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종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4)
사전(46)
- 정헌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이종상(李鍾祥)의 시문집. [내용] 18권 9책. 목판본. 1900년 경주에서 간행되었다. 국립중앙도서관‧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315수, 권2에 소(疏) 2편, 계(啓...
- 이종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99(정조 23)∼1870(고종 7).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여주(驪州). 호는 정헌(定軒). 경주 출신. 아버지는 정열(鼎說)이며, 어머니는 영양남씨(英陽南氏)로 경희(景羲)의 딸이다. 큰아버지 정약(鼎若)에게 입...이칭별칭 정헌(定軒)
- 이인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종상(李種祥)의 문인이다. 일찍이 과거에 응시하였으나 실패하자, 그만두고 성리학 연구에 힘을 기울였다. 중문(中門) 밖에 방 한 칸을 따로 지어 그 안에서 학문연구에 몰두하였는데, 『성리대전(性理大全)』과 『도산언행록(陶山言行錄)』을 즐겨 읽었다.이칭별칭 성원(性元)| 기산(企山), 간우(艮宇)
- 해의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김. 海衣一帖 仰呈, 이종상(李鍾祥), 02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아교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따님. 상대방의 여식을 가리킴. 阿嬌婚處 其間或已牢定否, 이종상(李鍾祥), 02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88)
- 6 第六統統首李種祥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49년_웅촌면(熊村面) 1849년 웅촌면(熊村面) 第十五西倉里 6 第六統統首李種祥 第一戶 幼學李種祥年參拾陸甲戌本蔚山父學生銀吾祖學生宜一曾祖學生時雨 外祖學生김興慶本牛峯母김氏年陸拾肆丙午妻李氏年肆拾壹己巳本淸安父 學生存和祖學生孝調曾祖學生天植外祖學生孫星昊...연도_면이름1849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十五西倉里
- 1863년 이종상(李種祥)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63년(철종14) 8월 26일 이종상(李種祥)이 이원조에게 보낸 서찰. 상대방이 노년에도 귀성(龜城)과 무흘(武屹)등으로 유람하는 왕성한 기력을 부러워하며 적벽(赤壁)에서 노닌 송(宋)나라의 소동파(蘇東坡)에 비유하였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 1863년 이종상(李種祥)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63(철종14) 이종상(李種祥)이 이원조에게 보낸 서찰이다. 공납(公納)을 맡아서 심문하였으나 끝내 비리를 밝혀내지 못하였으며, 선조의 유집(遺集)은 교정에 참여할만한 수준이 못되고, 화답하는 시 한수를 보낸다는 사연이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 1863년 이종상(李種祥) 서간(書簡) 별지(別紙)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63년(철종14) 8월 26일에 이종상(李種祥)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응 0542〉의 별지. 고인들은 서찰을 주고받을 때에도 선비들은 문방구나 음식물 등을 함께 보내기도 했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 1863년 이종상(李種祥) 서간(書簡) 별지(別紙)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63년(철종14) 8월 26일에 이종상(李種祥)이 이원조(李源祚)에게 보낸 간찰〈응 0542〉의 별지로, 이원조가 보내준 시에 칠언율시(七言律詩)로 화답한 시를 적은 시고(詩稿)이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기초학문(1)
- 상호작용 분석을 통한 수도권 공간구조와 그 변화: 1995-2005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종상, 게재일 : 200823224 이종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도시지리학회 2008 상호작용 분석을 통한 수도권 공간구조와 그 변화: 1995-2005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08
신문·잡지(1)
- 非此莫可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공쥬관찰부 경무셔 경무관 최린용씨 사됨이종상고 염직며장뎡과일어에한슉야 셩예가잇터인즉 맛당히 권장야 승용만데 이졔폐지을 당즉 비단즁민이 앗가워안이라 본부 형편으로말야도 이사이 아니면 합당치못니 로셔임춍슌 신현두 다른로 옴계쓰게고...게재일1906년 1월 5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8)
- 이종상;李宗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59992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6면 이종상;李宗相 제2회 1945-09-22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종상;李鍾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5669 일본 東京 일본대학 일본대학조선유학생동창회 회원명부(1928년) 1929―04―05 97면 1. 졸업생 177명(과별) 이종상;李鍾象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종상;李鐘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0760 일본 東京 일본대학 회원명부 1932년 4월 현재 1932―04―10 463면 이종상;李鐘象 조선 1926년학교소재지역東京 | 학교명일본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종상;李鍾祥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77035 남한 충남 예산농업학교 2-35 교우회보 제4호 1925―12―21 43면 이종상;李鍾祥 제2회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예산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종상;李鍾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7367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11면 이종상;李鍾相 황해도 연백군 해월면 도촌동 제14회 1936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9)
-
이종상 / 李鍾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99∼1870). 조부 이헌석에게 수학하였고, 시폐의 대책을 상소하여 왕에게 책자를 상으로 받았다. 사설금지를 주장하였고, 미국의 셔먼호 침범을 토벌하는 경주진 소모장이 되었다. 김매순·남고·한운성과 서신으로 태극과 심성을 논하였으며, 대사헌
-
학포집 / 學圃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학자 정훤의 시문집. 4권 2책. 목판본. 1859년(철종 10) 후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종상의 서문이 있다. 권1에 시 50수, 권2에 서 7편, 기 4편, 권3에 제의 2편, 제문 10편, 권4에 부록으로 행록·단성지·만장·제문·행장·
-
구봉유집 / 龜峯遺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권덕린의 시·서(書)·책·잡문 등을 수록한 시문집. 2권 1책. 목판본. 후손 치복(致福)과 해상(海祥) 등이 간행하였다. 간행연도는 알 수 없다. 권두에 목만중(睦萬中)과 이휘령(李彙寧)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종상(李鍾祥)의 후서(後敍)가 있다.
-
구암문집 / 懼庵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이수인의 시·서(書)·기·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9권 5책. 목판본. 간행연도는 미상이다. 권두에 이휘령(李彙寧)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이종상(李鍾祥)의 후서(後敍)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1∼3에 시, 권4에 소 2편, 서(
-
낙천문집 / 洛川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배신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62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2책. 목활자본. 1862년(철종 13) 이원조(李源祚)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원조의 서문과 권말에 최석문(崔錫文)과 이종상(李鍾祥)의 발문이 있다. 영남대학교 도서관과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