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종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0)
사전(3)
- 이종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10(숙종 36)∼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자순(子順), 호는 송계(松溪). 이항복(李恒福)의 5대손이며, 시술(時術)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세필(世弼)이고, 아버지는 정좌(鼎佐)...이칭별칭 자순(子順)| 송계(松溪)
- 이항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 1746년(영조 22)에는 승지 이종적(李宗迪)을 보내 영당(影堂)에 제사를 올리고 후손을 관직에 등용시키는 은전이 있었다. 1832년(순조 32)에는 임진왜란 발발 네 번째 회갑을 맞아 제향이 베풀어졌다. 1838년(헌종 4)에는 우의정 이지연(李止淵)의 요청으...이칭별칭 자상(子常)| 필운(弼雲), 백사(白沙)| 문충(文忠)
- 이세필(李世弼)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자녀)4남 3녀 (1자)이태좌(李台佐) (2자)이정좌(李鼎佐) (3자)이형좌(李衡佐) (4자)이경좌(李景佐) (1녀)박항한(朴恒漢)의 처 (2녀)권섭(權燮)의 처 (3녀)원명귀(元命龜)의 처 이종성(李宗城), 이종적(李宗迪), 이종백(李宗白), 박문수(朴...
고서·고문서(55)
- 1 第一統統首李種績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25년_웅촌면(熊村面) 1825년 웅촌면(熊村面) 第二十二石川里 1 第一統統首李種績 第一戶 幼學李種績年伍拾伍辛卯本蔚山父學生養吾祖學生宜埰曾祖學生時發外祖 學生張漢應本仁同妻柳氏年陸拾壹乙酉本文化父成均進士學中祖學生震沃曾祖 學生橒外祖學生韓道濟本谷城子幼學鼎燦...연도_면이름1825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二十二石川里
- 대정현감(大靜縣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龜城府使, 今當差出, 而未準朔禁軍將, 竝擬, 何如? 傳曰, 允。 以李宗迪爲大司諫, 黃景源爲獻納, 林錫憲爲持平, 李德重爲副提學, 趙載敏爲副校理, 徐仁修爲軍資判官, 鄭益良爲龜城府使, 金脩爲大靜縣監, 趙顯命爲領敦寧, 李台重爲兼執義。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殿牌而然也。 今見僉使所爲, 則此後肅拜時, 俺等亦爲騎入城中無妨, 言多不避。 且前例則島主與東萊府使, 互相通書, 而今番則稱以島主入往江戶, 留島奉行, 倭人等乃敢通書於東萊府使, 此亦大違前規, 島主之入往江戶, 雖未知某事, 而蹤迹亦甚綢繆云云。 以上備局謄錄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前例則島主與東萊府使, 互相通書, 而今番則稱以島主入往江戶, 留島奉行, 倭人等乃敢通書於東萊府使, 此亦大違前規, 島主之入往江戶, 雖未知某事, 而蹤迹亦甚綢繆云云。 以上備局謄錄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4437B07443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4年 2月 15日_011 ○李宗迪, 以備邊司言啓曰, 卽見東萊府使閔百祥狀啓, 則以六執政事裁判, 差倭又爲出來云, 誠極駭然。 今番信行時, 舊關伯禮單及五執政之特許, 皆出非常恩旨。 在倭人之道, 惟當欣悅感祝之不暇。 而...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2)
- 냉전의 '이종적 연결망'으로서 '평화의 댐' 사건: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통한 경험적 추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종욱, 게재일 : 201159076 김종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회과학연구소/한국사회과학연구회 2011 냉전의 '이종적 연결망'으로서 '평화의 댐' 사건: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통한 경험적 추적 https://www.krm.or.kr/k유형논문 | 게재일2011
- 日本關於中國天台宗的研究與動向 『維摩経玄疏』と別行本―「三観解釈」と『三観義』の比較考察を中心として―日本關於中國天台宗的研究與動向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0964259 한국연구재단 宗教文化出版社北京 2009 日本關於中國天台宗的研究與動向 『維摩経玄疏』と別行本―「三観解釈」と『三観義』の比較考察を中心として―日本關於中國天台宗的研究與動向 https://www.krm.or.kr/krmts/searc유형논문 | 게재일2009
주제어사전(1)
-
이종적 / 李宗迪 [종교·철학/유학]
1710(숙종 36)∼1748(영조 24). 조선 후기의 문신. 이항복의 5대손, 시술 증손, 할아버지는 세필, 아버지는 정좌, 어머니는 박신부의 딸이다. 1736년(영조 12)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이듬해 예문관검열이 되어 세자시강원설서를 겸직, 1740년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