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학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1)
사전(12)
- 이학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무신. [내용] 1888년(고종 25) 연무공원(鍊武公院)이 설치될 때 내무부부주사로서 조교격인 사첨(司籤)에 임명되어 미국인 군사교관인 다이(Dye)를 보좌하였다. 1902년 무관학교 초대교장이 되어 다이가 한...
- 미우라 고로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用)ㆍ현흥택(玄興澤)ㆍ이학균(李學均) 등이 오로지 왕비의 뜻만을 받들었다”며 ‘러시아파’를 따로 구별하였다. 미우라는 을미사변 직전 ‘러시아파’가 “러시아 공사와 몰래 협의해서 순사와의 쟁투(爭鬪)를 구실로 삼아 훈련대를 해산시키고, 총리대신 이하 10여 명을 죽여서...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 한일의정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육군참장 이학균(李學均), 육군참령 현상건(玄尙建) 등을 감시 조처하였다. 이리하여 일제의 강박 아래 드디어 2월 23일 공수동맹을 전제로 한 「한일의정서」가 이지용과 하야시 사이에 체결되어 조인된다. [내용] 이 전문(全文) 6개조의 내용은...이칭별칭제일차한일협약
- 전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리함을 강조하여 고종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 이미 궁궐 안에 전등을 가설하고 있던 고종은 전기를 이용한 근대문명의 도입에 적극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그 결과로 고종의 명에 따라 육군총장 이학균(李學均)은 콜브란 등과 교섭하여 1898년 2월 1...
- 대한제국의 중립화 방안 [한국외교사전(근대편) | 성균관대학교]심으로 민영환, 민상호(閔商鎬), 강석호(姜錫鎬), 이학균(李學均)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이들은 미국으로부터 차관을 도입하여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려 했지만 차관도입에 실패하여 타격을 받았으며, 중립화안의 좌절로 더욱 입지가 약화되었다. 샌즈의 중립화안은 프랑스공사...분야정치‧법제 | 유형제도
고서·고문서(14)
- 알렌이 민(영익)에게 불에 대해 알리는 건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R4-L7-02-040 알렌이 민(영익)에게 불에 대해 알리는 건 서한 646 Horace N. Allen 민(영익) 고종, 헌트(Leigh S. J. Hunt), 이학균, 샌즈(Sands), 불(Bull) October 7,1901 Dea...문서종류서한 | 생산일자646 | 수신자민(영익)
- 채권·채무 소송(債訟)에 관한 건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II) | 강릉원주대학교]ニ及ヒタル也ト云フニアリテ立證トシテ甲第一號二號證ヲ提出シ證人李禹彩ノ證言ヲ援用セリ 被告ハ原告ノ請求ハ之ヲ棄却ス訴訟費用ハ原告ノ負擔トストノ判決ヲ求ムル旨一定ノ申立ヲ爲シ其抗辯ノ事實ハ甲第一號證ハ光武七年十月被告カ賭博ノ結果李學均ニ對シ支拂フベキ計算ヲ基トシテ同人等ノ强制ニ遇ヒ其意ニアラスシテ同人...재판기관경성지방재판소(京城地方裁判所) 민사제1부 | 판결일자1908년 12월 21일 | 자료문의강릉원주대학교 이승일 교수
- 알렌이 데이브에게 광산채굴권 확장 협상과 관련해 헌트의 조속한 답변을 촉구하는 건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R3-L6-05-200 알렌이 데이브에게 광산채굴권 확장 협상과 관련해 헌트의 조속한 답변을 촉구하는 건 서한 352 Horace N. Allen Dave Nash 광산 채굴권 확장, 맥카티(McCarty)※, 고종(高宗), 이학균(李學均), 민...문서종류서한 | 생산일자352 | 수신자Dave Nash
- 알렌이 파셋에게 중국문제에 대한 전망과 한국에서의 이권 추진 상황을 알리는 건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헌트(Leigh S. J. Hunt), 민영환(閔泳煥), 이학균(李學均), 메이블(Mabel E. Everett), 브라이언(William Jennings Bryan), 선교사 Chemulpo, Sept 1.1900. My dear Fassett, Thanks...문서종류서한 | 생산일자245 | 수신자J. Sloat Fassett
- 알렌이 파셋에게 중국문제에 대한 전망과 한국에서의 이권 추진 상황을 알리는 건 [근대 전환기 알렌 문서 정리ㆍ해제 및 DB화 | 건양대학교]헌트(Leigh S. J. Hunt), 민영환(閔泳煥), 이학균(李學均), 메이블(Mabel E. Everett), 브라이언(William Jennings Bryan), 선교사 Chemulpo, Sept 1.1900. My dear Fassett, Thanks...문서종류서한 | 생산일자245 | 수신자J. Sloat Fassett
신문·잡지(20)
- 원슈부 검샤국쟝 리학균씨 무관학고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원슈부 검샤국쟝 리학균씨 무관학고 교쟝을 피명 하고 법부 협판 리근호씨 샹소 하야 갈니고 특진관 심샹훈씨와 외부대신 박제슌씨 법규 교졍쇼 의뎡관을 피명 하엿더라게재일1900년 1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원슈부 긔록국 춍장 리학균씨 향일에...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원슈부 긔록국 춍장 리학균씨 향일에 인쳔항의 아라 군함 구경다가 에 러져셔 니 두 가 불러젓다더라게재일1900년 3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쟉일에 무관학교 교장참장 리학균씨가...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쟉일에 무관학교 교장참장 리학균씨가 관삼명과 학도십명을 다리고 화륜거를 타고인쳔으로 려갓 법국에셔 사오 군긔를 슈입다 말이잇다더라게재일1899년 10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원슈부 금국쟝 리학균씨가 일젼에 인...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원슈부 금국쟝 리학균씨가 일젼에 인쳔항에 려가셔 셔양 총 일만병과 탄환 오만방을 슈운야 가지고 드러왓 원슈부에셔 병뎡 일만명가량을 아 십를 만들고 쟝관들은 무관학교즁에셔 용고 이왕 졍지되엿든 구 학도 속셩과를 죨업식혀셔 슈용다더라게재일1899년 10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校長視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무관학교 교쟝셔리 권형씨는 임이되고 젼교쟝 리학균씨가 의젼시무 다더라게재일1902년 12월 5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5)
- 이학균;李學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5641 북한 평남 義明學校學 3-09 義明學校學友會 會員名簿 n.r. 7면 1. 통상회원의 부(가나다순);7) 제7회졸업자(1919년도) 이학균;李學均 경성;慶山郡 경산면 사정리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義明學校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3.2. 1958.04.11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분에서 정전협정체제를 감시하는 것이 임무, 1958년 4월 11일 유엔군 측에서는 에머슨 중령, 앤더슨 중령, 신영만 중령 등, 북 측에서는 김철선 중령, 이학균 중령, 최홍관 중령 등 북한군 장교 3명이 참석한 회의의 회의록과 공동조사보고서 등, 회의 목적은 휴전선...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UNC Joint Observer Team 5
- 2. 1958.10.14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정전협정체제를 감시하는 것이 임무, 1958년 10월 14일 유엔군 측에서는 워싱턴 중령, 북 측에서는 김철선 중령, 이학균 중령, 최홍관 중령 등 북한군 장교 3명이 참석한 회의의 회의록과 공동조사보고서 등, 회의 목적은 휴전선 마크 번호 1291과 관련하여 보고된...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UNC Joint Observer Team 5
- 85. 외국어학교에 관한 개혁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프랑스 외무부 외교문서(보고서) 1910년 9월 07일 서울 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부르주아, 프랑스 외무부 장관 마르텔, 샌즈, 이학균 외국어학교들에 대한 새로운 규정의 반포 프랑스...집필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9월 07일 | 발신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수신자부르주아, 프랑스 외무부 장관
- 73. 강 내관의 실종과 일본 측의 조사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프랑스 외무부 장관 강석호, 이토, 샌즈, 이용익, 이학균, 현상건, 퐁트네, 길영수, 삼니 오야마 , 베르토 강석호 피신에 대한 일본의 수사 6월 23일의 42호, 47호 보고서와 7월 12일자 보고서의 주제였던 최...집필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작성연도1910년 | 작성월일7월 25일 | 발신자F. 베르토,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부영사 | 수신자프랑스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2)
-
이학균 / 李學均 [종교·철학]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무신. 1898년 민비 인산 때에는 각국 공사 반접관이 되었으며 1900년 부령과 참장으로 승진, 원수부검사국장·회계국장서리·육군법원장을 역임하였다. 1904년 러일전쟁이 임박하여 위협을 받자, 프랑스공사관으로 피신하였다가 미국인의 보호로 미
-
이학균대급문 / 李學均貸給文 [정치·법제]
1905년 12월 9일에 이학균(李學均)에게 1년 기한으로 지화 2만 원을 빌려주는 것을 승인한 문서. 문서에 찍힌 스템프에는 'CONSULAT GENERAL DE FRANCE'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이학균은 조선 말기의 무신으로 1904년 프랑스 공사관으로 피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