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하곤” 에 대한 검색결과 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

사전(1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화(朝鮮南宗畵)-』(한국민족미술연구소, 1983) 『한국회화대관(韓國繪畵大觀)』(유복렬 편, 문교원, 1969) (1677-1724) 1677(숙종 3)∼1724(영조 즉위년). 조선 후기의 문...
    이칭별칭 재대(載大)| 담헌(澹軒), 계림(鷄林)
  • 이석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04(숙종 30)∼?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운원(運元), 호는 남록(南麓). 경억(慶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판서 인엽(寅燁)이고, 아버지는 하곤(夏坤)이며, 어머니는 송상기(宋相琦)의 딸이다. 아...
    이칭별칭 운원(運元)| 남록(南麓)
  • 성천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청명한 선비로 사우들의 추앙의 대상이 되었다. 평생 지우로 조구명(趙龜命)ㆍ이덕수(李德壽)ㆍ윤순(尹淳)ㆍ() 등과 교유하였다. 『영조실록(英祖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이칭별칭 자경(子擎)| 노운헌(老雲軒)
  • 신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새 무덤. 新阡凡百 亦何居 種種悲念 不可言, (), 10-88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여식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타향살이. 患寒數日 仍有渴漸 此豈非累月奔走旅食 畢竟..所. 觸處令人憤. 不無源委 尤可苦也, (), 10-87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19)

  • 地火 明夷【上】 ○第二十一卦之反【臨二之三,小過四之一】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680 周易四箋 卷四 ITKC_MP_0597A_0680_050_0060 地火 明夷【上】 ○第二十一卦之反【臨二之三,小過四之一】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
    권차명周易四箋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萬物門2_貘齒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鐵. 其雌者, 色白. 吳國武庫, 兵刃鐵器, 俱被食盡.” 此亦貘之別種, 物理蓋有如此者. 余聞, 海中鰒魚, 甲堅如鐵, 却有蟲蠹蝕. 蟲喙利, 而體甚柔. 驗之老鰒甲, 果遍有雕蝕痕. 以此推之, 貘之食鐵, 何足怪哉? 傅奕所値, 或値貘齒, 而未必是金剛石也. 凡世之眞, 亦何限?...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五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당자앞, 우리해외동포, 수고하시는선생님, 심심한감사, 년세가많으신아버지, 고향의혈육, 찾는방송, 들을때마다, 고향에살고있는, 남동생녀동생, 생각하며, 매일, 지난날, 살아오신이야기 되풀, 자식으로서, 아버지환생의소원, 털려고, 이필을, 고향은, 전라남도, 광주군,...
    대표표제어보고싶은얼굴 | 성씨
  • 조선시대 한글편지:송규렴이 손녀 은진송씨에게 보낸 편지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
    중 하나이며 손녀가 시집간 이후에 보낸 것이다. 수신자가 큰손녀라고 할 때, 에게 시집간 큰손녀가 1678년 윤 3월 11일에 태어났고 최소한 10세 이후에 혼인했을 것을 예상한다면, 이 편지는 1688년 이후 송규렴이 사망하기 전인 1709년 6월 5일 이전에...
    발신자송규렴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팀(연구책임자:황문환 교수)
  • 조선시대 한글편지:1696년 송규렴이 딸에게 보낸 편지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
    諺簡,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이 편지는 ≪선찰≫ 9에 실려 있으며, 송규렴(宋奎濂)이 손녀(의 처)에게 보낸 안부 편지이다. 이 편지가 실려 있는 ≪선찰≫ 은 후손이 선조(先祖)의 필적을 전하기 위하여 송규렴과 그의 부인인 안동 김씨를 중심으로 당시 집안 사람들...
    발신자송규렴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팀(연구책임자:황문환 교수)

기초학문(1)

  • 덤헌 의 서화미학사상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상모, 게재일 : 2012
    52062 전상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서예학회 2012 덤헌 의 서화미학사상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1)

  • 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8) 2卷 2冊 31.5x21.3 刊記: 康熙二十年辛酉(1681)四月日 慶尙道蔚山 圓寂山雲興寺開刊(卷上) 康熙十九年庚申(1680)四月日 慶尙道蔚山 圓寂山雲興寺開刊(卷下). 印: 印, 載大, 澹軒, 宛委閣圖書記. T44, p.202. ; H1,...
    대표표제어대승기신론소(大乘起信論疏) 20 | 대표서명大乘起信論疏 | 한글서명대승기신론소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법제·행정]

    1677(숙종 3)∼1724(영조 즉위년).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평론가. 본관은 경주(慶州). 좌의정 경억(慶億)의 손자이며, 당시 문형(文衡)이었던 인엽(寅燁)의 맏아들이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춘경산수도, 산수도, 두타초 등이 있다.

  • 황택후 / 黃宅厚 [종교·철학/유학]

    1687(숙종 13)∼1737(영조 13).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황상구이다. 최창대··구택규 등의 문인이다. 금위영의 서리로 일하면서도 학문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난 때 반란군을 토벌하는 도순무사 오명항의 막하에서 서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