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88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53)
사전(328)
- 이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75(우왕 1)∼1435(세종 17). 조선 전기의 종실. [내용] 아버지는 의안대군 화(義安大君和)이다. 1387년에 산원(散員)이 되었고, 이어 낭장ㆍ장군 등을 거쳐 원윤(元尹)이 되었으나, 1402년(태종 2)에 불미스런 여자문제...이칭별칭 양정(良靖)
- 이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평사낙안도 / 이징 1581(선조 14)∼? 조선 중기의 화가. 이징의 그림. 97.5x56.5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이금산수도 / 이징 1581(선조 14)∼? 조선 중기의 화...이칭별칭 자함(子涵)| 허주(虛舟)
- 정암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징룡(李徵龍)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권두에 저자의 자서가 있다. 벽진이씨대종회에 있다. 권1은 시 10수, 서(書) 3편, 제문 5편, 잡저 1편, 권2는 부록으로 첨소록(瞻掃錄)‧절목(節目...
- 이징(里徵)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징 이징 里徵 군포(軍布) 군역전(軍役田), 군포계(軍布契) 인징(隣徵), 족징(族徵) 경제재정/역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후기 정연식 [정의] 군포를 내야 할 사람이 내지 못할 경우 마을상위어군포(軍布) | 하위어군역전(軍役田), 군포계(軍布契) | 관련어인징(隣徵), 족징(族徵)
- 이덕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75(숙종 1)∼1773(영조 49).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달경(達卿). 행건(行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관찰사 만웅(萬雄)이고, 아버지는 지돈녕부사 징하(徵夏)이며, 어머니는 정보연(鄭普衍)의 ...이칭별칭 달경(達卿)
단행본(2)
- 재중 한인타운의 형성과 발전-베이징 왕징 한인타운을 중심으로 [재중한인디아스포라:재중한인디아스포라의 재구성과 발전적 통합 | 동덕여자대학교]저자 : 정종호 설동훈 ... | 출판사 : 한국학술정보(주) | 출판일 : 20200301유형단행본이 책은 여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목적과 필요성, 본 연구가 갖는 이론적 의의, 기존 연구 분석, 연구내용과 방법 등을 소개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왕징 한인타운의 형성⋅성장⋅재편을 다룬다. 한중 수교와 사회적 교류를 살펴보고, 베이징시의 왕징 개발...
- 재중 한국인 관련 방송자료집 [재중한인디아스포라:재중한인디아스포라의 재구성과 발전적 통합 | 동덕여자대학교]저자 : 김윤태 ... | 출판사 : 동덕여대 한중미래연구소 | 출판일 : 20140925분야언론‧출판 | 유형단행본본 자료집은 2012년 7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진행된 ‘KBS 한민족 하나로’ 방송 ‘재중한국인편’의 방송 대본을 묶어 편집했다. 본 자료집은 재중한국인 관련 연구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공헌을 할 수 있다. • 1992년 한중 수교 이래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고서·고문서(3,893)
- 배이징시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배이징시 이 여자 베이징시(北京市) 숭문구(崇文区) 서화시대가(西花市大街) 루이펑복장창 2 1 배이징시, 숭문구, 서...대표표제어배이징시 | 성씨이
- 원베이징방송국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원베이징방송국 김 여자 베이징시(北京市) 오오사신상이분상 2 2 원베이징방송국, 여기서, 바쁜와중, 부탁,대표표제어원베이징방송국 | 성씨김
- 門外有吏徵租更索錢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610 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ITKC_MP_0597A_1610_000_1060 門外有吏徵租更索錢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眞珠船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1726년 이징신(李徵臣)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제천 한수 연안이씨
- 1726년 이징신(李徵臣) 고신(告身)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고신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고신 | 현소장처제천 한수 연안이씨
구술자료(4)
- 한동상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노), 딜러 (Dealer), 증권, 유엔(UN) 북한 대표단, 캐나다(Canada), 토론토 (Toronto),『뉴 코리아 타임스(New Korea Times)』, 전충림, 해외동포 원호위원회, 홍동근 목사, 북경(베이징), 안내원, 평양 관광, 김일성 동상, 헌화(구술자한동상 | 직업증권업 | 지역함경도
- 신이한 보련등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면 상경해서 그게 지금이 베이징인데 그쪽에 가서 시험을 보는데, 그 화산은 화산에는 신묘가 있는데 그 사원같이 신묘가 있는데 그러니까 사원이면 보통 불교 유교 이런 건데 이건 약간 불교가 아니라 그냥 신묘인데 여러 신선들을 모셔놓고 이렇게 하는 건데 그 ‘삼성모’라는국가중국 | 제보자조림 [중국, 여, 1992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결혼이야기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그래서 얘 셋 낳고 엄청 잘 살아요. 늦게 결혼하더니 얘 셋씩이나 낳고. [조사자: 그래서 장녀, 여동생은] 남동생은 베이징에 있어요. 아빠 모시고 아빠가 좀 건강이 원래 안 좋으셔서, 결혼해서 살고 있어요. [조사자: 아버지랑 같이.] 엄마는 왔다갔다 하시는데 아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이화 [중국(한국계), 여, 1974년생, 결혼이주 1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백사전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으로 밤낮으로 하는 거예요. 정신없이 하더라고. 이 이야기를 듣고, 이 1등 했잖아요. 왕에 올라가서, 그러니까 승경(성경, 城京)에 올라가서, 뭐 베이징 같은 데 올라가서, 왕한테 가서 올라가서 왕한테 가서 인사하고 관 위에 올라갈 날짜도 왔는데, 그런데 이 아들은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권경숙 [중국(한국계), 여, 1981년생, 결혼이주 10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37)
- 베이징 도시 여성의 소비욕망과 좌절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순진, 게재일 : 200408963 김순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학연구회 2004 베이징 도시 여성의 소비욕망과 좌절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유형논문 | 게재일2004
- 정치변동 하의 베이징 후퉁 지역사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조수성, 게재일 : 200104179 조수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정치학회 2001 정치변동 하의 베이징 후퉁 지역사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웰에이징: 노년의 삶에 대한 여헌 장헌광의 성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269845 한국연구재단 동양고전학회 2012 웰에이징: 노년의 삶에 대한 여헌 장헌광의 성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유형논문 | 게재일2012
- 다운사이징과 인적자원관리:비판적 재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상언, 게재일 : 199913252 박상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인사관리학회 1999 다운사이징과 인적자원관리:비판적 재고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유형논문 | 게재일1999
- [논문] 베이징, 공간배치를 통한 문화정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128051 한국연구재단 한국외국어대 중국연구소 2011 [논문] 베이징, 공간배치를 통한 문화정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유형논문 | 게재일2011
신문·잡지(435)
- 38. 주베이징 스웨덴대사의 정보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학교 프랑스어권연구소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38. 주베이징 스웨덴대사의 정보 국제 문헌 현대 스웨덴, 한국, 인도, 베이징, 중국, 방콕, 모스크바 기타자료 한국전쟁 관련 중국의 동향 보고 스웨...대표표제어38. 주베이징 스웨덴대사의 정보 | 자료유형외교문서(우편공문) | 작성연월1953년 3월 | 작성일5일
- 9. 베이징 라디오 보도와 공중전 상황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학교 프랑스어권연구소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9. 베이징 라디오 보도와 공중전 상황 국제 문헌 현대 베이징, 워싱턴, 판문점, 마셜제도, 랴오둥반도 기타자료 한국전쟁 현황 보고 베이징, 워싱턴,대표표제어9. 베이징 라디오 보도와 공중전 상황 | 자료유형외교문서(전보) | 작성연월1952년 8월 | 작성일10일
- 20. 베이징의 답변을 기다림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학교 프랑스어권연구소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20. 베이징의 답변을 기다림 국제 문헌 현대 인도, 한국, 베이징 기타자료 한국전쟁 관련 인도의 동향 보고 쇼벨, 베네갈 라우, 파니카, 네루, 저우...대표표제어20. 베이징의 답변을 기다림 | 자료유형외교문서(전보문) | 작성연월1951년 1월 | 작성일20일
- 74. 베이징 라디오 방송의 내용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학교 프랑스어권연구소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74. 베이징 라디오 방송의 내용 국제 문헌 현대 일본, 베이징, 중국, 미국, 영국 기타자료 한국전쟁 관련 중국언론의 보도 내용 전달 일본, 베이징,...대표표제어74. 베이징 라디오 방송의 내용 | 자료유형외교문서(전보문) | 작성연월1951년 3월 | 작성일29일
- 50. 베이징 정부의 인도의 안에 대한 입장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학교 프랑스어권연구소 한국전쟁 관련 프랑스외무부자료 수집·번역 및 DB 구축 50. 베이징 정부의 인도의 안에 대한 입장 국제 문헌 현대 인도, 베이징, 중국, 뉴델리 기타자료 한국전쟁 관련 인도와 중국의 동향 보고 인도, 베이...대표표제어50. 베이징 정부의 인도의 안에 대한 입장 | 자료유형외교문서(전보) | 작성연월1952년 11월 | 작성일28일
멀티미디어(119)
-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사례-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사례-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사례-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사례-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이다. 1주차. 새 왕조 서화의 복고풍과 안평대군 이용 2주차. 왕조를 대표한 화가,안견 3주차. 시대 예술의 모범 사례- 이경윤,이징 부자(父子) 4주차. 백대에 남길 글씨, 서예가 한호(韓濩) 5주차. 문제아에서 그림의 신(神)으로불린 화가 김명국(金明國) 6주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기타자료(35)
- 이징로;李徴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8131 남한 경북 대구공립상업학교 2-17 대구공립상업학교 졸업대장 1928(제1회)~1945(제19회) n.r. 47면 - 이징로;李徴魯 경북 13 1940년 3월 2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공립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징환;李澄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0578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102면 이징환;李澄煥 경북 칠곡군 지천면 신동 24 제23회 4268년 3월 5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징팔;李徵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2612 남한 경성 양정고등보통학교 1-35 양정 제6호 1930 87면 1. 양정교우회 회원명부;1) 통상회원;(7) 제2학년 을 (62명) 이징팔;李徵八 (원적)평북 금산군 금산면 서동 1...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양정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징팔;李徵八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13559 남한 경성 양정고등보통학교 1-35 양정 제8호 1931 104면 1. 양정교우회 회원명부;1) 통상회원;(4) 제4학년 을 50명 이징팔;李徵八 (원적)평북 금산군 금산면 서동 1...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양정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해외교육정보) 베이징 기행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해외교육정보) 베이징 기행 (해외교육정보) 베이징 기행 (해외교육정보) 北京 기행 교육 문헌 국제협력 국제교류범주1국제협력 | 형식잡지 | 한글저자함수곤 | 사료철명문교행정
연구과제(2)
-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강진호 | 성신여자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
한국학 및 한국어 교육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Jamila Ermetova | Urganch Davlat Universiteti (Urgench State University) | 2022 | 국외
주제어사전(25)
-
이징 / 李澄 [종교·철학/유학]
1581(선조 14)∼? 조선 중기의 화가. 16세기의 대표적인 문인화가인 이경윤의 서자이다. 화원으로 벼슬은 주부를 지냈다. 1609년 원접사의 수행 화원으로 동행하였으며, 1623년 위항 문인 유희경의 요청에 의하여 그의 별서의 실경 산수화인 <임장도>를 그렸다.
-
이징명 / 李徵明 [종교·철학/유학]
1648(인조 26)∼1699(숙종 25). 조선 후기의 문신. 중기 증손, 할아버지는 행건, 아버지는 만웅, 어머니는 서경주의 딸이다. 송시열의 문인이다. 예조좌랑, 정언, 지평, 수찬, 이조참의, 대사간, 평안도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다.
-
규장각지 / 奎章閣志 [역사/조선시대사]
였다.책머리에 어제서문(御製序文)이 있고, 끝에 이복원·이징지(李徵之)·황경원·서명응·김종수(金鍾秀) 등 5인의 발문이 있다. 내용은 8목 34항으로 되어 있다.
-
유승현 / 柳升鉉 [종교·철학/유학]
1680(숙종 6)∼1746(영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 숙 증손, 할아버지는 진휘, 아버지는 봉시, 어머니는 신이징의 딸이다. 1719년(숙종 45)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조좌랑, 병조정랑, 사헌부장령, 영해부사, 공조참의, 풍기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저
-
이유일 / 李惟一 [종교·철학/유학]
1577년(선조 10)∼미상. 증조부는 이징, 조부는 이척, 부친은 이구익이다. 1601년(선조 34) 신축 생원시에 급제, 1615년(광해군 7) 을묘 알성시 병과 1위로 문과에 급제했다. 인조반정 후에 전랑, 교리가 되었다. 수북 김광현, 창주 윤지경 등과 교우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