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태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8)
사전(20)
- 이태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59(영조 35)∼1840(헌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내경(來卿). 수약(守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세관(世觀)이고,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구원(龜元)이며, 어머니는 이헌복(李憲復)의 딸이다...이칭별칭 내경(來卿)| 초암(草庵)
- 李大淳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S_0025 李大淳 인물 碑, 庶孽, 精通, 經學, 童蒙訓導, 課程, 年齒, 門地, 棄歸, 朋黨, 時政, 大官, 慢罵, 貴賤, 綺羅, 斗祿, 大禍, 靖社, 先見 癸亥 眉叟許相, 姜復泉鶴年 中庸, 竹泉閒話 S_11_01_25 성...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1권 1장 2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창균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김기보(金基報)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850년경 이태순(李泰淳)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심춘(柳尋春)의 서문이, 권말에 이태순의 발문이 있다.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의 이범구(李範九)가 소장...
- 청계헌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승문원에서 고향의 부모를 그리며 지은 시와 경치를 읊은 것들이다. 소는 당시 천주교도로 지목되어 유배된 정약용(丁若鏞)을 구원하려다가 목태석(睦泰錫)의 반대로 난처한 처지에 놓여 있던 이태순(李泰淳)의 사면을 청한 글로, 아울러 사헌부지평의 사직을 청하였다. 「...
- 김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19(충숙왕 6). 고려 후기의 문신. [내용] 1310년(충선왕 2) 6월 권신(權臣)인 태안부원군(泰安府院君) 이대순(李大順)의 부인 위씨(韋氏)가 영평궁(永平宮)과 노비문제로 다투게 되었을 때 언부전서(讞部典書)로서 산랑(散...이칭별칭 경정(景貞)
고서·고문서(67)
- 이태순(李泰淳)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이태순(李泰淳)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2월에 노옹(老翁) 태순(泰淳)이 이군(李君)에게 보낸 편지로, 상대방에게 안부를 묻고 독서를 통해 책 속에서 의미하는 바를 정확히 체득하여 자기의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가족들의 길흉사를 언급하면서 어려운 부분은 이후 자주 자문을 구하라고 했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人事門5_李大淳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李大淳 眉叟 許相撰《姜復泉鶴年碑》云: “講《中庸》於李大淳先生.” 李卽庶孼, 而精通經學, 爲童蒙訓導, 多有成就. 其來學者, 嚴其課程, 敍其年齒, 不計門地. 貴遊子發怒鬪爭, 李乃棄歸曰: “吾自幼, 受業先生長者, 未見如今日風習. 口尙乳臭, 已分朋黨. 不識一丁, 先評時政.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一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임신년 이태순(李泰淳)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계미년 이태순(李泰淳)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구술자료(3)
- 이태순_사진001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가계도 이태순_사진001 종교‧철학 행사 현대 년 월 일 SK_SF_이태순.1.jpg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가계도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이태순_사진002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사승관계 이태순_사진002 종교‧철학 행사 현대 년 월 일 SK_SF_이태순.2.jpg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사승관계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조한춘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대해서 증언한 자료이다. 2) 음질 하(음질 불량 A면 20:04~22:06) 경기시나위 시나우 조한춘 양운선 이태순 이정업 전상현 오선숙 해금 피리 장구 굿거리 당악 염불 길군악 취태 심방곡 도살풀이 긴염불 가래조 길군악 섭채 모리 부정놀이 곁마치 진쇠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시나위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한춘
신문·잡지(11)
- 李泰淳(-)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泰淳(-) 개성 李泰淳 - 滿月町 645 - - 우돈육업 - - - 開城商工名錄, 1936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泰淳(-) | 지역개성 | 품목- | 영업종목우돈육업 | 자료출처開城商工名錄, 1936년
- 李泰順(德永米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泰順(德永米店) 서울 李泰順 德永米店 內資町 171 식료품 - 쌀 및 잡곡 소매 26.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泰順(德永米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쌀 및 잡곡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통일평론_1987_26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音楽の理想を求め-民族を伝えるピアニスト・崔仁洙- 李泰淳 124 万葉の朝鮮渡來歌人 (1) 権又根 132 편집후기 및 판권지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87
- 통일평론_1987_26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たまにはワープロしてみませんか 崔光 110 世界最強の空手家をめざして 李泰淳 118 難波路紀行 (2) 朴春...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87
- 통일평론_1988_27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112 民族武道, 跆拳道 李泰淳 114 ハラボジの綴り方 (6) 高成浩 120 漢拏山 (1)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88
기타자료(17)
- 이태순;李泰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7405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水原學報 제21권 제1호 1928―07―10 122면 이태순;李泰淳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태순;李泰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8024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1―09―10 175면 이태순;李泰淳 평남 제9회 1931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태순;李泰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8647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34―10―28 148면 이태순;李泰淳 평남 제9회 1931년 3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태순;李泰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31258 남한 경성 경신학교 1-23 儆新 창간호 1929 110면 ㅁ1. 회원록;ㅁ2) 1학년 을조 이태순;李泰淳 경북 대구부 명치정2정목 268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태순;李泰順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7362 남한 충남 예산농업학교 2-35 교우회보 제4호 1925―12―21 52면 이태순;李泰順 제13회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예산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
-
이태순 / 李泰淳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59∼1840). 1801년(순조 1) 즉위별시전시에 병과에 급제하였다. 1810년 장령이 되었을 때 시무4조를 진소하여 왕으로부터 가납을 받았다. 1718년 정약용의 사학지원을 소론하였으나 윤허를 받지 못하였고, 1823년 대사간의 지위에 올랐
-
창균유고 / 蒼筠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 김기보의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1850년경 이태순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심춘의 서문이, 권말에 이태순의 발문이 있다. 경상북도 안동시 녹전면의 이범구가 소장하고 있다. 권1에 시 55수, 소 1편, 지 1편, 권2에 부록으로 뇌사 1
-
김기보 / 金基報 [종교·철학/유학]
년경 이태순에 의해 편집 간행된 2권 1책의 목판본『창균유고』가 전한다.
-
박종신 / 朴宗臣 [종교·철학/유학]
1754년(영조 30)~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박필철, 조부는 박사복이다. 부친 통훈대부 수원진관병마절제도위 박재원과 모친 조명원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동생은 박종유이다. 부인은 최수일의 딸이다. 1806년(순조 6) 이태순‧조양진‧한긍리 등과 함께 홍문
-
성대호 / 省大號 [지리/인문지리]
점으로 보아 성대호가 이 지역을 중심으로 존속했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 현종 때 홍주(洪州)로 예속시켰다가 충렬왕 때 이곳 사람 이대순(李大順)이 원나라에 가서 공을 세웠다 하여 군으로 승격시켰다. 1373년(공민왕 22) 왜구의 침입이 극심하여 이곳 주민의 피해가 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