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지번”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4)
사전(10)
- 이지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69(예종 1)∼1522(중종 17).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성중(盛仲), 호는 송계(松溪). 아버지는 현감 문현(文賢)이다. 젊어서부터 성학(聖學)에 뜻을 두고 상사(常師)없이 정진하였다. ...이칭별칭 성중(盛仲)| 송계(松溪)
- 이지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조인물지(國朝人物志)』 이지번(?-1575) ?-1575(선조 8). 조선 중기의 학자. ≪명가필보≫에 수록된 글씨.이칭별칭 형백(馨佰)| 성암(省菴), 사정(思亭), 구옹(龜翁)
- 이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00(선조 33)∼1684(숙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연지(延之), 호는 과암(果菴). 내자시정 지번(之蕃)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領議政) 이산해(李山海)이고, 아버지는 한평군(韓平君...이칭별칭 연지(延之)| 과암(果菴)
- 이윤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15(태종 15)∼1471(성종 2).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임지(任之). 덕림(德林)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고려 안찰사(按察使) 신(伸)이고, 아버지는 낙안군수(樂安郡守) 지번(之蕃)이고, 어머니는...이칭별칭 임지(任之)
- 패부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부신(符信)을 차다. 상대방이 지방 수령으로 있음을 비유하여 쓰는 말. 弟之曾所欲爲者 兄今佩符 喜賀之外 私幸又別也, 이지번(李之蕃), 051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55)
- 18세기 후반 이지번(李之蕃) 등 간첩(簡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 1579년 의령남씨(宜寧南氏)[李之蕃妻] 별급문기(別給文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상속/증여-분재기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분재기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 [內需司]庄土文績_제11책 : 圖書文績類 95. 雍正五年-辛丑-三月十七日李枝蕃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1_06331 奎 19307 [內需司]庄土文績 제11책 : 圖書文績類 11-095 95. 雍正五年-辛丑-三月十七日李枝蕃前明文 토지매매문기 1 50.2x40.6 한지, 관인 무, 수결 1장, 50.2x40.6cm(가로x세로), 한...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黃海道庄土文績_제76책 : 黃海道載寧郡所在庄土朴東植提出圖書文績類 85. 康熙四十九年-庚寅-二月二十八日同知朴泰健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장, 61.4x53.9cm(가로x세로), 한지, 관인, 수결 1710년(숙종 36) 2월 28일 李枝蕃父 興建 × 재주 李枝蕃父 興建 × 재주 朴泰健 同知 × 朴泰健 同知 × 李元吉/李重夏/李重漢 李枝蕃父 興建 황해 재령...자료명黃海道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內需司]庄土文績_제11책 : 圖書文績類 90. 乾隆十年-乙丑-正月十二日李氏前明文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 관인 무, 수결 1745년(영조 21) 1월 12일 李枝蕃 답주 李枝蕃 답주 李氏 李氏 金次用 金德瑀 전라 장흥 栗木亭坪 전라도 장흥(군/현) (면/방) 栗木亭坪 토지 1 罪 답 2두락 84결 ...자료명[內需司]庄土文績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29)
- 법전월보_1966_026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판권지 전 페이지에 걸쳐 영인본 페이지번호 미삭제 광고1 2 최신법령속보 3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 법전월보_1966_019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판권지 전 페이지에 걸쳐 영인본 페이지번호 미삭제 광고1 2 민법 제186,187조는 개정돼야 한다-의사주의에 의하여 등기...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 법전월보_1966_02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판권지 전 페이지에 걸쳐 영인본 페이지번호 미삭제 광고1 2 농지개혁법에 형벌규정을 두라 이시윤 3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 청년_1937_17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인격완성과 정진 송강 4 조선고대명공열전-이지번의 청년 김원근 5 일터로 가자 김영희 7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7
- 법전월보_1966_02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판권지 전 페이지에 걸쳐 영인본 페이지번호 미삭제 광고1 2 입부와 서양자에 대한 규정에 모순있다-이 두 제도는 불가해,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6
주제어사전(2)
-
이지번 / 李之蕃 [종교·철학/유학]
?∼1575(선조 8).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치,『토정비결』로 유명한 지함의 형, 산해의 아버지이다. 천문지리에 모두 정통하였다. 인종 때 문음으로 추천되어 장례원사평이 되었으나 당시 윤원형이 국권을 잡아 횡포하므로 벼슬을 버리고 단양의 구담에 집을 짓고 정신
-
이산해설화 / 李山海說話 [문학/구비문학]
조선 선조 때의 명신 이산해에 관한 설화. 이산해탄생담과 동서 분당을 예언한 이야기가 있다. 이산해의 아버지 이지번(李之蕃)이 명나라에 사신이 되어 갈 때 산해관에서 유숙하면서 집에 있는 부인과 동침하는 꿈을 꾸었다. 그런데 이지번의 부인도 같은 날 남편과 동침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