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태좌” 에 대한 검색결과 1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8)

사전(2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하(奉朝賀)가 되었다. 시호는 충정(忠定)이다. 英祖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1660-1739) 660(현종 1)∼1739(영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글...
    이칭별칭 국언(國彦)| 아곡(鵝谷)| 충정(忠定)
  • 신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제문을 지었다. 수찬(修撰)ㆍ헌납(獻納)ㆍ교리를 거쳐, 부사과(副司果) 때에 타고난 성격이 추려(??)하고 지론이 괴패(乖悖)하다는 간원(諫院)의 탄액으로 파직당하였다. 이조참판 이만성(李晩成), 이조참의 (), 이조정랑 이재(李縡)의 상소로 교...
    이칭별칭 익중(翼仲)| 봉주(鳳洲)
  • 증욕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찌는 듯한 무더위. 此時蒸. 伏惟直候萬安 馳仰區區, (), 21(禮)-323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직후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당직(當直) 서는 사람의 안부. 此時蒸. 伏惟直候萬安 馳仰區區, (), 21(禮)-323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만안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모든 일이 평안함. 안부를 물을 때 쓰는 상투적 표현. 此時蒸. 伏惟直候萬安 馳仰區區, (), 21(禮)-323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99)

  • 1729년 () 준호구(准戶口)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57077 B057077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肅宗 26年 1月 19日_006 ○政院啓曰, 右承旨趙泰耉, 同副承旨宋廷奎, 昨日陳疏出去, 宋廷奎則有式暇, 今日病不進, 趙泰耉等當初不安, 實由於等島配照律, 而今則等, 有罷職放送之命, 不當更爲引嫌, 右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57085 B057085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肅宗 26年 1月 19日_006 ○政院啓曰, 右承旨趙泰耉, 同副承旨宋廷奎, 昨日陳疏出去, 宋廷奎則有式暇, 今日病不進, 趙泰耉等當初不安, 實由於等島配照律, 而今則等, 有罷職放送之命, 不當更爲引嫌, 右承...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051 B016051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37年 12月 14日_013 ○, 以義禁府言啓曰, 以江華留守狀啓, 刑曹粘目, 罪人鄭濂·金英成等, 移本府處置事, 允下矣。 鄭濂·金英成等, 時在江華府囚禁中, 事關掛書, 且有妖惡之言, 不可以羅將, 循例押...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8107 B018107 거제현 巨濟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7年 10月 11日_011 ○禁府, 善山府遠竄, 李命世 康津縣極邊遠竄, 李鳳徵 巨濟縣圍籬安置, 張天漢 固城縣, 張天綱 漆原縣, 張天䎘 昆陽郡, 張天翮 泗川縣, 張天維 機張縣, 張聖維 熊川縣, 張...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에서 쌍방련락군관회의를 진행하는데 동의한다고 통지해왔다. 오전 10시 우리측 련락군관 장춘산 대좌와 시정문 중좌는 상대방 련락군관 키니대좌 및 더대와 판문점에서 만나서 쌍방이 토론한 후에 개성회의장소에서 쌍방련락군관 회담을 진행할 것을 결정하였다. 개성에서 회...
    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1_0928_01 | 책임주필원응준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660(현종 1)∼1739(영조 15). 조선 후기의 문신. 항복 현손, 정남 증손, 할아버지는 시술, 아버지는 세필, 어머니는 박세모의 딸이다. 영의정 광좌 재종형이다. 1699년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검열에 올랐다. 그후 이조정랑, 강원도관찰사, 형조판

  • 이종성 / 李宗城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2∼1759). 이항복 5세손, 이시술 증손, 할아버지는 이세필, 아버지는 , 어머니는 홍득우의 딸이다. 1727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대사간·홍문관부제학·영의정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특히 영남·관서 등에 어사로 파견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