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지수” 에 대한 검색결과 46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9)

사전(15)

  • 중산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의 문집. [내용] 8권 4책. 활자본. 1858년(철종 9) 손자가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달수(宋達洙)의 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2에 시 181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79(정조 3)∼1842(헌종 8).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계린(季麟), 호는 중산재(重山齋). 형신(衡臣)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희보(熙輔)이고, 아버지는 동지중추부사 명원(命源)이며, 어머니는 경...
    이칭별칭 계린(季麟)| 중산재(重山齋)
  • 이주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명원(李命源)과 ()의 문인이다. 일찍이 과거에 뜻을 버리고 경사(經史)와 제자백가를 두루 섭렵하였으며, 후진교육에 전념하였다. 그는 선비의 정신을 고수하여 위기지학(爲己之學)에 힘쓰면서 학문의 진리는 평범한 일상생활 속에 있다는 것을 신념으로 지행...
    이칭별칭 장여(章汝)| 지락와(至樂窩)
  • 향초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향기가 나는 풀. 香草貳斤 燕藥三貼 送呈 幸備行, 홍언필(洪彦弼) 46-6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박성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09(순조 9)∼1890(고종 27).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계선(季善), 호는 운창(芸窓). 서울 출신. 제일(齊日)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연안이씨(延安李氏)로 운원(運源)의 딸이다. (...
    이칭별칭 계선(季善)| 운창(芸窓)| 문경(文敬)

고서·고문서(385)

  • 貍首之斑然,執女手之卷然。【《疏》云:“斲椁材文采,似。” ○又云:“孔子手執斤斧,如女子之手卷卷然柔弱。”】 ○《禮記》曰:“原壤登木而歌曰云云。”【見〈檀弓〉】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480 詩經講義補遺 ITKC_MP_0597A_0480_150_0030 貍首之斑然,執女手之卷然。【《疏》云:“斲椁材文采,似。” ○又云:“孔子手執斤斧,如女子之手卷卷然柔弱。”】 ○《禮記》曰:“原壤登木而歌曰云云。”【見〈檀弓〉】 정...
    권차명詩經講義補遺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仲尼曰:“晉其亡乎!失其度矣。夫晉國將守唐叔之所受法度,以經緯其民。卿ㆍ大夫以序守之,民是以能尊其貴,貴是以能守其業,貴賤不愆,所謂度也。文公是以作執秩之官,爲被廬之法,以爲盟主。今棄是度也,而爲刑鼎,民在鼎矣。何以尊貴,貴何業之守?貴賤無序,何以爲國?且夫宣子之刑,也。晉國之亂制也,若之何以爲法?”【昭二十九年】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盟主。今棄是度也,而爲刑鼎,民在鼎矣。何以尊貴,貴何業之守?貴賤無序,何以爲國?且夫宣子之刑,也。晉國之亂制也,若之何以爲法?”【昭二十九年】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
    권차명論語古今注 卷十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柱譯學洪裕鉉等回到曰八月十七日與日本總領事一行起程東至機張縣官門三十宿十八日自該縣逶東至蔚山境南倉五十宿十九日自南倉逶東至左兵營五十里暫憩還向該府官門十宿二十日自該府逶西至彦陽縣官門四十宿二十一日自該縣逶南至梁山郡通度寺二十宿二十二日自通度寺逶南至該郡官門四十宿二十三日自該郡...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2123 B032123 기장 機張 정치행정 東萊府啓錄 권9,10 1884년 9월 3일 ... 如譯五十里暫憩仍向該府官門二十宿二十八日自該府逶西至馬山浦二十宿二十九日自馬山浦逶南至熊川縣官門六十宿三十日自該縣逶東至金海府官門五十宿九月初一日自該府逶東還到本府溫井五十...
    출처전거東萊府啓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鼠損穀(서손곡)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鼠損穀, 翁設穽, 而鼠輒陷, 旣而無得. 翁曰: “鼠認矣.” 令移之, 步, 而鼠又陷. 翁曰: “穽一也, 認於彼, 而迷於此者, 貪餌不止也. 貪, 則智昏, 殊不覺地異而穽一也.”
    서명관물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기초학문(5)

  • 〈상궁기일문〉에 관한 일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지수, 게재일 : 2012
    46772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어일문학회 2012 〈상궁기일문〉에 관한 일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正倉院萬葉假名文書(乙)에 관한 一考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지수, 게재일 : 2015
    17717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어학회 2015 正倉院萬葉假名文書(乙)에 관한 一考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伊豫道後溫湯碑文〉에 관한 一考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지수, 게재일 : 2015
    18132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5 〈伊豫道後溫湯碑文〉에 관한 一考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上代漢字借字表記에서의 脣內入聲의 受容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지수, 게재일 : 2007
    19022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아시아일본학회 2007 上代漢字借字表記에서의 脣內入聲의 受容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 : 삶의 만족도 구조모형의 성별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지수, 게재일 : 2007
    22635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복지학회 2007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 : 삶의 만족도 구조모형의 성별 비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54)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79∼1842). 181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가 되었다. 1825년 옥구현감으로 재직 시에는 민폐를 없애고 백성을 구휼하는 한편 향약을 만들어 교화에 힘썼다. 1831년 동부승지가 되어서는 여러 차례 소대에 응하여 국가기본정

  • 소원이씨추증정빈교지 / 昭媛贈靖嬪敎旨 [정치·법제]

    1725년(영조 1) 2월 27일. 소원이씨를 정빈으로 추증하는 교지. 소원이씨는 영조의 후궁으로 당시의 원자인 효장세자를 낳은 공으로 정빈에 추증되었다. 이씨는 1724년에 소원이 되었다가 이듬해에 다시 정빈으로 추증되었다. 이는 영조의 왕위 즉위와 관련이 있는 것

  • 숙의이씨추증경빈교지 / 淑儀贈慶嬪敎旨 [정치·법제]

    1755년(영조 31) 6월 14일. 시명지보. 숙의이씨를 경빈(慶嬪)으로 추증하는 교지. 교지를 내린 날이 을해(乙亥)로 되어 있으나,《영조실록》 에 의하면 영조 31년에 이 교지를 내렸다는 기록이 있어 교서가 내려진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있다.

  • 박성양 / 朴性陽 [종교·철학/유학]

    1809년(순조 9)∼1890년(고종 27). 조선 말기의 문신. 제일 아들, 어머니는 이운원의 딸이다. 의 문인이다. 송근수의 천거로 1880년(고종 17)에 선공감감역에 임명되고, 이어 사헌부지평·호조참의·동부승지·호조참판·대사헌 등을 역임하였다. 저편서

  • 수내동한산이씨묘역 / 藪內洞韓山李氏墓域 [사회/가족]

    秩), 이장윤의 손자인 순충보덕공신 정헌대부 이조판서(純忠輔德功臣正憲大夫吏曹判書)에 증직된 한평군(韓平君)이지숙()의 유사(遺事)를 후손 백천 군수(白川郡守) 이병연(李秉淵)이 찬(撰)하고 진사 이기중(李箕重)이 전액(篆額)하여 1728년(영조 4)에 건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