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지함” 에 대한 검색결과 39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0)

사전(5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17(중종 12)∼1578(선조 11). 조선 중기의 학자ㆍ기인(奇人), 『토정비결(土亭祕訣)』의 저자. [내용]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형백(馨伯) 또는 형중(馨仲)이며 호는 수산(水山) 또는 토정(土亭)이다. 색(穡)의 후손으로...
    이칭별칭 형백(馨伯), 형중(馨仲)| 수산(水山), 토정(土亭)| 문강(文康)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이인으로, 왜장 평의지가 첩자로 조선 강원도 삼척으로 들어오자 이를 알고 죽이려 하다가, 하늘의 운수임을 들어 살려주는 대신에 전쟁이 일어났을 때 삼척으로 들어오지 말 것을 명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TD_L14_D_2509 인물 孝友, 經濟, 卓犖, 不羈, 世俗, 科臼, 鐵冠, 布衣, 草鞋, 遨遊, 名卿, 傍若無人, 異人, 赴任 韓山, 牙山 馨仲, 土亭, 之蕃 D_12_06_11 대동운부군옥 12권 6장 1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6장 1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서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사사하였다. 어려서부터 학문에 전념하여 제자백가(諸子百家)는 물론 기술의 이론까지 통달하였으며, 선학(禪學)을 좋아하였다. 특히, 을 만나면서 비로소 유학(儒學)이 정도(正道)임을 깨닫게 되었다. 홍주(洪州)와 지리산ㆍ계룡산 근처로 거처를 옮겨다...
    이칭별칭 대가(待可)| 고청초로(孤靑樵老), 구당(龜堂), 이와(?窩)
  • 동국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에 전해지던 기담(奇談)ㆍ야화(夜話) 등을 인물 중심으로 모아 엮은 책. [내용] 3권 3책. 필사본. 편자와 필사연대 등은 알 수 없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ㆍ이병태(李秉泰)ㆍ이태중(李台重)ㆍ이병상...

고서·고문서(51)

  • 八月。 抱川縣監棄官歸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八月。 抱川縣監棄官歸 29_207_109.jpg ○八月。 抱川縣監棄官歸。 之䓿憂抱川穀少, 無以活民, 請折受魚梁, 捉魚貿穀, 以助邑用, 朝廷不從。 之䓿初無久於作邑之計, 只游戲耳, 故旋棄去 去: 대규에는 “官”.。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能相當, 實難爲之。 此外欲聚穀物, 則不無轉殿之道云, 煮鹽之難, 誠如狀辭。 此外聚穀之道, 從便爲之之意, 分付, 何如? 上曰, 在昔主海西島中煮鹽之議者誰耶? 趙明履曰, []也。 上曰, 朴文秀當初建白, 依此人事也。 文命曰, 臣意則安眠島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能相當, 實難爲之。 此外欲聚穀物, 則不無轉殿之道云, 煮鹽之難, 誠如狀辭。 此外聚穀之道, 從便爲之之意, 分付, 何如? 上曰, 在昔主海西島中煮鹽之議者誰耶? 趙明履曰, []也。 上曰, 朴文秀當初建白, 依此人事也。 文命曰, 臣意則安眠島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經史門10_渾濬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渾濬 晉時, 王渾、王濬之爭功, 只決於受詔先後. 公羊子曰: “出境而有可以安社稷、利國家者, 則專之可也.” 濬未受詔之前, 大功垂成, 何可復退而誤其機事耶? 況渾符未到, 吳主已降耶? 緣渾子王濟尙主之故, 車徵濬. 賞罰如此, 晉之旋得旋失, 宜矣.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七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5, 고버, 행서, , 무우,
    대표표제어1월18일 | 성씨

구술자료(1)

  • 토정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오성과 한음을 구연한 제보자가 실제 인물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알 듯 하여 역사 속 인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다가, 제보자가 생각난 듯 토정 이지함 선생에 대한 이야기가 있다며 긴 이야기를 하였다. 이야기 중간 중간 제보자는 용어나 단어 설명까지 하느라 20여 분...
    조사일시2009.02.18 | 조사장소김포시 하성면 마곡1리 637-1번지 | 제보자민문기(남,95세)

신문·잡지(278)

  • 北朝鮮硏究会 32 オーストリア中立化の敎訓 (2) 朴権相 41 土亭 李錫浩, 裵康煥 50 ...
    발행국가일본 | 발행연도1986
  • 紙函製造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본회에셔 아즉 한국 각상뎜의 고심을 힘입지못얏스나 (紙函]은과자등류과 잡화류와 의복류 기타 무론 무슨물품이던지 소용시로 슈응더러 물품이아름답고 빗바 실상슈용에 뎍당고로 일본인 각상뎜에셔도다슈히 사가오니 한국각상뎜 쳠위 게셔도 지함[紙造) 안이...
    게재일1906년 12월 3일 | 기사분류광고
  • 紙函製造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본회에셔 아즉 한국 각상뎜의 고심을 힘입지못얏스나 (紙函]은과자등류와 잡화류와 의복류 기타 무론 무슨물품이던지 소용시로 슈응더러 물품이아름답고 빗바 실상슈용에 뎍당고로 일본인 각상뎜에셔도다슈히 사가오니 한국각상뎜 쳠위 게셔도 지함[紙造) 안이...
    게재일1907년 1월 10일 | 기사분류광고
  • 紙函製造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본회에셔 아즉 한국 각상뎜의 고심을 힘입지못얏스나 (紙函]은과자등류와 잡화류와 의복류 기타 무론 무슨물품이던지 소용시로 슈응더러 물품이아름답고 빗바 실상슈용에 뎍당고로 일본인 각상뎜에셔도다슈히 사가오니 한국각상뎜 쳠위 게셔도 지함[紙造) 안이...
    게재일1906년 12월 10일 | 기사분류광고
  • 紙函製造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본회에셔 아즉 한국 각상뎜의 고심을 힘입지못얏스나 (紙函]은과자등류와 잡화류와 의복류 기타 무론 무슨물품이던지 소용시로 슈응더러 물품이아름답고 빗바 실상슈용에 뎍당고로 일본인 각상뎜에셔도다슈히 사가오니 한국각상뎜 쳠위 게셔도 지함[紙造) 안이...
    게재일1907년 1월 3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1)

  • (한국교육의 맥22) 토정 과 화암서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한국교육의 맥22) 토정 과 화암서원 (한국교육의 맥22) 토정 과 화암서원 (한국교육의 맥22) 土亭 과 花巖書院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통사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최완기, 김대벽 | 사료철명교육월보

주제어사전(8)

  • / [종교·철학/유학]

    1517-1578. 조선 선조대 유학자. 서경덕에게서도 배웠다. 평생 학문에 전념하다가 1573년 포천과 아산의 현감을 지냈다. 당시 걸인청을 만들어 빈민구호에 노력하였다. 경사자전과 복서, 천문, 지리, 음양 등 제가잡술에 능통하였다. 특히 상수학에 정통하였다. <

  • 청구고담 / 靑丘古談 [문학/구비문학]

    조선조기인·명인들의 일화를 중심으로 엮은 야담집. 한문 필사본. 총 40쪽. 임꺽정(林巨正)·서경덕(徐敬德)·전우치(田禹治)·채제공(蔡濟恭)·()·조헌(趙憲)·서성(徐渻)·송시열(宋時烈)·이태영(李泰永)·남구만(南九萬)·정기선(鄭基善)·조광조(趙光祖)·이희

  • 고천서원 / 古川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고천리에 있는 서원. 1705년(숙종 31) 영천군 유림의 공의로, 임진왜란 당시 경주 선천진(宣川陣)에서 순절한 10의사 김대해(金大海)·김연(金演)·최인제(崔仁濟)·정석남(鄭碩男)·이영근(李榮根)·()·이일장(李日將)·이득룡(李得

  • 허강 / 許橿 [문학/고전시가]

    조선전기 『송호유고』, 「서호별곡」 등을 저술한 학자. 본관은 양천(陽川). 좌찬성 자(磁)의 아들이며, 목(穆)의 할아버지이다. 다학박식하여 만물의 변에 능통한 정작(鄭碏)·()·양사언(楊士彦)·김태균(金太鈞)과 교계(交契)가 특별히 깊었다. 임진왜란 때

  • 성운 / 成運 [종교·철학/유학]

    1497(연산군 3)∼1579(선조 12). 조선 중기의 학자. 세준의 아들, 어머니는 박효원의 딸이다. 1531년(중종 26) 진사에 합격, 1545년(명종 즉위년) 그의 형이 을사사화로 화를 입자 보은 속리산에 은거하였다. 서경덕·조식· 등과 교유하며 학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