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준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5)
사전(109)
- 이덕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34(중종 29)∼1599(선조 32).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득지(得之). 판중추부사 세좌(世佐)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수찬 수정(守貞)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준경(浚慶)이고, 어머니는 김양진(金楊...이칭별칭 득지(得之)
- 이준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준경(1499-1572) 1499(연산군 5)-1572(선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명가필보≫에 수록된 글씨.이칭별칭 원길(原吉)| 동고(東皐), 남당(南堂), 홍련거사(紅蓮居士), 연방노인(蓮坊老人)| 충정(忠正)
- 이준경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서산대사가 묘향산 북한사에서 쉴 때 우연히 만나게 된다. 호계삼소로 칠년 동안 매일 만나다가 팔순이라 노병으로 신음하다가 세상을 떠나게 된다. 세상을 떠나기 전 상소와 유서를 남긴다. 유서의 내용은 ‘위태한 때를 당하면 서산대사를 천거하라.’는 것으로 유언에 따라 이항...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李浚慶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878 李浚慶 인물 登第, 經筵, 己卯之人, 坐廢, 屢官, 領議政, 器局, 方嚴, 持身, 淸儉, 友愛, 首相, 名相 我中廟辛卯 廣州 原吉, 東臯, 金安老, 潤慶, 明廟, 忠正 D_17_02_06 대동운부군옥 17권 2...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2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이준경(李浚慶)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7184 인물 이준경(李浚慶) 이준경 李浚慶 1499 157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원길(原吉), 호는 동고(東皐) ‧ 남당(南堂) ‧ 홍련거사(紅蓮居士) ‧ 연방노인(蓮坊老人). 한양 출신...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85)
- 煙賭案件 : 李純卿販毒卷 [근대 동아시아 외교관계 문서의 조사, 수집, 정리, 해제 및 DB화-한국관련 러시아, 중국, 일본 자료의 교차분석- | 고려대학교]李純卿의 아편 흡식과 판매에 대한 내용과 중국인의 조선인 주택 매입 후 1년이 지난 후 반환 요구 관련 사건 내용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檔案館 | 발신일1886.06.09.~1887.01.10.
- 五月。 領議政李浚慶辭職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五月。 領議政李浚慶辭職 28_119_015.jpg ○五月。 領議政李浚慶辭職。 凡三啓, 上許之, 玉堂上箚請留, 乃命仍任。 是時, 羣小雖退, 流言未息, 人心疑危, 恐有乘時釀禍者。 若浚慶罷相, 相非其人, 則無以鎭物, 故玉堂之論如此...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七月, 領中樞府事李浚慶卒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九 經筵日記二 52 七月, 領中樞府事李浚慶卒 29_207_010.jpg ○七月, 領中樞府事李浚慶卒。 浚慶字元吉。 自少磊磈不羣, 儀貌雄偉, 有名多士閒。 立朝淸嚴自持, 與兄潤慶同有時望。 但潤慶外和而內立, 浚慶外毅而內怯。 仁廟末, 潤慶之子中悅與李煇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五月。 領議政李浚慶等以白仁傑疏議啓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五月。 領議政李浚慶等以白仁傑疏議啓 28_119_095.jpg 五月。 領議政李浚慶等以白仁傑疏議啓曰: “疏中聖學做功, 招賢委任之事, 惟在聖明省察而篤行之。 其餘陳 餘陳: 대규에는 없음.弊, 則皆方今商確講究之事, 乃有司之務不敢更煩聖...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五月。 領議政李浚慶以疾遞爲領中樞府事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二十八 經筵日記一 51 五月。 領議政李浚慶以疾遞爲領中樞府事 28_119_112.jpg ○五月。 領議政李浚慶以疾遞爲領中樞府事。 浚慶爲相, 務欲鎭物, 不能有爲, 士林多短之。 然有淸德, 門無賄賂, 或稱賢相云。 ○以吳謙爲右議政。 權轍、洪暹以次陞職。 謙尋免...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구술자료(1)
- 동서 이준경과 피서방 사위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제보자는 수 시간에 걸쳐 여러 편의 설화를 제공해 주었다. 날도 저물어 조사자가 채집을 끝내려하자 마지막으로 동고 대감 얘기를 꼭 해야 겠다며 본 설화를 제공해 주었다.*조사일시1979-06-20 | 조사장소서울시 도봉구 수유3동 | 제보자강성도
기초학문(1)
- 東皐 李浚慶의 정치적 역할과 정치사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69347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東皐 李浚慶의 정치적 역할과 정치사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5)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소개한 글 이준경(李浚慶), 이연경(李延慶), 정종영(鄭宗榮), 윤원형(尹元衡), 김안국(金安國), 박순(朴淳), 이탁(李鐸), 이황(李滉), 김계휘(金繼輝), 이이(李珥), 성혼(成渾), 박응남(朴應男), 기대항(奇大恒), 이량(李樑), 이준경(李浚慶), 이후백(...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2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본조(本朝) 명신록(名臣錄)의 요약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과 일화를 소개한 글 상진(尙震), 김안로(金安老), 정광필(鄭光弼), 고인주(古麟州), 포주(抱州), 의주(義州), 임권(任權), 이윤경(李潤慶), 이기(李芑), 이준경(李浚慶), 윤원형(尹元衡) 조양보번역문.pdf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0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黃海道平山金巖面도져울 趙元心 一圜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成 朴守萬 金千壽 朴千成 朴又萬 金壽吉 朴三峰 姜春萬 已上各十錢式 合十二圜二十八錢 廣州中대面馬川里 리龍震 二圜 朴君善 리龍弼 文弘己 已上各一圜식 具耆會二十錢 리鉉允 朴善良 이상각五十錢식 리龍集 리龍會 이상각三十錢식 朴順明 具鳳會 리敬心 리敬九 리龍倍 리俊京 金元西 리榮...게재일1907년 4월 27일 | 기사분류광고
- 경기장학_1974_02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화를 위한 교육연구의 방향 이준경 16 교육혁신의 방향 이상주 18 교육력 강화를 위한 연천군의 장학역점 홍성달 25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4
- 경기장학_1975_030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학력향상의 지향점 신능순 12 학력향상을 위한 교육의 중점방향 이준경 14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5
기타자료(14)
- 이준경;李俊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3013 남한 경성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1-33 교우회원주소급명부 1934―10 51면 이준경;李俊景 함남 咸興;경성부 남미창정 109 재학생 제1학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준경;李俊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0510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6면 1. 동창회명부;2) 영생고등보통학교 졸업생;(2) 제2회(1934년) 이준경;李俊景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준경;李俊景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8191 남한 경성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1-33 세브란스연합의학전문학교일람 1934 108면 1. 제6편. 생도일람;1) 1. 在籍생도 명부;(4) 제1학년 이준경;李俊景 (원적)함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준경;李準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0882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141면 이준경;李準敬 경북 안동군 풍산면 하리동 140번지 제28회 4273년 3월 5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준경;李準慶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5845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80면 (학과)본과신제도 이준경;李準慶 경성부 관수정 14-1 14회 1936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4)
-
이준경 / 李浚慶 [종교·철학/유학]
1499(연산군 5)∼1572(선조 5). 조선 중기의 문신. 극감의 증손, 할아버지는 세좌, 아버지는 수정, 어머니는 신승연의 딸이다. 1537년 김안로 일파가 제거된 뒤 다시 등용되어 세자시강원필선·사헌부장령·홍문관교리 등을 거쳐 대사헌, 우의정을 역임하였다. 저
-
늑당유고 / 扐堂遺稿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이회목의 시·서(書)·제문·기 등을 수록한 시문집. 이회목의 아들 이준경(李準境)·이준섭(李準燮)과 재종질 이준로(李準輅)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종호(李從鎬)의 서문이, 권말에 이준로·이준경·이준섭 등의 발문이 있다. 권1·2에 시 500여
-
오음잡설 / 梧陰雜說 [문학/한문학]
(3권 3책) 권3에 실려 있다. 따로 1책의 필사본으로도 전하며, 『대동야승』 권57에도 이 글이 수록되어 있다. 전체가 모두 여덟가지 항목에 1,019자로 된 짤막한 일화집이다. 여기 거론된 인물은 이준경(李浚慶)·이황(李滉)·기대승(奇大升)·조식(曺植)·노수신(盧
-
국조명신언행록 / 國朝名臣言行錄 [역사/조선시대사]
권은 신숙주(申叔舟) 등 10명, 6권은 서거정(徐居正) 등 14명, 7권은 허종(許琮) 등 17명, 8권은 김수동(金壽童) 등 9명, 9권은 임유겸(任由謙) 등 13명, 10권은 신광한(申光漢) 등 12명, 11권은 이준경(李浚慶) 등 12명을 수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