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칙”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6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63)
사전(111)
- 이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38(세종 20)∼1496(연산군 2).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고성(固城). 자는 숙도(叔度). 강(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좌의정 원(原)이고, 아버지는 한성부소윤 질(垤)이며, 어머니는 광주정씨(光州鄭氏)로 장령(...이칭별칭 숙도(叔度)| 정숙(貞肅)
- 이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73(고종 10)∼1936. 조선 말기의 의병. [내용] 호는 신구당(愼懼堂). 충청남도 청양 출신.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 체결되자 김동필(金東弼)ㆍ경현수(慶賢洙) 등의 유림들과 함께 궁문 밖에 나가 일본인들의 횡포와 5조약의 무...이칭별칭 신구당(愼懼堂)
- 이칙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폭군인 하나라 화제에 대항하여 반군을 일으킨 금천씨의중군대원수(中軍大元帥)이다. 하나라를 멸망시킨 후 금천씨를 황제로 추대하여 상나라의 개국공신이 되고 총재에 임명된다. 후에 황제의 두 부인이 질투가 심하자 원나라 윤제가 호색하다 망국한 사실을 예로 들어 황제에게 간한...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李則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4775 李則 인물 右議政, 倜儻, 不羈, 文名, 登第, 知中樞府事 鐵城 叔度, 貞肅 D_20_03_61 대동운부군옥 20권 3장 6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0권 3장 6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이칙(李則)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칙 이칙 李則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세조~성종 최양규 이범직 2014 숙도(叔度) 정숙(貞肅) 양반 남자 1438년(세종 20) 1496년(연산군 2) 4월 14일 고...
고서·고문서(1,857)
- 已飭袁道赴京由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이미 원도에게 북경으로 가도록 명하였다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대만중앙연구원근대사연구소 | 발신일光緒29年09月29日;1903-11-17
- 駁夷則無射無上宮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030 樂書孤存 卷二 ITKC_MP_0597A_1030_000_0220 駁夷則無射無上宮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권차명樂書孤存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尼勅克縣哈拉圖排 [한국상고사의 공간적 범위확정을 위한 쿠르간 아카이브 구축 | 서울대학교]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서울대학교 김종일 역사 유물 선사 尼勅克縣哈拉圖排 1900년대 洛浦縣山普拉 M2호 ?(?/?) 이리 하 유역 43°36'19"N 83°22'37"E 신강위구르자치구박물관 ...대표표제어尼勅克縣哈拉圖排 | 발굴조사연대1900년대 | 고분군洛浦縣山普拉 M2호 | 무덤조성연대서주~춘추
- 俄外部意已飭過滬兵弁從速回國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러시아 외부의 뜻은 상해에 있는 러시아의 관병(官兵)들을 이미 귀국시키라고 지시하는 것임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대만중앙연구원근대사연구소 | 발신일光緒31年01月10日;1905-02-13
- 俄艇用費已飭東海關另造送清冊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러시아 함정에게 비용을 지불할 것임에 따라 동해관도(東海關)에게 별도로 등기부를 작성하여 보내도록 이미 지시함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대만중앙연구원근대사연구소 | 발신일光緒32年02月14日;1906-03-08
신문·잡지(192)
- 正誤二則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젼일잡보즁 농상공부에셔 산회샤 인허를 한슈얏단 말은그샤원의말을거즉무근지셜이라고 남셔미동리근영씨집등이 별감을구타얏단말은 각궁쳥직이로 평복별감 홍근호씨등과 피상얏스나 초립과 홍의를 파상얏단말은 허언이라더라게재일1906년 5월 19일 | 기사분류잡보
- 公報二則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본 군용마량슈집소 감독 기미구진이가 진남포병참령관의 공함을가지고 말은풀 일만팔쳔관을 음 구월 이십오일로 쥰비야달나고 방장독쵹니 츄슈방장에 민졍이오오즁 여두소읍에 공보가잇다더라게재일1905년 10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內訓二則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에셔 각관찰부에 훈령기 졍토죵 건으로 이왕 신칙얏거니와 별신칙이아니면 원등에 작폐와 군의 의혹이 불무기로 이에훈칙니 각군에 젼칙야 위 그근쳐 찰에 봉안케고 공 결단코 빌니지 말되 만일 작폐가잇거든 일졀 엄금고 큰일이면 관찰부에셔감쳐...게재일1905년 11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正誤二則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일젼본보 御史執臟이란 뎨하에 평안도어 리슌하씨가 갈닌 령변관찰 민경호씨 샹경시에 별은집쟝 얏단말과 平監封庫란 뎨하에 어가 평양감리 한쥬씨 봉고얏단말은 모다 량에 허젼이기로 졍오노라게재일1903년 4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지금 우리 나라에 형편이 이치 말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지금 우리 나라에 형편이 이치 말못된 것과 당장 긴급히 일이 만히 잇스되 나도 잘되여 가 거슨 업고 다만 페단과 랑만 기어 나라 일이나 사 업이나 졈졈 못되여 가 거슬 실상 각여 보면 그 인즉 다만 나 나 문이라 나라 일노 말 드도 졍부...게재일1898년 8월 24일 | 기사분류논설
기타자료(3)
- 발해 사신 왕효렴 등이 본국으로 돌아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上啓 不敢違常 然不遵舊例 愆在本國 不謝之罪 唯命是聽者 朕不咎已往 容其自新 所以勅於有司 待以恒禮 宜悉此懷 間以雲海 相見無由 良用爲念也 春首餘寒 王及首領百姓竝平安好 有少信物 色目如別 略此還報 一二無悉 (『日本後紀』 24 嵯峨紀) 【원문】 (春正月)甲午 渤海國使王孝廉等歸蕃...대표표제어발해 사신 왕효렴 등이 본국으로 돌아가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815년(乙未/신라 헌덕왕 7/발해 僖王 朱雀 4/唐 憲宗 元和 10/日本 嵯峨天皇 弘仁 6)
- 발해 사신 왕효렴 등이 본국으로 돌아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違常 然不遵舊例 愆在本國 不謝之罪 唯命是聽者 朕不咎已往 容其自新 所以勅於有司 待以恒禮 宜悉此懷 間以雲海 相見無由 良用爲念也 春首餘寒 王及首領百姓竝平安好 有少信物 色目如別 略此還報 一二無悉 (『日本後紀』 24 嵯峨紀) 【원문】 (春正月)甲午 渤海國使王孝廉等歸蕃 賜書曰...대표표제어발해 사신 왕효렴 등이 본국으로 돌아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15년(乙未/신라 헌덕왕 7/발해 僖王 朱雀 4/唐 元和 10/日本 弘仁 6)
- 일본 嵯峨天皇이 발해 僖王에게 보내는 詔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本國 不謝之罪 唯命是聽者 朕不咎已往 容其自新 所以勅於有司 待以恒禮 宜悉此懷 間以雲海 相見無由 良用爲念也 春首餘寒 王及首領百姓竝平安好 有少信物 色目如別 略此還報 一二無悉 (日本後紀』 24, 太上天皇 嵯峨天皇 弘仁 6년(815)) 【해석】 (정월 갑오일(22)에 발해국...대표표제어일본 嵯峨天皇이 발해 僖王에게 보내는 詔書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3)
-
이칙 / 李則 [종교·철학/유학]
1438(세종 20)∼1496(연산군 2). 조선 전기의 문신. 강 증손, 할아버지는 원, 아버지는 질, 어머니는 정지당의 딸이다. 1462년(세조 8)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장흥고직장, 병조좌랑, 이조정랑, 승정원동부승지, 좌우부승지, 이조참판, 충청도관찰사,
-
이병모 / 李秉模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2∼1806). 영조·정조·순조 대에 청요직을 역임 후 1799년과 1803년 두 차례에 걸쳐 영의정을 지냈다. 동지부사로서, 진하사로서, 책봉주청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삼강행실도》·《이륜행실도》를 정조 명으로 편찬하였다.
-
마지기 / [경제·산업/산업]
수 있다(九人挽犂則可代一牛力日耕可種二三十斗余).”라는 데서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