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태중” 에 대한 검색결과 1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1)

사전(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국조방목(國朝榜目)』 『풍고집(楓皐集)』 (1694-1756) 1694(숙종 20)∼...
    이칭별칭 자삼(子三)| 삼산(三山)| 문경(文敬)
  • 이운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22(경종 2)∼1794(정조 18).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건지(健之), 호는 옥국재(玉局齋). 아버지는 생원 기중(箕重)이며, 판서 태중(台重)의 조카이다. 1759년(영조 35) 사마시에 합격해 ...
    이칭별칭 건지(健之)| 옥국재(玉局齋)
  • 향음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시골말. 비속한 말이라는 뜻을 내포하고 있음. 弟則所陳者本情 而兄主以崎嶇不平坦之心 發粗.鄕音之語 欲以譏辱相持 極可.然, (), 21(禮)-50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계방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역(役)과 세(稅)를 면제 받고, 아전들이 쓰는 경비를 계를 모아서 조달하는 마을. 혹은 그런 관계를 비유적으로 쓰기도 함. 계방(契房). 所欲面討者非一 而今已緯. 前期又杳. 無論彼此 非平日情誼所當然者 後日恐不可復論吾輩契坊矣, (), 21(禮)-50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김홍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일제(李日濟)의 천거로 예빈시참봉이 되었다. 저서로는 『동곡집』이 있다. 1816년에 관찰사 ()의 건의로 호조참판에 추증되었다. 『동곡집(東谷集)』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이칭별칭 명거(冥擧)| 동곡(東谷)

고서·고문서(110)

  • 次()【(海壽)】韻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 詩 下 157 次()【(海壽)】韻 02_085_022.jpg 次()【(海壽)】韻 次....韻: 외규에는 “再次大仲潯字韻”. 酒闌吟斷碧波潯, 楊柳風來散客襟。 谷霧江煙迷遠近, 臥聞幽澗細穿林。 次【海壽】韻 ▶1571년(辛未, 선...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1737년 이대중() 소지(所志)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칠곡 석전 광주이씨
  • 1745년 이대중() 소지(所志)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칠곡 석전 광주이씨
  • 1745년 이대중() 입안(立案)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입안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입안 | 현소장처칠곡 석전 광주이씨
  • 次()【(海壽)】韻【辛未】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拾遺 卷之一 【拾遺】賦 178 次()【(海壽)】韻【辛未】 39_121_102.jpg 次()【(海壽)】韻【辛未】 樓閣玲瓏壓水潯, 幾人登此爽煩襟? 今來自悔尋春晚, 綠盡平沙兩岸林。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4∼1756). 신임사화 때 화를 입은 노론 4대신의 신원을 주장하다가 탄핵받았다. 1740년에 지평이 되어 좌의정 유봉휘, 영의정 조태구를 파직시킬 것을 주청하다가 갑산에 유배, 풀려나와 부교리·황해도관찰사·평안도관찰사를 거쳐 예조참판·부제학

  • 청백리천거단자 / 淸白吏薦擧單子 [정치·법제]

    조선 정조 말기에 청백리를 선발할 때, 청백리로 천거된 사람들의 관직과 성명, 천거한 사람들의 성명 등을 천거 횟수별로 분류하여 기록해 둔 단자. 본 단자에 등장하는 피천인은 ()을 비롯하여 모두 84인으로, 모두 1694년(숙종 20)부터 정조 말기까지

  • 이윤영 / 李胤永 [종교·철학/유학]

    1714년(숙종 40)∼1759년(영조 35).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 이색의 14대손, 이기중의 아들, 의 조카이다. 노론의 문사들인 송문흠·김종수·김무택·신소·황경원 등과 교유하며 지은 많은 시문이《단릉유고》·《단릉산인유집》에 실려 있다. 글씨는 예서와 전

  • 유도헌 / 柳道獻 [종교·철학/유학]

    서 경사와 백가서를 탐독하였다. 한시동‧이준구‧‧김상흠‧이만창‧이염재 등과 도의로써 교유하였다. 저서는《전원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