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총”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31)
사전(111)
- 이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04(연산군 10). 조선 중기의 종실. [내용] 자는 백원(百源), 호는 서호주인(西湖主人)ㆍ구로주인(鷗鷺主人)ㆍ월창(月牕). 태종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근녕군(謹寧君)이고, 아버지는 우산군 종(牛山君踵)이며, 부인은 생육신의 ...이칭별칭 백원(百源)| 서호주인(西湖主人), 구로주인(鷗鷺主人), 월창(月?)| 충민(忠愍)|무풍군
- 이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88(성종 19)∼1544(중종39).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종지(淙之), 호는 마재(磨齋). 아버지는 세조의 아들인 덕원군 서(德源君曙)이다. 승헌대부(承憲大夫) 숭선부정(嵩善副正)에 봉해졌다. ...이칭별칭 종지(淙之)| 마재(磨齋)| 문헌(文憲)
- 이총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858(헌안왕 2)∼938(태조 21). 신라 말 고려 초의 호족. [내용] 벽진군(碧珍郡 :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출신으로 세계(世系)는 알 수 없다. 신라 말기 도적이 도처에서 일어나 노략질이 심하였던 시기에 그는 벽진군의 치안에 힘써...
- 이총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전기에 사용하던 화기(火器). [내용] 세종 때의 화약무기 대개량 때 제조된 것으로 장군화통‧일총통 다음으로 크며, 손으로 들고 사용할 수 있는 총 중에서 가장 크다. 청동으로 제조된 이총통의 구조는 당시의 총포와 같이 앞부터 취(...
- 이총독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732)
- 北傀武裝船(북괴무장선)이총격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北傀武裝船(북괴무장선)이총격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휴전선, 북괴, 총격,...대표표제어北傀武裝船(북괴무장선)이총격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휴전선, 북괴, 총격, 기습, 납북
- 宋蔡襄謝諭以有子如此,其母之賢可知,特賜冠帔以寵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40_0670 宋蔡襄謝諭以有子如此,其母之賢可知,特賜冠帔以寵之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姦淫之殪 【淫尼縱姦,別人求姦,中夜發喊毆殺 ○乾隆】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380 欽欽新書 卷四 ITKC_MP_0597A_1380_020_0460 姦淫之殪 【淫尼縱姦,別人求姦,中夜發喊毆殺 ○乾隆】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권차명欽欽新書 卷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西部(서부)전선 北傀兵(북괴병)이銃擊(총격)도발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西部(서부)전선 北傀兵(북괴병)이銃擊(총격)도발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서...대표표제어西部(서부)전선 北傀兵(북괴병)이銃擊(총격)도발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서부전선, 북괴, 총격, 도발
- 五列射殺(오열사살) 警察(경찰)이銃擊戰(총격전)끝에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역사 문헌 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 동국대학교 김용현 五列射殺(오열사살) 警察(경찰)이銃擊戰(총격전)끝에 대한민국(남한) 동아일보 기타(신문) 남한의 주요 일간지인 『동아일보』: 1920년 4월 1일 창간 ...대표표제어五列射殺(오열사살) 警察(경찰)이銃擊戰(총격전)끝에 | 저작권자동아일보 | 자료구분기타(신문) | 키워드간첩, 인천근방, 총격전, 사살
구술자료(1)
- 토벌대로 활동하면서 다양한 전투를 치르다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이 평지에 가서 이 지서 같은 거 있을 수가 없어요. 늘 공격을 했기 따문에. 그래서 거그서 인자 잠을 자고 그날 비가 오고 그랬어. 그래서 이총기라는 건 기름을 묻혀가지고 닦아놓고 이 저 사방 데를 잘 닦아야지 그거이 눌어붙고 해서 총을 쏴가지고 나가지를 않는 거이조사지역서울 | 조사일2013년 1월 23일
기초학문(1)
- 北宋時代的改革思想管見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손흥철, 게재일 : 200725730 손흥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中國國際圖書貿易總公司 2007 北宋時代的改革思想管見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64)
- 因銕移塚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셩 원샨간에 텰도 노을터인남서외일와셔등디에 잇난 분묘 오십여△△ 불일로 파가라고 일본병참소에셔 독촉하난데 분묘한쟝에 파옴기난 부비로 당오평 삼십오량식 츌급터이라더라게재일1905년 5월 17일 | 기사분류잡보
- 李摠理獨陛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춍리대신 리완용씨 작일 오후칠시에 예궐야 금번 아문제로 일본 외무대신이 건너오일에 야 상쥬 일도잇고 탁지부 셔긔관셔임안건등을 상쥬가후 동구시경에 퇴궐얏 동십시경에 각대신은 약현에 젼왕야 리춍리를방문 얏다더라게재일1907년 7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李摠理賜宅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춍리대신 리완용씨가 그가를 피소후로 거졉쳐소가 업고로 삼으로엄쥰원씨의집을 하시고 돈이만환을 하신다더라게재일1907년 7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李摠相奔忙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춍리대신 리완용씨 작일 오젼에 즁츄원 고문 박졔슌씨와 시죵쟝죠민희씨를 방문후 고등학교와 무관학교에 젼왕야 황뎐하게셔 학교 시찰압시 가를 지영얏다더라게재일1907년 10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李總理動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춍리대신 리완용씨 졍무상에 무삼경유 일이 잇던지 작일 오후이시에 각으로 조통감관뎌에 젼왕즉 이등통감이 관뎌에 잇지안이고로 즉시 통감부에 가셔 졉견고 돌아오길에 농상공부대신 송병쥰씨집에 들어가 송농대를 방문후 각으로 다시돌아왓 대 임션쥰씨가 들어...게재일1907년 6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22)
- 이종관;李縱觀;목하영태랑;木下榮太郞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8783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동창회회원명부 1941―12―20 45면 이종관;李縱觀;목하영태랑;木下榮太郞 제12회 1937년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발해인과 철리인 1100여명이 일본에 오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발해→일본 【번역】 이해, 발해인 및 철리 총 1100 여명이 천황의 덕화를 흠모하여 내조하였다. 데와국에 안치하고 의복과 식량을 주어 돌려보냈다. (『續日本紀』 13 聖武天皇 天平18年 是年) 【원문】 是年 渤海人及鐵利摠一千一百餘人慕化來朝 安置出羽國 給衣糧放...대표표제어발해인과 철리인 1100여명이 일본에 오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46년(丙戌/ 신라 경덕왕5/ 발해 문왕 大興10/ 당 현종 天寶5/ 일본 聖武 天平18)
- 신라가 당에 왕자 김수충을 당에 숙위로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번역】 당현종 개원 2년 2월 임인일(14) 신라왕자 김수충(金守忠)이 와서 조공하고 숙위(宿衛)하며 머무르니, 집과 비단을 내려주고 그를 총애하였다. (冊府元龜 996 外臣部 41 納質) 【원문】 唐玄宗開元二年二月壬寅 新羅王子金守忠來朝 留宿衛 賜宅及帛以寵之...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왕자 김수충을 당에 숙위로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14년(甲寅/신라 성덕왕 13/발해 고왕 16/唐 開元 2/일본和銅 7)
- 신라가 당에 왕자 김수충을 당에 숙위로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帛以寵之 (『冊府元龜』 996 外臣部 41 納質)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왕자 김수충을 당에 숙위로 보내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14년(甲寅/신라 성덕왕 13/발해 고왕 16/唐 開元 2/일본和銅 7)
- 발해인과 철리인 1100여명이 일본에 오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是年) 【원문】 是年 渤海人及鐵利摠一千一百餘人慕化來朝 安置出羽國 給衣糧放還(『續日本紀』 13 聖武天皇 天平 18年 是年)대표표제어발해인과 철리인 1100여명이 일본에 오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46년(丙戌/신라 경덕왕 5/발해 문왕 大興 10/唐 玄宗 天寶 5/日本 聖武天皇 天平 18)
연구과제(1)
-
조선후기 야담집(野談集)의 교감 및 정본화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정환국 | 동국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8)
-
이총 / 李摠 [역사/조선시대사]
?∼1504(연산군 10). 조선 중기의 종실. 태종의 증손, 아버지는 이종이다. 이종은 이정의 양자로 들어가 대를 이었으며, 생부는 근녕군 이농이다. 이총의 첫째 부인으로 평양조씨, 둘째 부인으로 의령남씨가 있는데, 의령남씨는 생육신의 한 사람인 남효온의 딸이다.
-
이총언 / 李悤言 [종교·철학/유학]
858(헌안왕 2)∼938(태조 21). 신라 말 고려 초의 호족. 왕건이 고려를 건국한 뒤에 그에게 사람을 보내어 마음을 같이하고 힘을 합하여 화란을 평정할 것을 호소하자 매우 기뼈하며 아들 영을 보내어 군사를 거느리고 왕건을 도와 후백제와의 전쟁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
도리총고 / 道里摠攷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제22대 왕 정조가 도로에 관한 모든 정보를 종합하여 1797년에 편찬한 지리서. 『도리총고(道里摠攷)』는 정조가 육로와 해로를 불문하고 도로에 관한 모든 정보를 종합 정리한 지리서이다. 이 책은 가탐(賈耽)의 『군국지(郡國志)』에 따라 전국 각 군현의 경
-
이정기 / 李貞基 [종교·철학/유학]
1872년(고종 9)∼1945년. 일제 강점기 성리학자. 이총언의 후예, 부친은 이원하이다. 장복추·김흥락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905년(광무 9) 을사조약에 대한 소식을 듣고, 일본의 침략을 배척하는〈양이설〉을 저술하여 영남유림의 경각심을 고취시켰다. 저서로《
-
천주공경가 / 天主恭敬歌 [문학/고전시가]
1779년(정조 3) 이벽(李檗)이 지은 천주가사. 순한글로 되어 있는 작품으로,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17행이다. 정약전(丁若銓)·권상학(權相學)·이총억(李寵億)이 지은 「십계명가」와 더불어 최초의 천주가사이다. 『만천유고(蔓川遺稿)』에 전하는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