 3월 22일 삼산에 머물던 이한응이 고향 순창 마동의 이생원 댁에 보낸 편지이다. 어머니 병환에 대한 내용과 한양의 소식, 자신의 귀성날짜 등을 전하고 있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전주 효자 전주이씨가
- 순국열사 "이한응" 선생 기념비 전문 휘호(前文 揮毫) 의뢰의 건, 1959년 2월 25일 [“미공개 이승만문서” 정리·분류 및 DB화 사업 | 연세대학교]15735 우남C-7-1-0011 순국열사 "이한응" 선생 기념비 전문 휘호(前文 揮毫) 의뢰의 건, 1959년 2월 25일 문서 1959.2.25 문교부장관 곽 경무관, 박찬일 비서관 5 한국어 1948년 이후 사회문화 기타자료명순국열사 "이한응" 선생 기념비 전문 휘호(前文 揮毫) 의뢰의 건, 1959년 2월 25일 | 자료형태문서 | 작성일1959.2.25 | 작성자문교부장관 | 작성언어한국어
- 경암선생문집(敬菴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1871년 한명희(韓明禧) 등 상서(上書)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71년 2월에 한명희 등 21명이 연명으로 순창군수에게 올린 상서이다. 순창군에 사는 이수인과 그의 장자 이한응의 효행을 감영에 알려 정려의 특전을 내려줄 것을 청하는 내용이다.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전주 효자 전주이씨가
신문·잡지(16)
- 외국 어학교 부교관 리한응 김욱동 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외국 어학교 부교관 리한응 김욱동 윤헌 윤은 졔씨 학원을 죠속지 못야 부령을 좃지안케에 다 견을 당얏더라게재일1899년 11월 11일 | 기사분류잡보
- 駐英使電報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쥬영공셔리 씨가 외부로 뎐보하기 공관무 뎐훈로 시무거니와 리한응의 시신은 본월이십일에 발뎡이라 하얏다더라게재일1905년 5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尙州東軒失火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상쥬군슈 리한응씨가 본월칠일에 관찰부 명령으로 송를 사실기 위야 인동군에 젼왕얏더니 그 잇흔날밤에 상쥬군 동헌에 실화야 삼십간이 소화되엿다더라게재일1902년 4월 25일 | 기사분류잡보
- 弛贈致侑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영국 셔리공로 시국에 츙분야 약을마시고 폐 리한응씨의일로 죠칙이나리 죵이품 가션대부 부협판을 증직압시고 지방관을보여 치졔라압섯더라게재일1905년 12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아 법 오 쥬챠공관 참셔관 리긔죵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아 법 오 쥬챠공관 참셔관 리긔죵씨 임야 아국 공관 참셔관을 피임고 젼셔긔 오달영 영어학교교관 리한응 리죵엽 례식원번역관보 홍현식 졔씨 공관 삼등참셔관을 피임얏더라게재일1901년 3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
- 이한응;李漢膺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5375 북한 경기 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3-03 松友 제10호 1937―03―03 172면 1. 졸업생 상황(1937년 1월 현재);24)송도고보 제17회(소화11년) 92명 이한응;李漢膺...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松都高等普通學校(韓英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
-
이한응 / 李漢膺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78∼1864). 서예와 시문에 탁월한 솜씨를 보였으며, 만년에 제자 양성에 주력했다. 헌종 때 추천으로 가감역에 올랐고, 철종 때 통정대부로 첨지중추부사가 되었으며 돈녕부도정을 지냈다. 저서로《경암집》13권이 있다.
-
경암집 / 敬菴集 [종교·철학/유학]
경암 이한응의 문집. 13권 6책. 목판본 <규 4208> 손자 이흥로 등에 의해 1885년(고종 22)에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권1에 시 180여수, 권2에 시 150여수, 권3에 서 22편, 권4에 서 19편, 권5에 서 40 여편, 권6에 서 12편, 권7에
-
금역당집 / 琴易堂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문신·학자 배용길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55년에 간행한 시문집. 1855년(철종 6)에 배선원(裵善源) 등에 의해 편집·간행되었다. 권두에 이한응(李漢膺)의 서(序)가 있고, 권말에 유형진(柳衡鎭)의 발이 있다. 권1에 부 1편, 시 316수, 권2에
-
간재집 / 艮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학자 변중일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0년에 간행한 시문집. 상하 2권 1책. 목활자본. 1860년(철종 11) 후손 도신(道新)·정기(正基)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한응(李漢膺)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돈우(李敦禹)의 발문이 있다. 규장
-
김도명 / 金道明 [종교·철학/유학]
1803년(순조3)∼1873년(고종10년).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김성로이며, 어머니는 의성김씨로 김한운의 딸이다. 처음에 유심춘의 문하에서 수업하였으며, 뒤에 유태좌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석학 이한응·이휘녕·유치명 등과 교유하였다. 권엽의 유문을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