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진만” 에 대한 검색결과 2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3)

사전(5)

  • 백은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5권 2책. 목판본. 1893년(고종 30)에 친족 종보(鍾輔)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만인(李晩寅)의 서문과 권말에 후손 윤범(潤範)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와 국립중앙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약 6.5㎞이다. 소청천(素淸川)이 관해면과 삼해면의 접경을 따라 만내로 흘러드며, 소청동 해안에는 지름 1㎞ 전후의 석호인 번포(翻浦)가 형성되어 있다. 북위 42° 상에 위치한 주변은 북서계절풍의 영향으로 겨울의 추위가 심하고, 연강우량은 약 560㎜...
  • 백사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명산(御明山)‧어석산(於石山)‧돈수덕산(敦水德山) 등으로 둘려 있다. 산세를 살펴보면 북쪽 사면 기슭은 급사면으로 산세가 험하고, 남동쪽 사면은 멀리 동해의 ()으로 흘러들어가는 소청천(素淸川)의 상류에 의해 산지사면이 하각침식당하고 있다. 식물상은...
  • 비아리보(非兒里堡)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류로는 초산군(楚山郡)의 아이진·산양회진(山羊會鎭), 위원군(渭原郡)의 갈헌동보(乫軒洞堡)·직동진(直洞鎭)·오로량진(吾老梁鎭) 등이 차례로 위치하였다. 비아리보는 초산군의 아이진과 매우 가까운 거리에 있으면서 아호의 관리를 받았다. 비아리보의 역할은 압록강을...
    상위어병영(兵營), 방어영(防禦營), 진(鎭) | 관련어진보(鎭堡), 내비아리(內非兒里), 외비아리(外非兒里)
  • 나선직할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안과 해안에는 서번포(西藩浦)를 비롯하여 동번포‧만포‧흑지‧소호‧용수 등의 자연호수들이 있다. 해안선은 복잡한 편으로 반도(半島)와 갑(岬), 그리고 조선만‧나진만‧을 비롯한 크고 작은 만들과 포구들이 많다. 앞바다에는 알섬‧붉은섬‧비파도‧안섬‧소초도‧대초도‧괴도...
    이칭별칭나진선봉시|라진선봉시|나선시|라선시|라선직할시|라선특급시|나선특급시

고서·고문서(212)

기초학문(1)

  • 경기도 외국인정책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진만, 게재일 : 2012
    58001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경인행정학회 2012 경기도 외국인정책에 관한 네트워크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
    유형논문 | 게재일2012

신문·잡지(2)

기타자료(3)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3043 남한 충북 청주고등보통학교 2-50 舟城 제3호 1931년 3월31 101면 ;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4285 남한 충북 청주고등보통학교 2-50 舟城 제5호 1933―03―15 89면 ;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3710 남한 충북 청주고등보통학교 2-50 舟城 제4호 1932―03―30 94면 ;
    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675년(숙종 1)∼1752년(영조 28).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 이기정의 4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으로는 이진화·이진방·이진영이 있다. 1702년(숙종 28) 식년시 진사 3등 53위로 합격하였으나 과거 공부에는 뜻이 없어 명승지를 찾아다녔다. 교유한

  • / [지리/자연지리]

    접경을 따라 만내로 흘러드며, 소청동 해안에는 지름 1㎞ 전후의 석호인 번포(翻浦)가 형성되어 있다. 북위 42° 상에 위치한 주변은 북서계절풍의 영향으로 겨울의 추위가 심하고, 연강우량은 약 560㎜로 매우 적은 편이다. 동쪽에 돌출한 화단반도(花端半島)에 의

  • 백사봉 / 白沙峯 [지리/자연지리]

    으로 둘려 있다. 산세를 살펴보면 북쪽 사면 기슭은 급사면으로 산세가 험하고, 남동쪽 사면은 멀리 동해의 ()으로 흘러들어가는 소청천(素淸川)의 상류에 의해 산지사면이 하각침식당하고 있다. 식물상은 혼합림 지대에 속하나 비교적 자작나무·황철나무·달피나무와 같

  • 백은집 / 白隱集 [종교·철학/유학]

    의 문집. 목활자본, 서:이만인(1893), 후지:이윤범(1893), 5권2책. 권수에는 이만인이 1년에 쓴 서문. 권1에는 모두 88수의 시. 권2에는 18편의 만사, 소 1편과 서 1편, 권3에는 11편의 서와 3편의 기문을 비롯하여 발 1편.잠 1편.상량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