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충무공전서” 에 대한 검색결과 9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2)

사전(8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亂關係文獻叢刊 1, 亞細亞文化社, 1984) / 난중일기 조선 중기의 명장 이순신의 유고전집. 규장각도서. 1795년(정조 19)에 왕명으로 교서관에 국을 설치하고, 이순신의 유고와 관계문건을 망라...
  • 한산도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선조 때 이순신(李舜臣)이 지은 시조. [구성 및 형식] 1수. 진본(珍本) 『청구영언(靑丘永言)』을 비롯한 22종의 가집에 실려 있고,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도 기록되어 있다. 이 시조의 한역가는 『()...
  • 난중일기(亂中日記)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1834 문헌 난중일기(亂中日記) 난중일기 亂中日記 이순신(李舜臣, 1545-1598)이 임진왜란 중에 쓴 7년간의 일기. 7책 205장. 필사본. 국보 제76호. 『()』(전 14권) 중 제5권부터 제8권에...
    유형분류문헌
  • 이순신(李舜臣)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유탄에 맞아 전사하였다. 묘는 충청남도 아산시(牙山市) 어라산(於羅山)에 있으며, 충무(忠武)의 충렬사(忠烈祠), 순천(順天)의 충민사(忠愍祠), 아산(牙山)의 현충사(顯忠祠) 등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충무(忠武)이며, 유고전집으로 『()』가 있다...
    유형분류인물
  • 제만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적정탐지에 공을 세웠다. 그뒤 대솔군관(帶率軍官)을 이어 군관에 영속되어, 노령에 이르기까지 통영에서 관료(官料)를 받았다. 『()』

고서·고문서(4)

신문·잡지(2)

  • 민세안재홍전집 : 名士의 讀書 其他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085 1936 4 15 1 1 安在鴻 안재홍 名士의 讀書 其他 잡지 사해공론 12호,2권 4호 71쪽 설문 문화 직접자료 선집외 佛陀의福音, B19360415사해01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조선출판경찰월보 022호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22호 () 미기재 서장석(徐長錫) 경성(京城) 조선_1930년 6월 4일 삭제 치안 한문 왜추(倭酋), 왜적이라는 문...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22호 이충무공전서 | 출판물명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

주제어사전(2)

  • /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중기의 명장 이순신의 유고전집. 14권 8책. 활자본. 원집 8권과 부록 6권으로 되어 있다. 1795년(정조 19)에 왕명으로 교서관에 이를 관장할 국을 설치, 이순신의 유고와 관계 문건을 망라해 규장각검서 유득공의 감독·지휘 아래 편집, 간행되었다. 이 전서는

  • 한산도가 / 閑山島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선조 때 이순신(李舜臣)이 지은 시조. 1수. 진본(珍本) 『청구영언(靑丘永言)』을 비롯한 22종의 가집에 실려 있고,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도 기록되어 있다. 이 시조의 한역가는 『()』 권1 및 『충무공가승(忠武公家乘)』에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