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종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5)
사전(150)
- 후산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종수(李宗洙)의 시문집. [내용] 18권 9책. 석인본. 권1에 시 40수, 권2∼11에 서(書) 173편, 권12∼15에 잡저 21편, 권16∼18에 서(序) 3편, 발(跋) 7편, 명(銘) 1편, 상량문 2편, 축...
- 이종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22(경종 2)∼1797(정조 21).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학보(學甫), 호는 후산(后山). 어려서부터 학문에 정진하여 향촌사회의 존경을 받았으며 사림(士林)의 모범이 되었다. 당대의 학자로 학행으로...이칭별칭 학보(學甫)| 후산(后山)
- 이종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6∼1989. 영어영문학자. [개설]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한산(閑山). 평양 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1929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영어영문학 전공)를 졸업하고, 동대학 대학원과 미국 뉴멕시코대...이칭별칭한산(閑山)
- 유장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수 받았으며, 김종덕(金宗德)ㆍ이종수(李宗洙)와 함께 ‘호문삼로(湖門三老)’로 불려지고 있다. 용모가 준수하고 도량이 넓었으며 학문에 전념하여 경학, 제자백가, 예학에 두루 통하였다. 저서로는 『동암집(東巖集)』ㆍ『계훈유편(溪訓類編)』ㆍ『호서유편(湖書類編)』ㆍ『...이칭별칭 숙원(叔遠)| 동암(東巖)|호문삼로(湖門三老)
- 우고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명‧만사‧제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이종수(李宗洙)‧신체인(申體仁) 등의 시에 차운한 것과, 최흥원(崔興遠)‧이광정(李光靖) 등의 죽음을 애도하여 지은 추모시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서는 이종수‧유장원(柳長源)‧김진동(金鎭東) 등이나 문중에 보낸...
고서·고문서(120)
- 1894년 이종수(李棕壽) 등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경주 옥산 여주이씨 독락당‧치암 종택‧장산서원
- 1897년 이종수(李棕壽) 등 상서(上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경주 옥산 여주이씨 독락당‧치암 종택‧장산서원
- 1851년 이종수(李鍾洙)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1787년 이종수(李宗洙)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787년 3월 27일, 이종수가 노림서원 모임과 학문 토론과 관련하여 이광정에게 보낸 편지이다. 노림서원의 모임이 또 다시 제대로 풀리지 않은 데 대해 답답한 마음을 표하였다. 사단에 대해 따지고 분변하는 것이 끝내 실패하기에 이르렀는데, 이광정의 아들이 행차한 지...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794년 이종수(李宗洙)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794년 12월 24일, 이종수가 여러 근황을 주고받기 위해 이우에게 보낸 편지이다. 이우가 자신의 큰 아들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이우의 건승함과 질녀의 산우(産憂)가 평탄하였음을 알게 되어 마음이 놓인다고 하였다. 자신은 초겨울에 병을 얻어 40일이 지난 지금...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기초학문(10)
- 조선후기 大芚寺 현창 운동과 그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종수, 게재일 : 201141987 이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국사학회 2011 조선후기 大芚寺 현창 운동과 그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유형논문 | 게재일2011
- 민주화 이후 야당의 지위, 기능 및 책임성의 재정립을 위한 헌법적 검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종수, 게재일 : 201452001 이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헌법학회 2014 민주화 이후 야당의 지위, 기능 및 책임성의 재정립을 위한 헌법적 검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14
- 관료병 스토리텔링 힐링의 명상적 접근: 예방과 치유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종수, 게재일 : 201449382 이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공공관리학회 2014 관료병 스토리텔링 힐링의 명상적 접근: 예방과 치유프로그램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14
- 관료병의 오리청렴 스토리텔링 힐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종수, 게재일 : 201554334 이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퇴계연구소 2015 관료병의 오리청렴 스토리텔링 힐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유형논문 | 게재일2015
- 관료병과 치유사례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종수, 게재일 : 201565066 이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5 관료병과 치유사례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70)
- 李宗壽(盛文堂書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宗壽(盛文堂書店) 서울 李宗壽 盛文堂書店 西大門町 1-79-1 종이_문고_도서 - 서적 소매 15.3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대표표제어李宗壽(盛文堂書店) | 지역서울 | 품목종이_문고_도서 | 영업종목서적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李鍾秀(大原堂 )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鍾秀(大原堂 ) 수원 李鍾秀 大原堂 本町 4町目 61 - - 금은대용품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鍾秀(大原堂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금은대용품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李鍾秀(일용잡화 )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鍾秀(일용잡화 ) 수원 李鍾秀 일용잡화 本町 6 - - 잡화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鍾秀(일용잡화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잡화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二宗秀三郞(-)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二宗秀三郞(-) 대구 二宗秀三郞 - 元町 1丁目 - - 토목건축청부 - - - 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二宗秀三郞(-) | 지역대구 | 품목- | 영업종목토목건축청부 | 자료출처最近 大邱要覽: 大邱商工人名錄, 1920년
- 민세안재홍전집 : 朝 鮮 新 聞 史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0740 1931 12 15 1 1 李 鍾 洙 이종수 朝 鮮 新 聞 史 思想變遷을 中心으로 잡지 동광 3권 12호 211~217쪽 논문 역사 직접자료 선집외 漢城旬報 獨立新聞 皇城新聞帝國新聞大韓每日申報...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멀티미디어(60)
- 교류와 전승 5주차. 대장경의 역사와 고려대장경 6주차. 조선전기 왕실의 불교전적 출판 7주차. 조선시대 사찰본의 간행 8주차. 조선후기 가흥대장경 불서의 복각과 영향 9주차. 출판으로 보는 조선 불교 10주차. 근대불서와 불교잡지 이종수 남권희 박용진 송일기 손성강좌제목출판과 불교 | 강의자이종수 남권희 박용진 송일기 손성필 김종진
- 교류와 전승 5주차. 대장경의 역사와 고려대장경 6주차. 조선전기 왕실의 불교전적 출판 7주차. 조선시대 사찰본의 간행 8주차. 조선후기 가흥대장경 불서의 복각과 영향 9주차. 출판으로 보는 조선 불교 11주차. 근대불서와 불교잡지 이종수 남권희 박용진 송일기 손성강좌제목출판과 불교 | 강의자이종수 남권희 박용진 송일기 손성필 김종진
- 교류와 전승 5주차. 대장경의 역사와 고려대장경 6주차. 조선전기 왕실의 불교전적 출판 7주차. 조선시대 사찰본의 간행 8주차. 조선후기 가흥대장경 불서의 복각과 영향 9주차. 출판으로 보는 조선 불교 12주차. 근대불서와 불교잡지 이종수 남권희 박용진 송일기 손성강좌제목출판과 불교 | 강의자이종수 남권희 박용진 송일기 손성필 김종진
- 교류와 전승 5주차. 대장경의 역사와 고려대장경 6주차. 조선전기 왕실의 불교전적 출판 7주차. 조선시대 사찰본의 간행 8주차. 조선후기 가흥대장경 불서의 복각과 영향 9주차. 출판으로 보는 조선 불교 13주차. 근대불서와 불교잡지 이종수 남권희 박용진 송일기 손성강좌제목출판과 불교 | 강의자이종수 남권희 박용진 송일기 손성필 김종진
- 교류와 전승 5주차. 대장경의 역사와 고려대장경 6주차. 조선전기 왕실의 불교전적 출판 7주차. 조선시대 사찰본의 간행 8주차. 조선후기 가흥대장경 불서의 복각과 영향 9주차. 출판으로 보는 조선 불교 14주차. 근대불서와 불교잡지 이종수 남권희 박용진 송일기 손성강좌제목출판과 불교 | 강의자이종수 남권희 박용진 송일기 손성필 김종진
기타자료(55)
- 이종수;李鍾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0060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1면 이종수;李鍾洙 제13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종수;李琮壽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0641 남한 경성 經學院 經學院襍誌 제39호 1935―11―05 60면 4. 청강생 이종수;李琮壽 홍성군 금마면 죽림리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經學院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종수;李鍾守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9913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5면 이종수;李鍾守 제12회 1945-03-20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종수;李鍾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1672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64면 이종수;李鍾洙 강원도 홍천군 홍천면 진리;미상 제4회 1926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종수;李鍾洙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2522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320면 3. 졸업생 성명;2) 문학사;(3) 문학과;a. 1929년 3월 졸업(16명);(ㄱ) 영어학, 영문학 전공 이종수;李鍾洙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
한국상고문화의 기원과 중국 동북지방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박대재 | 고려대학교 | 2010 | 국내 | 서울
-
불교의 프리즘으로 보는 한국성의 글로컬리티
K학술 확산연구소사업 | 김종욱 | 동국대학교 | 2021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3)
-
이종수 / 李宗洙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22∼1797). 어려서부터 학문에 정진하여 향촌사회의 존경을 받았으며 사림의 모범이 되었다. 명대 학자 대산·소산을 사모하여 스스로 후산이라 불렀다. 저서로 《근사록어류집록》·《수사전습록도설훈의》·《후산문집》 등이 있다.
-
학고문집 / 鶴皐文集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문인 이규헌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8년에 간행한 시문집. 1978년 이규헌의 후손 이종담(李鍾淡) 등이 편집하고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종은(李鍾殷)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아들 이종수(李鍾秀)의 발문이 있다. 제1편에 시율(詩律) 785수, 제2편에 기
-
김도행 / 金道行 [종교·철학/유학]
41) 식년시 생원 3등 53위로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대한 뜻을 버리고 독서와 자기 수양에 매진하였다. 도연서당에서 후학 양성에 힘썼다. 유장원·이종수 등과 교유하였다. 저서로《우고문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