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천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
사전(4)
- 삼익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이천배(李天培)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00년경 후손 달신(達新)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심춘(柳尋春)의 서문이 있다. 계명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2수, 서(書) 1편, 제...
- 이천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67(명종 22)∼1634(인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경산(京山). 자는 숙발(叔發), 호는 백천(白川). 1601년(선조 34)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형 천배(天培)와 함께 정구(鄭逑)를 사사하였으며, 1620...이칭별칭 숙발(叔發)| 백천(白川)
- 一萬二千峯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C6_S_0003 一萬二千峯 산림 天下, 佛書, 東北海, 一萬二千菩薩, 菩薩, 本名, 僧徒, 佛書, 大地一周不過九萬里 長安寺, 金剛, 東北海, 金剛山, 東人, 楓嶽, 東海 李稼亭, 曇無竭菩薩, 河崙, 佛氏 長安寺碑, 華嚴經, 般若, 佛書,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2권 1장 5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기재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천배(李天培), 정산현감 강필교, 백령절제사 이장익(李長益) 및 삼종숙(三從叔) 시언(時言), 재종형 유재(幼宰), 김구순(金久淳) 등을 대상으로 지은 제문 등이 있다. 부록의 제문‧애사‧위장 등은 그의 아우인 유녕(幼寧)의 행적과 결부된 내용이다.
고서·고문서(34)
- 5 第五統統首李天白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92년_대현면(大峴面) 1792년 대현면(大峴面) 第六松亭里 5 第五統統首李天白 第一戶 幼學李天白年參拾捌乙亥本蔚山父學生擎國祖學生熽曾祖學生命聃外祖學生金億令本義城妻李氏年 肆拾癸酉籍鐵城父學生師伋祖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德禧曾祖學生光文外祖學生朴尙甲本密陽率子潤...연도_면이름1792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六松亭里
- 明禮宮(1722)_전라도 해남현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24436 18241_1_3812 奎18241_1 明禮宮(1722) 전라도 해남현 銀所面 전라도 해남현 銀所面 117 117결 이천백(李千白) 이천백(李千白)자료번호18241_1_3812 [奎18241_1]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다대포(多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8685 B038685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27年 7月 12日_023 ○南泰齊, 以兵曹言啓曰, 今見拆見諸道褒貶啓本, 則慶尙左水使權儆啓本中, 多大浦僉使秦應會, 以雖有少謗爲目, 豆毛浦萬戶李天培, 以少疵宜恕爲目, 則竝置中考而置諸上考。 京畿監司柳復明啓本...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대포(多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萬戶李天培。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다대포(多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萬戶李天培。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1)
- 서백룡;徐白龍;이천백룡;利川白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9255 남한 전북 전주고등보통학교 2-41 졸업대장(1-22회) n.r. 106면 서백룡;徐白龍;이천백룡;利川白龍 전북 정읍군 淨雨面 花川里 456 제19회 (5년제, 86명) 194...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이천배 / 李天培 [종교·철학/유학]
1558년(명종 13)∼1604년(선조 37). 조선 중기 유학자. 부친 이침과 모친 이수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김흥우의 딸이다. 오건과 정구의 문인으로 수학, 장현광‧서사원‧여감호 등과 서신왕래로 교유하였다. 평생 경전을 연구하며 후진 양성에 힘쓰다 47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