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진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12)
사전(121)
- 이학종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진상(李震相)이 경전 중에서 성리(性理)의 요지를 모아 엮은 책. [내용] 원래 22권의 필사본으로 되어 있는 것을 아들 승희(承熙)와 문인 허유(許愈) 등이 1897년에 22권 10책의 목판본으로 출간하였다. 규장각...
- 이진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진상(1818-1886) 1818(순조 18)-1886(고종 23). 조선 말기의 유학자.이칭별칭 여뢰(汝雷)| 한주(寒洲)
- 도한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鄕飮禮)를 행하여 사풍(士風)을 진작시키고, 후진을 양성하고 유학의 부흥에 힘썼다. 학행(學行)으로 천거되었으며, 가선대부(嘉善大夫)의 직첩이 내려졌으나 받지 않았다. 이진상(李震相)의 문인으로 당시 장석영(張錫英) 등과 편지를 통하여 태극 및 심설(心說)에 대...이칭별칭 예숙(禮叔)| 관헌(管軒)
- 춘추집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이진상(李震相)이 『춘추』에 관한 여러 설을 모아 정리한 책. [내용] 20권 10책. 목판본. 1912년 아들 승희(承熙)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저자의 서문과 범례, 인용 선유 성씨(引用先儒姓氏), 춘추 강령,...
- 이진탕(二陳湯)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진탕 이진탕 二陳湯 의학(醫學) 감초(甘草), 귤피(橘皮), 반하(半夏), 생강(生薑), 적복령(赤茯苓) 이중탕(理中湯) 문화의학·약학/처방 약 김호 반하(半夏), 귤피(橘皮), 적복령(赤茯苓...상위어의학(醫學) | 하위어감초(甘草), 귤피(橘皮), 반하(半夏), 생강(生薑), 적복령(赤茯苓) | 관련어이중탕(理中湯)
논문(6)
- 20_이진상 심즉리설의 함의와 목적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저자 : 김낙진 | 게재정보 : 동방학
- 17_허유의 심설 토론과 갈등의 양상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저자 : 김낙진 | 게재정보 : 한국철학논집
- 13_노백헌 정재규의 주리적 심학의 형성 과정−한주학단과의 교유를 중심으로−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저자 : 김낙진 | 게재정보 : 한국철학논집
- 19세기 심설논쟁의 발단양상에 관한 연구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저자 : 안유경 | 게재정보 : 한국철학논집
- 6_19세기 심설논쟁의 발단양상에 관한 연구 [심설논쟁 아카이브 구축 -자료의 수집‧발굴, 교감‧표점, 해제, 해석- | 한국전통문화대학교]저자 : 안유경 | 게재정보 : 한국철학논집
고서·고문서(1,073)
- 4 第四統統首李進尙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08년_부내면( 府內面) 1708년 부내면( 府內面) 第五新校洞 4 第四統統首李進尙 第一戶 牧子李進尙年肆拾捌辛丑本蔚山父通政大夫得男祖正兵今福曾祖正 兵戒宗外祖正兵今同本蔚山母良女召史妻校婢是乃年伍拾貳丁酉本 蔚山父校奴得先祖正兵千伊曾祖角先外祖通政大夫卞彦希本...연도_면이름1708년_부내면( 府內面) | 면이름부내면( 府內面) | 마을이름第五新校洞
- 1879년 이진상(李眞相) 등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59년 이진상(李眞相) 등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79년 이진상(李眞相) 등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1879년 이진상(李眞相) 등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초학문(4)
- 寒洲 李震相의 ??直字心訣??에 보인 直思想의 理學的 특색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형성, 게재일 : 201553952 이형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문화연구원 2015 寒洲 李震相의 ??直字心訣??에 보인 直思想의 理學的 특색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유형논문 | 게재일2015
- 丁若鏞과 李震相의 공칠정설 비교: 李瀷의 영향과 관련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종우, 게재일 : 201763530 이종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열상고전연구회 2017 丁若鏞과 李震相의 공칠정설 비교: 李瀷의 영향과 관련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지각설을 중심으로 본 한주 이진상의 성리학-심즉리설 성립의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낙진, 게재일 : 200929401 김낙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고전학회 2009 지각설을 중심으로 본 한주 이진상의 성리학-심즉리설 성립의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유형논문 | 게재일2009
- 19세기 영남학파의 人物性同異論爭 비판 -한주 이진상의 비판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종우, 게재일 : 200925630 이종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유교학회 2009 19세기 영남학파의 人物性同異論爭 비판 -한주 이진상의 비판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5)
- 십일월 이십륙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함흥부 쥬 김희근이 갈닌에 김승욱으로 임고 츙쥬부 쥬 김승오 갈닌에 리진상으로 임고 군부리 홍우형과 탁지쥬 류담과 한셩 우톄 쥬 셩락호와 군부쥬 조셕률은 시죵원 분시어를 겸임다 경무관 리죵덕은 직무상에 억읨이 잇기로 십오일 벌봉에 쳐다게재일1898년 11월 30일 | 기사분류관보
- 충남로동신문_1951_0714_01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반대하는 저의의 조국해방전쟁에서 용감성과헌신성을 발휘하여 빨지산투쟁에서 영웅적 위훈을 세운 충남 빨지산 지휘관 림유재 리진상 리상률 동무에게 충남 빨지산 영웅칭호를 수여함과 동시에 충남 빨찌산 영웅메달을 수여한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충청남도 군사위원회 위원장 □□렬...대표표제어충남로동신문_1951_0714_01 | 책임주필세민
- 충남로동신문_1951_0710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172 세민 대전시 충남로동신문사 리영근 곽○○부대 제3중대는 참모장 리진상 동무의 지휘하에 대전에서 불과 1킬로메―터 떠러진 중요한 대전 일대 전력 □산처인 가오리 변전소를 습격 파괴하는 전투 과업을 맡고 출발하였다. 정확한 인민 정보망과 직접...대표표제어충남로동신문_1951_0710_02 | 책임주필세민
- 청탑_1965_003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민과 의무 이진상 79 미지의 인간에게 한정강 81 풍차는 지금도 돈다 이덕영 82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5
- 충남로동신문_1951_0710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은 복수심에 불타고 빛나는 눈동자들은 여기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면 소재지를 □시하였다. 해는 지고 밤이 되었다. 부대는 9시 행동을 개시하여 고지에서 골영□ 골작으로 나려와 원쑤를 향하여 떠났다. 여기서 변전소 공격으로 리진상 □모자□ 지휘하는 부대와 산내□ 1지서를...대표표제어충남로동신문_1951_0710_02 | 책임주필세민
기타자료(3)
- 이진상;李鎭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1312 남한 경남 진주고등학교 2-47 진주고등학교, 졸업증서대장, 1930~1944년 n.r. 28면 - 이진상;李鎭祥 소화9년 3월5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진상;李珍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1562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同窓會名簿 1941―12―28 80면 이진상;李珍祥 滿洲國 間島省 汪淸市 汪淸木材公司 제23회 1936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진상;李鎭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2721 남한 경남 진주고등보통학교 2-47 飛鳳10号 1940―03―25 113면 이진상;李鎭祥 제5회 1934년 3월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8)
-
이진상 / 李震相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유학자(1818∼1886). 청나라에 대해 사대의 예를 폐하자는 상소 및 서원철폐령 반대운동 등 정치에 관한 활동을 펼쳤으나 뜻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학문적으로는 주자와 이황의 주리론을 발전시켰으며《이학종요》외에 많은 저서가 있다.
-
곽종석 / 郭鍾錫 [종교·철학]
항일기의 유학자(1846∼1919). 을사조약 체결 후 매국노의 처형을 상소하였고 파리의 만국평화회의에 독립호소문을 보내고 옥고를 치렀다. 이황의 학문을 계승한 스승 이진상에게서 성리학을 이어받아 주리에 입각하여 이기설을 주장하였다. 저서에는《면우문집》이 있다. 1
-
장복추 / 張福樞 [종교·철학/유학]
1815년(순조 15)∼1900년(광무 4). 조선 후기 유학자. 1881년(고종 18) 천거되었고 장원서별제·경상도도사 등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하고 평생 학문만을 탐구하였다. 교유 인물로는 이진상·정삼석·김진우·곽종석·허훈 등이 있는데, 이들과는 학파를 이루어 학문적
-
관헌집 / 管軒集 [종교·철학/유학]
편, 제문 2편, 축문 7편, 묘지 2편, 전(傳) 1편, 권19에 부록으로 행장·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시에는 이황(李滉)을 사숙하여 지은 시가 많은데, 이황의 「십죽도시(十竹圖詩)」를 병풍으로 만들어서 이를 완상하며 지은 시들도 있다. 서에는 스승인 이진상(李震
-
소요당일고 / 逍遙堂逸稿 [문학/한문학]
조선 전기의 문인 박하담(朴河淡)의 시문집. 5권 2책. 목판본. 『소요당일고』 권두에 이휘령(李彙寧)·이돈우(李敦禹)의 서문과 권말에 이진상(李晉祥)의 발문이 있다. 『소요당일고』 권1에 부(賦) 4편, 사(詞) 2편, 시 55수, 서(書) 4편, 잡저 2편, 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