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하응” 에 대한 검색결과 19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7)

사전(94)

  • 이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22(순조 22). 조선 후기의 종실.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구(球). 아버지는 인조의 3남인 인평대군(麟坪大君)의 6대손 병원(秉源)이며, 아들이 흥선대원군 ()이다. 장헌세자(莊獻世子)의 서자인 정조...
    이칭별칭 충정(忠正), 영희(榮僖)|구(球)|남연군
  • 강목집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78년 신응조(申應朝)가 흥선대원군 ()의 명을 받아 편찬한 책. [내용] 강목집요(綱目集要)라고도 한다. 7권 3책. 전사자본(全史字本). 전7권을 천(天)‧지(地)‧인(人) 세 부분으로 나누고 있으며, 천에 1∼3권,
    이칭별칭강목집요(綱目集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의 둘째 아들 명복(命福 : 고종의 兒名)을 지명하기로 묵계를 맺었다. 1863년 12월 초 철종이 사망하자, 조대비는 의 아들 명복을 익성군(翼成君)으로 봉해 익종대왕의 대통을 계승하게 하자는 원로대신 정원용(鄭元容)의 발의를 받아들였다. 12세인 고...
    이칭별칭 시백(時伯)| 석파(石坡)| 헌의(獻懿)|흥선정(興宣正)|흥선군(興宣君)|흥선대원군|대원왕(大院王)|대원위대감(大院位大監)|궁도령(宮道令)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단행본(1)

  • 흥선대원군 평전 [고종시대 인물연구 | 청암대학교]
    저자 : 김종학 ... | 출판사 : 도서출판 선인 | 출판일 : 20211120
    이 책은 흥선대원군 이하응(李昰應, 1820~1898)을 중심으로 전개된 19세기 후반 정치외교사를 주로 서술했다는 점에서 평전이 아닌 일종의 역사서에 가깝다. 구체적으로는 대원군의 일생을 통해 이미 상당히 붕괴된 조선의 정치사회 시스템이 문호개방 이후 국제환경의 변화...

고서·고문서(79)

구술자료(1)

  • 대원군 과 지관 정만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 후에 바로 다음을 구술하였다.
    조사일시2010년 3월 20일(토) | 조사장소임실군 임실읍 신안리 485-1번지 정촌 마을회관 | 제보자한준석

기초학문(1)

  • 그림자 국왕의 초상: 와룡관학창의본 초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경화, 게재일 : 2014
    58328 이경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014 그림자 국왕의 초상: 와룡관학창의본 초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

  • 14 정준기 김두봉 강량욱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서기장 김덕수, 리택원, , 림장혁, 박근섭, 송길서, 염이록, 최재월, 라정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대표표제어보위_1950_0831_01 | 책임주필정준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1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의 왕족·정치가(1820∼1898). 1863년 12월 고종이 12세로 왕위에 오르자 흥선대원군이 되어 섭정의 대권을 잡았다. 서원 철폐, 무명잡세 폐지, 진상제도의 폐지, 비변사 폐지 등의 개혁을 단행하고, 《대전회통》, 《육전조례》, 《양전편고》 등의 법

  • 석파소간 / 石坡小簡 [언론·출판]

    저자 (1820-1898). 필사본. <석파소간>은 중국 시전지에 쓴 5편의 편지를 장첩한 3절의 작은 간찰첩이다.

  • 교학정례 / 敎學定例 [교육/교육]

    1868년(고종 5) 흥선대원군 ()이 편저한 사제(師弟)의 예법에 관한 책. 1책. 인본. 1757년(영조 33)의 『왕손교전상견일기(王孫敎傳相見日記)』·『오례의(五禮儀)』·『문헌비고』 등을 참고하여, 종친의 입학과 사제의 예법을 규정하였다.

  • 사례찬설 / 四禮贊說 [사회/가족]

    조선 숙종 때의 학자인 이혁(李爀)이 찬술한 사례관계의 예서. 8권 4책. 주자본(鑄字本). 이혁은 예론에 특히 밝아서 당시에도 이름이 있었다. 이혁은 흥선대원군 ()의 5대조에 해당되기 때문에 1867년(고종 4) 당시의 주자(鑄字)로 간행되었다.

  • 이최응 / 李最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5∼1882). 의 형으로 민씨정권의 주요인물이며 영의정·총리대신을 지냈으며 연미론을 적극 수용하여 미국과의 조약 체결을 환영하였다. 이후 유림들의 비판을 받아 위치가 흔들리다 임오군란 때 살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