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종무” 에 대한 검색결과 25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0)

사전(66)

  • 유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開川都監提調)ㆍ별사금제조(別司禁提調) 등을 역임하고, 1414년에는 하정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1418년 평안도도절제사에 이어 1419년(세종 1)에는 좌군도절제사로서 () 등과 함께 대마도정벌에 공을 세우기도 하였다. 시호는 양정(襄靖...
    이칭별칭 양정(襄靖)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360(공민왕 9)∼1425(세종 7). 조선 전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장수(長水). 어려서부터 말타기와 활쏘기에 능했고, 1381년(우왕 7) 아버지와 함께 강원도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한 공으로 정용호군(精勇護軍)이 되었다. ...
    이칭별칭 양후(良厚)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7174 인물 () 1360 1425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장수(長水). 어려서부터 말타기와 활쏘기에 능했고, 1381년 부친과 함께 강원도에 침입한 왜구(倭寇)를 격파한 공으로 정용...
    유형분류인물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7175 인물 () ? ? 조선말기의 관리. 1880년 인천항 개항 및 공사관 설치의 철회와 부산항에서의 관세징수 교섭 등 외교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제2차 수신사로 김홍집(金弘集)이 일본에 파...
    유형분류인물
  • 유습(柳濕)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그의 아들에게 관직을 줄 것을 청하였다 하여 과의상장군(果毅上將軍)에 특진되었다. 태종 때에는 원종공신이 되어 예조 ‧ 형조 ‧ 병조 ‧ 이조의 전서(典書)를 역임한 뒤, 전라 ‧ 충청 ‧ 평안도의 도절제사 ‧ 별사금제조(別司禁提調) 등을 지냈다. 1419년 (...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161)

  • 18000 B018000 거제도 巨濟島 도서 경상남도 世宗實錄 元年(1419) 秋七月 세종실록_10107003_002 ○等引舟師, 還泊巨濟島。
    출처전거世宗實錄 | 지역분류경상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經史門2_征對馬島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 至是道全爲助戰兵馬使, 戰又不力, 命竄于平壤. 於是議征對馬島, 僉曰: ‘待賊還.’ 獨兵曹判書趙末生曰: ‘可乘虛也.’ 乃命長川君 爲三軍都體察使將中軍, 禹博、朴成陽、黃蒙佐之; 柳濕將左軍, 朴礎、朴實佐之; 李之實將右軍, 李蕆、李順蒙佐之. 發慶尙、全羅羅: 와세다대본에는...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十九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권황이 한원진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省式言 五月惠札 深慰悵別之懷 便遞 汔玆稽謝 歉恨歉恨 潦雨支離 不審比來侍餘學履如何 馳溯無已 此間禫事奄過 喪制已盡 哀號莫及 只恨其頑忍 而纔又聞季舅凶問 摧慟隕絶 益無以堪抑也 老人終夏 幸無疾恙矣 近□患感 有損敗非細 長兒忽得逐日瘧□□ 至數旬 離却無方 種種悶迫 不可言 賤疾...
    분야문학 | 유형문헌
  • 其職, 究問之擧, 貪墨守令, 將何懲懼哉? 請竝拿問處置。” 上不從。
    출처전거顯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老則只罷其職, 究問之擧。 閫帥、守令之貪墨者, 將何懲懼哉? 請竝拿問處置。” 上不從。
    출처전거顯宗改修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AHP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내부품질특성의 선정방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종무, 게재일 : 1997
    01302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정보과학회 1997 AHP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내부품질특성의 선정방법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
    유형논문 | 게재일1997

신문·잡지(10)

  • 출판경찰보 111호 일본사 ABC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111호 일본사 ABC 일본사(日本史) ABC () 미기재 상해(上海) 일본_1938년 3월 8일 금지 안녕 중국어 교과서, 일본사 학생을 대상으로 일본사를 개설...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11호 일본사 ABC | 출판물명일본사(日本史) ABC
  • 출판경찰보 143호 일본생활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143호 일본생활 일본생활(日本生活) () 미기재 상해(上海) 일본_1942년 4월 10일 삭제 안녕 중국어 일본생활 본서(本書)는 일본의 각종 사회사정, 일...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43호 일본생활 | 출판물명일본생활(日本生活)
  • 주일학교의 조직과 운영 56 어린이강단 김영규 57 저녁강단 홍종만 62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2
  • 표지 및 목차 권두언-말씀에 의지하여 12 좌담-여름교육프로그램을 말한다 , 박재천, 권오서, 오영호, 윤두혁, 임승원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82
  • 교사와 교회교육-교사와 교육의 상관관계 천정웅 11 교사와 교회교육-교육을 위한 교사대책 16 알기 쉬운 이단해설(2)-영지...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85

기타자료(12)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1013 남한 충남 공주고등보통학교 2-06 졸업대장(충남공주고등학교) n.r. 51-1면 ; 제11회 1936년
    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공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7592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47면 - ; 1934년 3월 31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9208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39 84면 1. 3. 각 과별 졸업생;19) 제19회 졸업생 (1937년 3월 졸업);(2) 상과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0126 남한 경성 연희전문학교 1-36 연희전문학교일람 1940 88면 1. 3. 각 과별 졸업생;19) 제19회 졸업생 (1937년 3월 졸업);(2) 상과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연희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8873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73면 (51) 보습과 제4회 29명(1938년 3월 修業) ; 경기도 안성군 서운면 인리 11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1360(공민왕 9)∼1425(세종 7). 조선 전기의 무신. 1381년(우왕 7) 아버지와 함께 강원도에 침입한 왜구를 격파한 공으로 정용호군이 되었다. 1397년(태조 6) 옹진만호로 재직중 왜구가 침입해 성을 포위하자 끝까지 싸워 격퇴하였다. 그 공으로 첨절제사

  • 최윤덕 / 崔潤德 [종교·철학/유학]

    1376(우왕 2)∼1445(세종 27). 조선 전기의 무신. 아버지는 운해이다. 태어나면서 어머니를 여의고 아버지는 국경의 수비에 나가 있어 한마을에 사는 양수척에 의하여 양육되었다. 체찰사 와 함께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평안도도절제사, 우의정, 좌의정을 역임

  • 무군선 / 無軍船 [정치·법제/국방]

    7척이 있는데, 그것은 1420년(세종 1) 여름 삼도도체찰사 가 대마도를 원정한 뒤 불의의 사태에 대비하여 공선을 둔 데서부터 유래되었다. ≪경국대전≫ 제도병선조에 나타나 있는 737척의 대맹선·중맹선·소맹선 중 그 3분의 1에 해당하는 249척이 무군선이다.

  • 좌명공신 / 佐命功臣 [역사/조선시대사]

    영렬·윤곤·박은·박석명·마천목·조희민·유기 등 12명을 책록, 4등에는 조박·조온·권근·이직·유량·조경·김승주·서익·홍서·윤자당·이원·이승상·김정경·서유··이응·심구령·연사종·한규·김우·문빈·윤목·송거신 등 23명을 책록하였다.

  • 화약감조청 / 火藥監造廳 [정치·법제/법제·행정]

    1417년(태종 17)에 화약 제조 전문기관으로 설치된 군기감 산하의 관서. 화약감조청은 1417년 봄 최해산이 군기시제조 의 중간알선으로 옛 절인 예빈사의 헌 기와와 목재를 이용하여 지금의 서울 정동 근처에 건축하였다. 1435년(세종 17) 2월에 소격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