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7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61)
사전(109)
- 이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이택(1509-1573) 1509(중종 4)∼1573(선조 6). 조선 중기의 문신....이칭별칭 택지(澤之)
- 이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51(효종 2)∼1719(숙종 45). 조선 후기의 무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운몽(雲夢). 아버지는 참판 진백(震白)이다. 1676년(숙종 2) 무과에 급제, 선전관을 거쳐 고산진첨절제사(高山鎭僉節制使)로 나갔다. 그...이칭별칭 운몽(雲夢)
- 이택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학우(學友)가 서로 도와서 학문과 덕을 닦음. 『주역』 「태괘(兌卦)」 ‘상전(象傳)’의 “두 개의 연못(澤)이 붙어 있는 것이 태괘이니 군자가 이 괘를 본받아 벗들과 강습한다(麗澤兌 君子以 朋友講習)”라는 구절에서 유래함. 方幸麗澤之相益忽此乖散 歎恨不已, 이황(李滉)...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이택(李澤)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택 이택 李澤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중종~선조 최양규 이범직 2014 택지(澤之) 양반 남자 1509년(중종 4) 9월 25일 1573년(선조 6) 9월 29일 고성...
- 심이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32(순조 32)∼? 조선 말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치은(稚殷). 의린(宜隣)의 아들로 의면(宜冕)에게 입양되었다. 이로(李魯)의 외손이다. [생애와 활동사항] 1857년(철종 8) ...이칭별칭 치은(稚殷)
단행본(1)
- 우남 이승만 평전 [한국 근대 전환기 민족 지도자 연구 | 성균관대학교]저자 : 이택선 ... | 출판사 : 도서출판 이조 | 출판일 : 20210530이 책의 목적은 조선 말기와 일제 강점기, 미군정 시기를 거쳐 대한민국 제1, 2공화국까지 활동한 정치지도자 이승만의 일대기를 소개하고 그의 리더십이 한국 정치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이승만의 ‘카리스마 리더십’이 어떻게 탄생하고 발전하는지, 그리고 종국...
논문(1)
- 한자통일회에 관한 일고찰 - 청국과 한국의 반응을 중심으로 [역사적 화해 가능성 모색을 위한 한국학-체험⋅기억⋅상생의 스펙트럼 - | 一橋大學 (Hitotsubashi University)]저자 : 劉鮮花 | 게재정보 : 言語社会(GENSHA)유형논문
고서·고문서(1,138)
- 伊澤多喜男文書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54018492015401849_007 伊澤多喜男文書 王公家軌範改正案 국회도서관 헌정자료실 伊澤多喜男文書 519 0006 1 문서 伊澤多喜男 왕공가궤범 중 제61조, 제62조, 제81조의...소장처국회도서관 헌정자료실 | 조사일2015. 09. 0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이택지(李澤之) 만사(輓詞)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만사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만사 | 현소장처논산 노성 파평윤씨 명재 종가
- 人事門11_李澤堂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李澤堂 李澤堂 植嘗爲李完平幕僚, 一日白云: “每欲有所稟, 今得間矣. 李栗谷何如?” 答云: “身在堂上, 方知堂下人曲直, 旣非到此地位, 何能評品得當?” 李起而言曰: “植常尊慕若山斗, 自謂得所依止. 今日乃不以誠心, 植不安于此座, 請從此辭.” 完平云: “且少坐. 此有二人醉迷...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七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李宅震이 보낸 婚書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3898 2334_01 李宅震이 보낸 婚書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문부 종가, 일상생활, 종가 문중생활, 서간통고류, 혼서 한자 고문서 JMB232.JPG 李宅震이 보낸 婚書 婚書 李宅震 丁丑年 2월 8일 23....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경상대 고문헌 도서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李宅志가 보낸 婚書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3915 2351_01 李宅志가 보낸 婚書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정문부 종가, 사회관계, 종가 문중생활, 서간통고류, 간찰 한자 고문서 JMB247.JPG 婚書 婚書 李宅志 戊子年 3월 25일 22.6 37....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경상대 고문헌 도서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구술자료(8)
- 이택돈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신민당으로의 정치 입문 사법파동 7대 대통령 선거와 양 김씨 야권의 정당통합운동 75년 김옥선 파동 YH여공 사건과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 이민우 파동 용팔이 사건과 7.2쿠데타 정가 풍토 60, 70년 정당 당원의 양상 정당과 사회단체 중점 의정활동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 이댁(李宅)의 의붓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잇달아서 양구협씨는 계모의 구박으로 상자에 갇힌 채 바닷물에 띄워질 운명에 놓인 처녀가 요행히 살아나서 동냥질하다가 인연이 닿아 글을 배우게 되고 그 서당 선생의 아들을 과거에 합격시킨 후 이와 결연하여 잘 산다는 내용의 이야기를 한다. 제보자는 이처럼 어렵게 공...조사일시1980-12-03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오라동 | 제보자양구협
- 전라북도 부안군_마흐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112 전북 전라북도 부안군 전라북도 부안군_마흐 마흐 에염소리 전라북도 부안군 행안면 삼간리 1986.5.1 素86-5-1③A (메): 이택종 (받): 조경련 이택종(1919년생.남.토민), 조경련(1922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에염소리 류 멕받형녹음지역전라북도 부안군 행안면 삼간리 | 녹음날짜1986.5.1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끝은 선입후제창으로 맺음)
- 전라북도 부안군_초벌지심노래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7_123 전북 전라북도 부안군 전라북도 부안군_초벌지심노래 초벌지심노래 진소리 전라북도 부안군 행안면 삼간리 1986.5.1 素86-5-1③A 이택종 이택종(1919년생.남.토민) 이소라 이소라 어기여 이야 형의 긴소리 멕받형 (선후창) 흥에 - , 에헤 - 야녹음지역전라북도 부안군 행안면 삼간리 | 녹음날짜1986.5.1 | 가창방식멕받형 (선후창)
- 대전광역시 서구_잘하네 [1980년대 집중 녹음된 논매기소리 자료의 DB구축과 전자문화지도 작성 및 논매기소리 연구 | 공주대학교]04_447 충남 대전광역시 서구 대전광역시 서구_잘하네 잘하네 얼카산이가 잘하네 대전광역시(옛 대덕군) 서구 관저동 1999.7.9 素MD99-7-9 n.1 (메)김철룡 (받)이택규 김철룡(1910년 천안시 수신면 출생.남.19세에 관저동 이주), 이택규(19녹음지역대전광역시(옛 대덕군) 서구 관저동 | 녹음날짜1999.7.9 | 가창방식멕받형식(선후창)
기초학문(7)
- 한국 한시의 분석적 연구 - 삼당시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택동, 게재일 : 200311181 이택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3 한국 한시의 분석적 연구 - 삼당시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유형논문 | 게재일2003
- 식민지기 유통액과 유통마진율 추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이택, 게재일 : 200402295 박이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제사학회 2004 식민지기 유통액과 유통마진율 추계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식민지기 조선의 고정자본형성 추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이택, 게재일 : 200502595 박이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제사학회 2005 식민지기 조선의 고정자본형성 추계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유형논문 | 게재일2005
- 한국기업의 여성인력정책 현황과 과제 : 대졸여성인력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택수, 게재일 : 199705019 이택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생산성학회 1997 한국기업의 여성인력정책 현황과 과제 : 대졸여성인력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유형논문 | 게재일1997
- 정보통신산업에서의 여성인력 활용에 관한 연구_논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택수, 게재일 : 199913960 이택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전문경영인학회 1999 정보통신산업에서의 여성인력 활용에 관한 연구_논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유형논문 | 게재일1999
신문·잡지(83)
- 李澤造(李澤造)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澤造(李澤造) 서울 李澤造 李澤造 馬場町 121 요리_음식점 - 조선 음식점 - 21.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澤造(李澤造) | 지역서울 | 품목요리_음식점 | 영업종목조선 음식점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李宅承(-)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宅承(-) 원산 李宅承 - 上洞 - - 해산물상 판매 36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宅承(-)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해산물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李宅明(-)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宅明(-) 부산 李宅明 - 凡一町293 - - 면사포 - 10 - 釜山商工名錄, 1937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宅明(-) | 지역부산 | 품목- | 영업종목면사포 | 자료출처釜山商工名錄, 1937년
- 李澤鎬(-)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澤鎬(-) 해주 李澤鎬 - 海州面 西榮町 - - 철물판매 - - - 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澤鎬(-) | 지역해주 | 품목- | 영업종목철물판매 | 자료출처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 金二澤(-)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二澤(-) 해주 金二澤 - 秋花面 月鶴里 - - 약주제조업 - - - 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二澤(-) | 지역해주 | 품목- | 영업종목약주제조업 | 자료출처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멀티미디어(112)
- 설 및 주택 11주차. 제조업 12주차. 유통 박이택 교수 1. 학력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석사)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박사) 2. 소속 및 직책 서울대학교 강사 3. 주요 경력 경제사학회 편집위원장 고려대학교 경제연구강좌제목한국의 장기통계 1 | 강의자박이택 교수
- 설 및 주택 11주차. 제조업 12주차. 유통 박이택 교수 1. 학력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석사)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박사) 2. 소속 및 직책 서울대학교 강사 3. 주요 경력 경제사학회 편집위원장 고려대학교 경제연구강좌제목한국의 장기통계 1 | 강의자박이택 교수
- 설 및 주택 11주차. 제조업 12주차. 유통 박이택 교수 1. 학력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석사)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박사) 2. 소속 및 직책 서울대학교 강사 3. 주요 경력 경제사학회 편집위원장 고려대학교 경제연구강좌제목한국의 장기통계 1 | 강의자박이택 교수
- 설 및 주택 11주차. 제조업 12주차. 유통 박이택 교수 1. 학력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석사)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박사) 2. 소속 및 직책 서울대학교 강사 3. 주요 경력 경제사학회 편집위원장 고려대학교 경제연구강좌제목한국의 장기통계 1 | 강의자박이택 교수
- 설 및 주택 11주차. 제조업 12주차. 유통 박이택 교수 1. 학력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석사)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졸업(박사) 2. 소속 및 직책 서울대학교 강사 3. 주요 경력 경제사학회 편집위원장 고려대학교 경제연구강좌제목한국의 장기통계 1 | 강의자박이택 교수
기타자료(102)
- 이택룡;李宅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714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06면 이택룡;李宅龍 제3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택국;李宅國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0053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1면 이택국;李宅國 제13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택선;李宅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3029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52면 이택선;李宅善 京城;인천부 율목리 63 재학생 제1학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택정;李澤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0638 남한 경성 經學院 經學院襍誌 제39호 1935―11―05 59면 4. 청강생 이택정;李澤政 서산군 근흥면 안기리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經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택주;李澤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7553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회원명부 1943―09 58면 이택주;李澤柱 함남 북청군 신창면 승평리 제31회 1937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
한국 근대 전환기 민족 지도자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택선 | 성균관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
근현대 한국지성사(韓國知性史) 대계(大系): 자주적 근대화의 사상과 행동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김웅진 | 한국외국어대학교 | 2013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0)
-
이택 / 李澤 [종교·철학/유학]
1651(효종 2)∼1719(숙종 45).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진백이다. 1676년(숙종 2) 무과에 급제, 선전관을 거쳐 고산진첨절제사로 나갔다. 그 뒤 남구만·이상진 등과 교유하였는데, 이들의 추천으로 도총부경력이 되었다. 선전관, 훈련원정, 전라좌도수군절
-
차관 / 差關 [정치·법제]
1882년 차관(差關)은 조선 사신 일행이 청에 들어갈 때 필요했던 문서. 사신 일행이 갖고 가는 문서명을 포함해 직명과 성명을 적은 사행 명단 및 노자 인원수가 기록되어 있다. 발급자는 의정부, 수급자는 사절단의 정사와 부사인 심이택(沈履澤)과 민종묵(閔種默)이다.
-
서필원 / 徐必遠 [종교·철학/유학]
1614(광해군 6)∼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 서익 증손, 할아버지는 서용갑, 아버지는 서운기이다. 어머니는 이택민의 딸이다. 김집과 정홍명에게 수학하였다. 1648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홍문관부수찬, 사간원헌납, 이조좌랑, 평안도어사,
-
유숙 / 柳潚 [종교·철학/유학]
1564(명종 19)∼1636(인조 14). 조선 중기의 문신. 충관의 증손, 할아버지는 당, 아버지는 몽표, 어머니는 이택의 딸이다. 부인은 채천경의 딸이다. 1597년(선조 30)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병조참지, 동부승지, 대사간, 부제학, 병조참판 등을
-
홍언충 / 洪彦忠 [종교·철학/유학]
정순부·이택지·박중열 등과 함께 당대의 사걸이라 불렸다. 저서로는『자만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