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중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9)
사전(10)
- 이중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05(선조 38)∼1672(현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자문(子文), 호는 안곡(安谷). 아버지는 참봉 사금(師金)이다. 1651년(효종 2)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1667년...이칭별칭 자문(子文)| 안곡(安谷)
- 병명발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이상정(李象靖)이 이황(李滉)의 『병명(屛銘)』을 주해한 책. [내용] 1권 1책. 목판본. 1936년 안동 산천재(山泉齋)에서 이규섭(李奎燮)ㆍ이중명(李重明) 등에 의하여 간행되었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이중명...
- 노천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등에 있다. 권1은 시 60수, 뇌사(誄辭) 1편, 권2는 서(書) 19편, 발 1편, 잡저 3편, 권3은 상량문 2편, 제문 6편, 행장 7편, 묘갈명 1편, 유사 2편, 권4는 부록으로 증언서, 안정려(安鼎呂)가 지은 가장(家狀), 이중명(李重明)이 지은 행...
- 성은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신흘(申忔, 1550∼1614)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09년 신흘의 10대손 신돈식(申敦植)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유도헌(柳道獻)‧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이중명(李重明)‧이만계(李晩煃)의
- 원론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한 전교(傳敎) 등 10여 편이 수록되어 있다. 『하잠론』은 성명 미상의 후인이 이민보의 별호인 하잠거사(荷潛居士)의 『충역변』을 앞부분에 전재하였다. 현종 무렵에 이중명(李重明)이 임진왜란 당시 우리나라를 도운 양호(楊鎬)‧이여송(李如松) 등을 만동묘(萬東廟...
고서·고문서(53)
- 4 第四統統首李仲明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20년_청양면(靑良面) 1720년 청양면(靑良面) 第三豆峴里 4 第四統統首李仲明 第一戶 府案付束伍軍李仲明年肆拾辛酉本慶州父正兵五業祖忠贊衛戒生曾祖正兵 鶴只外祖正兵崔武仁本蔚山妻宋召史年肆拾壹庚申本蔚山父正兵仁發祖正兵貴汗 曾祖不知外祖正兵安銀上本蔚山率子束伍保...연도_면이름1720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三豆峴里
- 2 第二統統首李中命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26년_청양면(靑良面) 1726년 청양면(靑良面) 第三豆峴里 2 第二統統首李中命 第一戶 府束伍軍李中命年肆拾陸辛酉本慶州父正兵五崇祖忠贊衛戒生曾祖正兵鶴只 外祖正兵崔武仁本蔚山妻宋召史年肆拾陸庚申本蔚山父正兵仁發祖正兵貴汗曾 祖不知外祖正兵安銀上本蔚山率子主鎭...연도_면이름1726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三豆峴里
- 계사년 이중명(李重明)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1906년 이중명(李重明) 위장(慰狀)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위장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위장 | 현소장처의성 아주신씨 오봉 가문‧호계 가문
- 1907년 이중명(李重明) 만사(輓詞)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만사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만사 | 현소장처진주 단목 진양하씨 단지 종택
신문·잡지(6)
- 改以重明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졍동대궐 쥰명뎐은 다시 즁명뎐으로 뎡얏다더라게재일1906년 10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김정진 화양지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김정진 화양지 화양지(華陽誌) 미기재 김정진(金鼎鎭) 경성(京城) 조선_1929년 3월 25일 삭제 치안 언한문 화양지, 임진왜란 1. 이중명(李重明)의 소문...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7호 김정진 화양지 | 출판물명화양지(華陽誌)
- 쟝원경 리용익李容翊으로 뎐환국관리...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四月六日쟝례원경김쥬현金疇鉉으로 궁부특진관을명고 뎡이품 리긔호李起鎬로 쟝례원경을명고 부쥬 홍승범 리응셔 리운죵 갈닌에 리즁명李重明 셔승슌徐昇淳 리쳘슌李哲淳으로 임고 인쳔뎐보쥬 졍두영갈닌에 광쥬뎐보쥬 리졍츈李貞春으로 임다 以上四月七日 부쥬 리즁명...게재일1902년 4월 10일 | 기사분류관보
- 함남인민보_1949_0421_03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3 림상준 함남시중앙성3구 89번지 함남인민보사 심석훈 【단천】 단천군 리중명 가응리 농민들은 지난 7일 전체 조기작물파종을 군내 1착으로 완료하였다. 가응리 농민들은 쇠쩨리반 간에 호상경쟁을 체결하고 3월 7일부터 시작된 보리파종은 계호기면적의...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9_0421_03 | 책임주필림상준
- 황해일보_1952_0921_02 [한국전쟁기 미군노획문서철 중 북한신문자료의 수집.해제.데이터베이스 구축 | 이화여자대학교]표현하고 있는만큼 현재 공산당 및 볼쉐위끼당이라는 이중명칭을 보존할 필요가 없이 되었다는 것을 고려하면서 쏘련공산당(볼쉐위끼)을 앞으로 『쏘련공산당』으로 부르는 것이 적당하다. 당 규약 제1장에는 『당 당원들 그들의 의무와 권리』라는 명칭이 부여되지 않으면 안될 것이...대표표제어황해일보_1952_0921_02 | 책임주필김원선
주제어사전(2)
-
이중명 / 李重明 [종교·철학/유학]
1605(선조 38)∼1672(현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아버지는 사금이다. 1651년(효종 2) 사마시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1667년(현종 8) 5월 진사로 상소하여 임진왜란 당시 도움을 준 명나라 신종·의종의 사우건립과 양호와 이여송의 배향을 주장하였다
-
노천집 / 老川集 [종교·철학/유학]
. 권1은 시 60수, 뇌사(誄辭) 1편, 권2는 서(書) 19편, 발 1편, 잡저 3편, 권3은 상량문 2편, 제문 6편, 행장 7편, 묘갈명 1편, 유사 2편, 권4는 부록으로 증언서, 안정려(安鼎呂)가 지은 가장(家狀), 이중명(李重明)이 지은 행장, 조병규(趙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