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조년” 에 대한 검색결과 7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6)

사전(4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성주이씨 영정 / 1269(원종 10)∼1343(충혜왕 복위 4). 고려 후기의 문신. 영정.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45호. 성주이씨대종회 소장.
    이칭별칭 원로(元老)| 매운당(梅雲堂), 백화헌(百花軒)| 문열(文烈)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궁중 악사(樂師). 황제의 명으로 잔치 때마다 음악을 연주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TD_L14_D_2455 인물 踰墉走, 不謹, 儒者, 朴拙, 習經史, 識廉恥, 沙箇里, 遠佞, 親儒, 改行, 自飭, 天威 元 忠惠王 麗史 D_12_04_78 대동운부군옥 12권 4장 78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4장 7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2510 인물 確敢, 志, 言 本史 D_12_06_12 대동운부군옥 12권 6장 1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6장 1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4374 인물 終身不出, 彈雀, 還鄕 北宮 忠宣王 麗史 D_18_04_86 대동운부군옥 18권 4장 86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4장 8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28)

  • 장경은 고려시대 중기의 호족으로 李百年, 李千年, 李萬年, 李億年, 5형제의 아버지이자 이인기, 이승경의 할아버지이다. 이인임의 증조부이자 이숭인의 고조부이다. 아들 5형제의 출세로 거듭 증직되고 廣山府院君에 추봉되었다가 손자 이승경의 출세로 원나라로부터 隴西郡...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 11 第十一統統首金宗大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應祿年 拾辛酉婢以分年柒拾肆丁巳婢牙今年陸拾玖壬戌時居慈仁等丁卯戶口相准 第二戶 幼學鰥夫金見麟年肆拾伍丙戌本彦陽父學生遇兌祖學生聲五曾祖宣 敎郞彦章外祖學生沈大淵本靑松子貳拾貳己酉婦柳氏年貳拾壹庚 戌婢正心年拾貳己未前逃亡等丁卯戶口相准 第三戶 幼學鰥夫金履祐年參拾辛丑本彦陽父學生見麒祖...
    연도_면이름1810년_동면(東面) | 면이름동면(東面) | 마을이름第五牧場里
  • 今若祀以鄕賢, 則事得其宜, 士心帖然矣, 豈有他議哉? 星州書院, 初祀, 士子畫像手執數珠, 疑其奉佛。 稟于退溪先生, 之祠, 祀以鄕賢, 而以程、朱爲正位, 未聞士論與程、朱同院爲不可也。 況文憲一生, 尊奉孔子, 今得同院, 有何不可乎? 大抵此事, 非弟欲爲山長敎...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號者 號也] 對馬牒狀發無禮 其狀進奉船事不見也 自往代已有此事歟 咎無禮之狀 返遣進奉之物 [丸蚫三百帖 黑蚫三百丸 鹿皮三十枚云云]也 仍被召之狀 進奉事書改令進了云云 其趣注付一日記了云云 予云 本自此事所不審申也 仍可被尋究子細之由定申了 今所承之趣 尤肖[有カ]興歟 凡異國事者 能可...
    국가일본 | 서명일기 | 왕대고종(高宗)  27
  • 다 만들었으니 내일 전라도로 가겠다고 한다. ○어떤 사람이 와서 말하기를, “침곡(砧谷)에 문열공(文烈公) 문열공(文烈公) : 농서공 李長庚의 다섯째 아들 으로 이문건의 직계 조상이다. 의 손자가 이인임이고, 이인임은 李稷을 낳았는데 이직의 시호는 文景이다....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정긍식 교수)

신문·잡지(1)

  • 성수 정로사 김경화, □충범, 정두현, 허문일, 송군찬, 김갑조, 박화□, 윤상남, 최명익 북조선인민교육문화후원회, 북조선불교연합 찬란하든 조선 민족의 문화는 간의 낙후와 36년간의 일제의 이□적 식민지적 □정아래에서 여지없는 쇠퇴의 길을 걸...
    대표표제어정로_1946_0317_04 | 책임주필태성수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269(원종 10)∼1343(충혜왕 복위 4). 고려 후기의 문신. 장경의 아들이다. 1294년(충렬왕 20) 향공진사로 문과에 급제하여 안남서기에 보직되고, 감찰장령, 정당문학, 예문관대제학 등을 역임하였다. 1339년 충혜왕이 복위하자 성산군에 봉해졌다.

  • 천곡서원 / 川谷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해평리에 있었던 서원. 1558년(명종 13) (), 이인복(李仁復), 김굉필(金宏弼)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연봉서원(延鳳書院)으로 창건되었으나, 이후 정구(鄭逑) 등에 의해 천곡서원(川谷書院)으로 개명되었으며 주향자로 숙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