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천보” 에 대한 검색결과 20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4)

사전(53)

  • 진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내용] 8권 4책. 활자본. 1781년(정조 5) 종형 정보(鼎輔), 종제 익보(益輔), 외종제 김양택(金陽澤)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황경원(黃景源)‧남유용(南有容)과 아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98(숙종 24)∼1761(영조 37).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의숙(宜叔), 호는 진암(晉庵). 일상(一相)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성조(成朝)이고, 아버지는 옥천군수 주신(舟臣)이며, 어머니는 김만기...
    이칭별칭 의숙(宜叔)| 진암(晋庵)| 문간(文簡)
  • 엄계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여항시인(閭巷詩人). [개설] 본관은 영월(寧越). 자는 숙일(叔一), 호는 국산(菊山). 아버지는 명필로 유명한 한붕(漢朋)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신분은 서리(胥吏) 출신이며 (...
    이칭별칭 숙일(叔一)| 국산(菊山)
  • 이호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60(명종 15)∼?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의(士宜). 취산(鷲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천보(憲輔)이고, 아버지는 교관(敎官) 천경(天擎)이며, 어머니는 유헌(柳憲)의 딸이다. ...
    이칭별칭 사의(士宜)
  • 송덕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83(정조 7).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숙함(叔咸), 호는 과암(果菴). 시열(時烈)의 현손으로, 아버지는 교관 무원(婺源)이다. 1753년(영조 29) 좌의정 ()의 천거로 세자익위사...
    이칭별칭 숙함(叔咸)| 과암(果菴)| 문간(文簡)

고서·고문서(132)

구술자료(3)

  • 의 탄생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앞서 이천보가 성장하여 벼슬하기까지의 이야기가 끝나자 어머니가 관한 이야기가 빠졌다면서 바로 이야기를 이어갔다. 고 령임에도 불구하고 제보자는 이야기를 실제 현장에 있는 것처럼 자세하게 구연해 주었다
    조사일시2010.12.18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월산면 월산리 도개마을 마을회관 | 제보자정회원
  • 의 생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서 제보자의 생애담에 관한 이야기가 꽤 길었다. 이야기가 끝나자 조사자가 이천보에 대해서 물어보니 제보자가 다음 이야기를 구연했다. 1차에 이어 2차로 제보자를 찾아가서 조사가 진행되었는데, 여전히 연세에 비해 열의가 넘쳤고, 적극적이었다. 그리고 제보자의 ...
    조사일시2011.01.14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월산면 월산리 도개마을 마을회관 | 제보자정회원
  • 의 성장하여 벼슬하기까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앞서 가정마을 천석꾼 이야기를 마치자 거짓말만 하고 있다면서 조사자들을 살폈다. 이에 조사자는 소중한 이야기라고 말씀드리자 마침 제보자 옆에 있던 청중이 조사자들에게 재차 재미있는 지를 묻자 조사자가 적극적으로 대답했다. 그러자 제보자 가 또 이야기를 ...
    조사일시2010.12.18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월산면 월산리 도개마을 마을회관 | 제보자정회원

신문·잡지(6)

  • 0 김명덕 한태근 리천보, 전영하, 한태근 리천보 포 중대, 중대, 문화부 중대 포 중대장 동무 중대는 소속 구분대와 함께 조치원 해방을 위하여 계속 진공하다가 읍내리 지점에서 적 한 개 련대와 조우하게 되였었다. 이때이다. 아군...
    대표표제어승리를위하여_1950_0720_02 | 책임주필김명덕
  • 오기찬 【○○전선에서 특파기사 한태근발】 45미리포중대장 동무 구분대가 조치원 해방을 위하여 계속 진공하여 조치원 북방 읍내리 지점에서 적 한 개 련대와 조우전을 전개하였을 때였다. 아군은 과소의 병력이였으나 요소요소를 차단하고 적을 반포위하기...
    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0_0724_03 | 책임주필오기찬
  • 삼월 담갑으로 국보급 본금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成현 二十錢 申應祚 二十錢 李相德 二十錢 朴應春 二十錢 金興燁 二十錢 崔仁汝 二十뎐 鄭慶順 二十뎐 李慶化 二十錢 全又鉉 二十뎐 羅聖鉉 二十錢 元景洙 二十錢 二十뎐 合六圓三十뎐 南門倉內米廛市民會同 孫完默新貨三圜 宋宅洙 三圓 孫完用 一圓 孫相五 一圓 孫相殷 一圓 孫...
    게재일1907년 2월 23일 | 기사분류광고
  • 이 탄우 속을 헤치며 적진 300메―터 지점까지 포를 접근시켰다. 적들은 조적으로 포수들의 동작을 제지하려고 애썼다. 그러나 포수들은 태연침착하게 화점을 감시하고 묘준의 정확성을 기하였다. 중대장의 사격 구령이 내렸다. 명포수의 이름이 높은 추영송 포장의 첫...
    대표표제어조선인민군_1950_0730_02 | 책임주필오기찬
  • 성을 자랑하는 허다한 실례들이 있다. 읍내리전투에서 ○○부대 2중대 동무의 영웅적 활동은 전사들간에서도 유명한 이야기이다. 7월 12일 조치원해방전에서 동무는 미군에 대한 반전차임무를 받았다. 그리하여 그는 45미리포를 배치하고 자기 임무를 수행하던 중...
    대표표제어조선인민보_1950_0805_02_02

주제어사전(7)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8∼1761). 1739년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장령·이조참판·병조판서·영의정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나 장헌세자의 평양 원유사건에 책임을 지고 자결하였다. 저서로《진암집》이 있다.

  • 가평연하리향나무 / 加平連下里香─ [과학/식물]

    경기도 가평군 상면 연하리에 있는 향나무. 경기도 기념물 제61호, 나무높이는 15m, 가슴높이줄기둘레는 2. 6m, 수관폭은 12m이다, 이 나무와 이웃해서 문화재자료 제 55호인 () 고가가 있다. 즉 이 향나무가 서 있는 마을은 조선 영조(英祖) 때

  • 엄계흥 / 嚴啓興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국산집』을 저술한 여항시인. 아버지는 명필로 유명한 엄한붕(嚴漢朋)이다. 신분은 서리(胥吏) 출신이며 ()와 사귀었는데, 천보가 스승으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한다. 신분의 제약으로 뜻을 펴지 못하였으나 권세있는 자를 두려워하지 않았다고 한

  • 천의소감언해 / 闡義昭鑑諺解 [언어/언어/문자]

    년 김재로(金在魯)·()·조재호(趙在浩) 등 39명의 신하를 시켜 한문으로 『천의소감』을 짓게 하면서 동시에 한글로 번역시켜 이듬해에 함께 간행하였다.

  • 조영순 / 趙榮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25∼1775). 희석 증손, 할아버지는 태채, 아버지는 겸빈, 어머니는 민계수의 딸이다. 대사성·이조참판·병초참판·호조참판 등을 지냈다. 부수찬 때 왕세자에게 영의정 를 매도하는 글을 올렸다가 유배, 사직 때 소론의 영수 최석항의 신원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