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지번” 에 대한 검색결과 9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4)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69(예종 1)∼1522(중종 17).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성중(盛仲), 호는 송계(松溪). 아버지는 현감 문현(文賢)이다. 젊어서부터 성학(聖學)에 뜻을 두고 상사(常師)없이 정진하였다. ...
    이칭별칭 성중(盛仲)| 송계(松溪)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1575) ?-1575(선조 8). 조선 중기의 학자. ≪명가필보≫에 수록된 글씨.
    이칭별칭 형백(馨佰)| 성암(省菴), 사정(思亭), 구옹(龜翁)
  • 이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00(선조 33)∼1684(숙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연지(延之), 호는 과암(果菴). 내자시정 지번(之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領議政) 이산해(李山海)이고, 아버지는 한평군(韓平君...
    이칭별칭 연지(延之)| 과암(果菴)
  • 이윤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15(태종 15)∼1471(성종 2).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임지(任之). 덕림(德林)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고려 안찰사(按察使) 신(伸)이고, 아버지는 낙안군수(樂安郡守) 지번(之蕃)이고, 어머니는...
    이칭별칭 임지(任之)
  • 패부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부신(符信)을 차다. 상대방이 지방 수령으로 있음을 비유하여 쓰는 말. 弟之曾所欲爲者 兄今佩符 喜賀之外 私幸又別也, (), 051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55)

신문·잡지(29)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575(선조 8).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치,『토정비결』로 유명한 지함의 형, 산해의 아버지이다. 천문지리에 모두 정통하였다. 인종 때 문음으로 추천되어 장례원사평이 되었으나 당시 윤원형이 국권을 잡아 횡포하므로 벼슬을 버리고 단양의 구담에 집을 짓고 정신

  • 이산해설화 / 李山海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선조 때의 명신 이산해에 관한 설화. 이산해탄생담과 동서 분당을 예언한 이야기가 있다. 이산해의 아버지 ()이 명나라에 사신이 되어 갈 때 산해관에서 유숙하면서 집에 있는 부인과 동침하는 꿈을 꾸었다. 그런데 의 부인도 같은 날 남편과 동침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