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중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5)
사전(22)
- 이중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61(철종 12)∼1933. 조선 말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진성(眞城). 자는 국경(國卿), 호는 동전잠사(東田潛士). 아버지는 만창(晩昌)이며, 어머니는 구산박씨(龜山朴氏)로 계조(啓祖)의 딸이다. 1883년(고종 20) 방경응...이칭별칭 국경(國卿)| 동전잠사(東田潛士)
- 文雅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I5_D_0081 文雅 서적-문집 濯纓書李仲勻畫 D_08_05_09 대동운부군옥 8권 5장 9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5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申持正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696 申持正 인물 一壺易號, 喜酒, 酒一壺 藏六, 李仲匀 師友錄 D_16_04_01 대동운부군옥 16권 4장 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6권 4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南秋江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020 南秋江 인물 獨取二聯, 革命, 聖人 關西 李仲匀, 箕子, 武王, 成湯 冷話 D_05_01_76 대동운부군옥 5권 1장 7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1장 7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榜眼兒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9_D_0009 榜眼兒 아이 日本護送官 乙巳 東萊 李仲匀, 李鍾 冷話 D_02_01_51 대동운부군옥 2권 1장 51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권 1장 5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13)
- 1917년 이중균(李中均)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917년 8월 17일에 이중균이 자신의 며느리인 麟의 어미를 친정에 잠시 보내면서 사돈에게 부탁의 말을 전하기 위해 작성한 편지이다. 정황상 이중균의 사돈은 이중균의 며느리, 곧 자신의 딸을 친정에 보내달라는 편지를 보냈었던 거 같다. 이에 이중균은 사돈과 며느리의...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굴암(窟菴)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頹破遺址完然) 龜卵(蓋本府地勢有龜文之形城東一阜且有龜延頭之狀故別築二丘於城中以衆龜抱卵之狀) 龜石(在龜卵傍其狀似龜俗傳築城時欲運用而有異聲故止之云)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 第六統統首黃道省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巳本延日父馹泰祖鳳基曾祖壽命外祖 河順贊本晋州母河召史年捌拾參丁亥女年拾捌壬辰等丙午戶口相准 第三戶 寡韓召史年肆拾玖辛酉本淸州父宗弼祖貴奉曾祖龜南外祖高宗 立本濟州女年拾伍乙未等丙午戶口相准 第四戶 牧子鄭萬玉年肆拾庚午本延日父永宜祖鳳基曾祖壽命外祖李重龜 本慶州妻吳召史年參拾捌壬申本海州父能...연도_면이름1849년_동면(東面) | 면이름동면(東面) | 마을이름第九日傘里
- 伊山敬止堂의 통문에 도산서원에서 회답한 答通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李中逵 李中定 李中聃 李裕昆 琴漢基 崔炳文 前郡守 金進銖 幼學 李震鎬 李中㝢 前參奉 李晩旭 幼學 李正浩 李羲寅 李和聖 李麒鎬 主事 李縉鎬 幼學 李羲建 李晩商 進士 李中均 幼學 李彦求 主事 李中進 幼學 李中肅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장덕필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담옹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李中均(1861~1933)의 제사에 올린 글이다. 李中均은 본관이 眞城, 자는 國卿, 호는 東田이다.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며, 저서로는 �『東田遺稿』가 있다. 祭金表從道源文 26 表從 金道源의 제사에 올린 글이다. 그대가 먼저 세상을 떠날 줄 생각하지 못했는데 먼저 세상...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6)
-
이중균 / 李中均 [종교·철학/유학]
1861년(철종 12)∼1933년. 조선 말기의 학자. 아버지는 이만창, 어머니는 구계조의 딸이다. 1883년(고종 20) 방경응제시에 합격하였다. 독학으로 30세에 성균관에 유학, 이남규·이병칠·오상필 등과 학문을 강론하였다. 1893년 성균관에 월과가 설치되었을
-
월오당집 / 月梧堂集 [종교·철학/유학]
안진석의 문집. 석인본, 서: 이중균(1932), 2권 1책. 1933년에 후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문집은 2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권두에는 1932년에 지은 동전 이중균(1862~1939)의 서문이 있다. 상권에는 57제 66수의 시와 제문 1편이 실려 있
-
동려집 / 東旅集 [종교·철학/유학]
동려 안창렬의 문집. 목판본, 서: 이명상(1931), 발: 이중균(1927), 6권 3책. 권두에 이명상의 서문과 목차가 나온다. 권1에 사 1수, 부 1수, 시 166수, 권2에 시 191수, 권3에 소 2편, 서 74편, 권4에 서 3편, 기 8편, 발 5편,
-
계서문집 / 谿栖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만숙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권두에 이중철(李中轍)의 서문과 권말에 이중균(李中均)의 발문이 있다. 1934년 후손 원술(源述)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 66수, 소 1
-
추강냉화 / 秋江冷話 [문학/구비문학]
孫)·김시습(金時習)·김수온(金守溫)·권안(權晏)·이계기(李啓基)·김종직(金宗直)·표연말(表沿沫)·이승언(李承彦)·정창손(鄭昌孫)·신숙주(申叔舟)·이종준(李宗準)·전석(田錫)·이중균(李中鈞)·유승탄(兪承坦)·한명회(韓明澮)·강희맹(姜希孟)·신영희(辛永禧)·강희안(姜希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