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천” 에 대한 검색결과 12,74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617)

사전(1,59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후기의 무신. [내용] 응양군대장군(鷹揚軍大將軍)을 역임하였다. 1256년(고종 43) 6월 몽고 제6차 침입군을 막기 위하여 수군 200여명을 인솔하고 남도로 내려가 온수현(溫水縣 : 지금의 충청남도 아산)에서 적군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49(충정왕 1). 고려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1299년(충렬왕 25)에 국자감시(國子監試)에 급제하였다. 1321년(충숙왕 8)에 우사보(右思補)로서 폐인(嬖人) 이인길(李仁吉)의 첩...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76(우왕 2)∼1451(문종 1). 조선 세종 때의 무신‧과학자. [개설] 본관은 예안(禮安). 호는 불곡(佛谷). 군부판서 송(竦)의 아들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393년(태조 2)에 17세의 나...
    이칭별칭 불곡(佛谷)| 익양(翼襄)
  • TD_L14_S_0162 인물 徽宗初, 哲宗初, 元豐八年, 治平, 煕寧 涪州, 西京, 漢州寺 尹和靖, 太后, 顧臨, 聖人, 明道, 司馬光, 呂公著, 韓絳, 蜀黨, 諸葛亮, 孔子, 子路, 尹幼章, , 孟子 S_19_01_51 성호사설 ...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19권 1장 5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0_D_0052 인간 기타 新羅末, 高麗初 峯城, 南平, 大丘 箕子, 徐神逸, 徐穆 D_02_03_42 대동운부군옥 2권 3장 4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권 3장 4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9,529)

  • 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四十八 京畿都觀察 縣 45 本高句麗南川縣新羅幷之眞興王陞爲州置軍主景德王改名黃武爲漢州領縣高麗 太祖南征郡人徐穆導之利涉故賜號郡仍屬廣州任內仁宗二十一年癸亥【卽宋 高宗 紹興十三年】始置監務恭讓王二年庚午【卽洪武二十三年】以祖妣申氏之鄕陞爲南川郡本朝太祖二年癸...
    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世宗實錄地理志 卷第一百五十三 江原道 縣 25 監一人本高句麗 伊珍買縣新羅改今名爲兔山郡領縣高麗 顯宗戊午爲東州任內後置監務太宗十三年癸巳例稱縣監別號花山城山【在縣北縣人以爲鎭山】 德津溟所【在縣北置祭田其官行祭】四境東距平康二十四里西距黃海道 新恩三十里南距京畿 安峽十里北距咸吉道 安...
    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시 김 길림성(吉林省) 연길시(延吉市) 하남가 4 3 시, 아직, 똑똑, 소식, 편지, 거래, 큰삼촌, 김씨, 아래,...
    대표표제어이천시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백불 박 남자 길림성(吉林省) 영길현(永吉县) 우라가향(烏拉家鄉) 이도촌 5 3 백불, 가짜, 확인, 이리,
    대표표제어이천백불 | 성씨
  • 6328 P-SDK-06328-P-A-22-12 P-SDK-06328-P-A-22-12-1 P-SDK-06328-P-A-22-12-2 일만봉 DONG LONG CAVE STALACTITE GROTTO UNIVERSAL 동룡굴 회엽서 봉투
    자료명일만이천봉 | 발행처蝀龍窟保勝會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109)

  • 삼백원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구렁덩덩 신선비 이야기를 해달라고 하자 “옛날에 구렁이 보고 신선이라고 하면 구렁이가 좋아서 춤췄다고 하는 거”라고 대답하는 것을 보아 그 자료는 모르는 것 같았다. 그래서 더 이야기를 해 달라고 조르자 잠시 생각이 안 난다고하며 그러면 우스운 이야기라도 ...
    조사일시1979-02-26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여주 | 제보자안평국
  • 백서방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그만 얘기나 하나 하겠다고 하며 심명섭이 들려준 이야기다.*
    조사일시1979-08-07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북내면 | 제보자심명섭
  • 보의 탄생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제보자는 앞서 이천보가 성장하여 벼슬하기까지의 이야기가 끝나자 어머니가 관한 이야기가 빠졌다면서 바로 이야기를 이어갔다. 고 령임에도 불구하고 제보자는 이야기를 실제 현장에 있는 것처럼 자세하게 구연해 주었다
    조사일시2010.12.18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월산면 월산리 도개마을 마을회관 | 제보자정회원
  • 보의 생애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서 제보자의 생애담에 관한 이야기가 꽤 길었다. 이야기가 끝나자 조사자가 이천보에 대해서 물어보니 제보자가 다음 이야기를 구연했다. 1차에 이어 2차로 제보자를 찾아가서 조사가 진행되었는데, 여전히 연세에 비해 열의가 넘쳤고, 적극적이었다. 그리고 제보자의 ...
    조사일시2011.01.14 | 조사장소전남 담양군 월산면 월산리 도개마을 마을회관 | 제보자정회원
  • 과 정명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홍갑춘씨가 혼자 계속 이야기를 하자 옆에서 듣고 있던 이상훈씨가 다시 나서서 들려 준 자료다.*
    조사일시1981-07-16 | 조사장소충청남도 아산군 둔포면 | 제보자이상훈

기초학문(22)

  • 南昌熙의 生涯와 學問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2
    66371 한국연구재단 경남문화연구원 2012 南昌熙의 生涯와 學問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權近의 『周見錄』에 나타난 성리학적 의리역학의 정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학권, 게재일 : 2013
    64794 김학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양철학회 2013 權近의 『周見錄』에 나타난 성리학적 의리역학의 정초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년 전 里耶鎭으로의 旅程과 {里耶秦簡} 簡介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8
    66717 한국연구재단 중국고중세사학회 2008 년 전 里耶鎭으로의 旅程과 {里耶秦簡} 簡介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메이드 인 ‘바링허우’-년대 중국 문학의 어떤 경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자영, 게재일 : 2010
    22558 박자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0 메이드 인 ‘바링허우’-년대 중국 문학의 어떤 경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정문(程門)의 ‘미발’설과 ‘구중’(求中) 공부-소계명(蘇季明)과 여여숙(呂與叔)에 대한 ()의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승환, 게재일 : 2009
    44733 이승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철학연구소 2009 정문(程門)의 ‘미발’설과 ‘구중’(求中) 공부-소계명(蘇季明)과 여여숙(呂與叔)에 대한 ()의 비판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769)

  • 餘殃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긔리쳔군읍 부근 열두동리 의병과 일병이 츙돌된 여앙으로 츙화를 당야 물소가 되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8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 消息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본월 십오일 오후시경에 리쳔군하에 의병 이명이 둔취얏 일본슈비 병뎡이 습격야 의병의 쥭은쟈가 십오명이요 샹자가 이십일명인 양춍 십오병과 창를 엇고 여당은 산도쥬얏다고 경긔경시 김션영씨의 보고가 부에 도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10월 22일 | 기사분류잡보
  • 來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거월삼십일에 경긔 리쳔군에셔 의병 ○○○○○○○과 일병이 교전되야 의병은 즉시 퇴각 얏 의병즁 쥭은쟈가 오명 가량이오  본월이일 오후이시경에 군남방으로 이십리 가량되 디방에셔 일본인이 뎐션을 슈리 폭도이삼십명이 일본 보호병과 교젼되야 즉시 퇴각얏다더...
    게재일1907년 9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修費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대구관찰부 션화당과 각공에 거졉엿던일본관리가 타쳐로 이졉말은 이왕긔엿건니와 통감부에셔 졍부로교셥야 각 공당 슈리비 이쳔원을 곳지츌라 고 중쳥각을빌녀 일본인 보좌관 등이 거졉케라 엿다더라
    게재일1906년 10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內下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황상폐하셔경셩상업회의소에 돈이쳔환을 하압시고 군부대신 리근씨가 일쳔원을 보죠다더라
    게재일1906년 5월 1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16)

기타자료(576)

  • 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936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47면 규;珪 경북 尙州;경성부 원동 4-13 재학생 제3학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4304 북한 경기 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3-13 好鐘 제10호 1937―12―20 153면 (2) 졸업생일람 수;壽 개성부 고려정 492 고보14회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好壽敦女子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060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21면 진;鎭 함남 북청군 양가면 중리 제6회 1922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0604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44면 응;應 경성부 봉익정;大光산업주식회사(종로4정목 49), 자동차주식회사 제3회 1921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래;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5462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貞信 창간호(貞信女學生基督敎靑年會) 1935―03―20 77면 1. 졸업생상황(1935년 1월 조사) 래;來 경성;경성 서대문외 西城여관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23)

  • / [종교·철학/유학]

    ?∼1349(충정왕 1). 고려 후기의 문신. 1299년(충렬왕 25)에 국자감시에 급제하였다. 1344년(충혜왕 복위 5)에 지공거 박충좌와 함께 동지공거로서 진사를 뽑고 하을지 등 33인에게 급제를 주었다. 같은 해에 첨의평리 상의로 원나라에 가서 교사를 축하하고

  • 군 / [지리/인문지리]

    7.9㎢, 인구 8만2599명(1944년 현재)이다. 11개 면 91개 이로 되어 있으며, 군청 소재지는 면 향교리이다.

  • 기 / [정치·법제/법제·행정]

    1607(선조 40)∼1671(현종 12).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정수(廷秀)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빈(贇)이고, 아버지는 도사 시정(時程)이며, 어머니는 이형장(李亨長)의 딸이다. 대표적인 관직으로는 승지, 한림, 삼사이랑(三司吏郎)을 지냈다.

  • 배 / [종교·철학/유학]

    1558년(명종 13)∼1604년(선조 37). 조선 중기 유학자. 부친 이침과 모친 이수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김흥우의 딸이다. 오건과 정구의 문인으로 수학, 장현광‧서사원‧여감호 등과 서신왕래로 교유하였다. 평생 경전을 연구하며 후진 양성에 힘쓰다 47세를

  • 보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98∼1761). 1739년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장령·이조참판·병조판서·영의정 등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나 장헌세자의 평양 원유사건에 책임을 지고 자결하였다. 저서로《진암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