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중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
사전(2)
- 구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이중립(李中立)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그의 13세손 재동(宰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굉(金㙆)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남상춘(南相春)과 재동의 지(識)가 있다.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에 있...
- 이성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73(선조 6)∼1611(광해군 3).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명숙(明叔) 또는 계실(季實). 승형(承亨)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욱(郁)이고, 아버지는 가선대부(嘉善大夫) 응천(應千)이며, 어머니는 한...이칭별칭 명숙(明叔), 계실(季實)
고서·고문서(30)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321 B007321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9年 9月 25日_016 設五處, 只設二門, 屈串浦, 虹霓作門, 則可無停蓄之患, 而中立石柱, 兩邊作門, 故兩處田畓, 通計累百石落只, 年年水沈, 人民失業, 而軍門不諒民弊, 遷就至今矣。 大淸浦屬於御營, 屈串浦屬...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8033 B008033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9年 9月 25日_016 設五處, 只設二門, 屈串浦, 虹霓作門, 則可無停蓄之患, 而中立石柱, 兩邊作門, 故兩處田畓, 通計累百石落只, 年年水沈, 人民失業, 而軍門不諒民弊, 遷就至今矣。 大淸浦屬於御營, 屈串浦屬...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3 第十三統統首李儉建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故率同生驛吏世禮年參拾柒甲子 各戶去率女召史年拾參戊子等丁酉戶口相准 第二戶 巡營幕軍私奴不喩贖良黃山道德川驛吏李玉先年參拾陸乙丑本慶州父驛 吏祥祖驛吏鶴只曾祖正兵彦良外祖正兵李中立本蔚山前妻故後妻驛女朴召史 年肆拾壹庚申本密陽父驛吏今生祖驛吏實奉曾祖正兵莫同外祖正兵朴云鶴 本密陽等丁酉戶口相准 ...연도_면이름1720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五亭子里
- 小兒聤耳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之日二三度【又方】狼牙草擣羅爲末以輕疏生絹裹塞耳中【又方】杏仁爛硏爲膏以亂髮裹塞耳中日三易之【又方】釜下墨綿裹塞耳中差 朱氏集驗方【竹屑散】治聤耳出膿汁 蛀竹屑 坏子 麝香各半錢 白礬煅一錢○右爲末先以綿子繳了膿汁後吹入耳內效 【孫眞人】治小兒患聵耳出膿水 蚯蚓糞硏末傅之兼吹入耳中立效 【鄕藥易...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子路問强節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中是至德,而久中則易倚。和是至德,而久和則易流。不倚不流,則中和而又能庸矣。‘未發已發’之節,旣雙言中和,此章亦雙言中和,安得有異同乎? 御問曰 不倚然後,可以中立,則‘中立’二字之中,已包不倚之意,而旣曰‘中立’,又曰‘不倚’,何也?或曰‘中立卽不偏也’。此論果何如?‘中立而不倚’一句,《或問》則...권차명中庸講義補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