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충호” 에 대한 검색결과 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

사전(9)

  • 옥성헌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변상수(邊尙綏)의 시문집. [내용] 1책. 석인본. 1937년 6대손 시균(時均)ㆍ태균(台均) 등의 편집을 거쳐 변광훈(邊光勳)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권상익(權相翊)ㆍ()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권명섭(權...
  • 송간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황응규(黃應奎)의 시문집. [내용] 3권 2책. 목활자본. 원래 ≪회산세고 檜山世稿≫에 들어 있던 것을 1927년 후손 정흠(鼎欽)‧순영(淳永) 등이 따로 뽑아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의
  • 오봉정공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의병장‧문인 정사제(鄭思悌)의 시문집. [내용] 4권 1책. 활자본. 1899년 후손 종구(鍾球)가 편집하고 중간한 것이다. ≪옥봉정공유집≫의 권두에 안수록(安壽祿)의 서문과 김문옥(金文鈺)‧()의 중간서문이 있다...
  • 응천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홍택주(洪宅疇)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42년 홍택주의 손자 홍우섭(洪禹燮)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2책. 목활자본. 국립중앙도서관과 고...
  • 구계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김영락(金英洛)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38년 그의 손자인 정준(定畯)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손자 재준(載畯) 등의 발문 6편이 있다. [서지적 사항] ...

고서·고문서(28)

  • 신해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895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1945년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945년 4월 10일에 가 답장이 늦어진 것에 대해 미안한 마음을 전하고 왕림해 주기를 청하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많은 근심거리와 병으로 지금까지 정신을 차릴 여가가 없었고 갑자기 토사증에 걸려서 거의 치료되지 못할 지경이었다가 오늘 아침에야 비로소 수저를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946년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946년 1월 그믐날에 가 보내준 물품에 대해 감사의 뜻을 표하기 위해 보낸 편지이다. 자신의 깊은 병이 늘 오래도록 낫지 않은 상황에서 상대 아들과 그 며느리가 왕래하는 것을 보게 되니 조금 마음과 눈이 트인다고 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교통이 막혀서 늙은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교남빈흥록병반촌일기(嶠南賓興錄幷頖村日記)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명>이황</지명>(李滉, 1501~1570)의 위패를 옮겨 치제(致祭)하기 까지의 과정을 다룬 일기로, <문헌>『교남빈흥록(嶠南賓興錄)』</문헌>의 부록으로 실려 있다. 본래는 <문헌>『교남빈흥록』</문헌>만 간행되었던 듯하나, 1922년에 <인명></인명>(...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1)

기타자료(4)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9448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0면 ; 제3회 1943년 3월 25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0523 남한 경성 경성실업전수학교 1-10 경실 제3호 1932 109면 ㅁ1. 졸업생명부;ㅁ3) 제3회 ; (원적및주소또는근무처)충남 천안군 희성면 신덕리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실업전수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3889 남한 경성 경성실업전수학교 1-10 京實제5호 1934―04 116면 1. 졸업생명부;3) 제3회 ; (원적및주소또는근무처)충남 천안군 희성면 신덕리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실업전수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해외 교육 정보) 미국 개정 이민법 중 유학생에 관한 규제 내용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잡지 1997 5 교육월보 185호 교육부 ...
    범주1국제협력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충호 | 사료철명교육월보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1872년(고종 9)∼1951년. 일제 강점기 유학자. 이황의 종손, 부친은 이중경이다. 이만인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900년(광무 4) 장릉참봉을 지냈으며, 주자학과 퇴계학에 전념하였다. 해방 후에는 보문의숙을 세우고 가르침을 베풀었다.《주서절요》·《계몽전의》·《

  • 구계유고 / 龜溪遺槁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생존한 학자 김영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8년에 간행한 시문집. 1938년 그의 손자인 정준(定畯)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손자 재준(載畯) 등의 발문 6편이 있다. 2권 1책. 석판본.

  • 오봉정공유집 / 五峯鄭公遺集 [문학/한문학]

    조선전기 의병장 정사제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9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1책. 활자본. 1899년 후손 종구(鍾球)가 편집하고 중간한 것이다. 『옥봉정공유집』의 권두에 안수록(安壽祿)의 서문과 김문옥(金文鈺)·()의 중간서문이 있다. 권말에 송병선(

  • 고계집 / 古溪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학자·문신 이휘령의 시문집. 8권 4책. 활자본. 손자 이중인과 장증손 , 외종손 허훈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이 없어 간행연대는 미상이나, 권말에 허훈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125수, 소 5편, 서 29편, 전문 2편, 권3·4에 서

  • 김영락 / 金榮洛 [종교·철학/유학]

    1831년(순조 31)∼1906년(광무 10). 조선 말기 유학자. 이병불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노인직으로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를 받았다. 문집으로 손자 김정준이 편집 간행한《구계집》은 가 서문을, 손자 김재준이 발문을 붙였다. 문집은 시가 주류를 이루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