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제현” 에 대한 검색결과 50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7)

사전(347)

  • 혜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공민왕의 후비.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계림부원군(鷄林府院君) ()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가 아들이 없자, 재상들이 명가의 딸로서 자식 둘 자를 청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드나들게 했는데, 그들과 상대할 고려측의 인물로서 을 지명했던 것이다. 이로부터 그는 만권당에 출입한 요수(姚燧)‧염복(閻復)‧원명선(元明善)‧조맹부(趙孟頫) 등 한족(漢族) 출신 문인들과 접촉을 자주 갖고 학문과 식견을 넓힐 수 있었다. 그의 원나라...
    이칭별칭 중사(仲思)| 익재(益齋), 역옹(?翁)| 문충(文忠)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문장왕국의 좌의정이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TD_L14_D_2882 인물 樓臺, 佳致, 降香, 寓興, 遣懷 江南 忠宣王, 李生 勝覽 D_13_04_87 대동운부군옥 13권 4장 8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3권 4장 8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3318 인물 奉使, 往返凡萬餘里 吳會, 元, 川蜀 忠宣王 亂稿序 D_14_03_17 대동운부군옥 14권 3장 1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3장 1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1)

  • 한국문학 속의 중국 담론 [중국해양대학 | 中國海洋大學 (OCEAN UNIVERSITY OF CHINA)]
    저자 : 이해영, 한홍화... | 출판사 : 경진 | 출판일 : 2014.04.01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제1부 한국 고전문학에 나타난 중국 고려와 원(元)의 문학 교류 : 을 중심으로 김윤식의 중국인식 : 영선사(領選使) 활동 시기를 중심으로 《승사록》에 나타난 최두찬의 이념과 실천, 그리고 강남

고서·고문서(108)

기초학문(4)

  • ‘益齋 의 古文倡導’에 대한 재검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서정화, 게재일 : 2010
    39844 서정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10 ‘益齋 의 古文倡導’에 대한 재검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고려후기 사대부 한시에 나타난 정신지향에 대한 연구 -,안축,최해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39963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3 고려후기 사대부 한시에 나타난 정신지향에 대한 연구 -,안축,최해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益齋集』의 사료적 가치와 詩文 제작시기 - 의 정치활동과의 비교 검토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정호, 게재일 : 2013
    57811 이정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사학회 2013 『益齋集』의 사료적 가치와 詩文 제작시기 - 의 정치활동과의 비교 검토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의 「김공행군기」와 ??태조실록?? 총서의 고려말 이성계의 전투 기록과의 비교 분석 - 중세 전쟁사 기술의 원형 찾기와 그 응용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윤훈표, 게재일 : 2017
    16193 윤훈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실학회 2017 의 「김공행군기」와 ??태조실록?? 총서의 고려말 이성계의 전투 기록과의 비교 분석 - 중세 전쟁사 기술의 원형 찾기와 그 응용 - https://www
    유형논문 | 게재일2017

신문·잡지(3)

  • 우리 한국의 교육내력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이두(吏讀), 최고운(崔孤雲), 최광유(崔匡裕), 최언위(崔彦撝), 김인존(金仁存), 과거법, 김양감, 안문성(安文成), 이학(理學), 섬학전(贍學錢),우탁(禹倬), 역학(易學), 권보(權溥), (), 이색(李穡), 정몽주(隱夢周), 길야은(吉冶隱), 김숙자...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3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우리 한국의 교육내력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 충렬왕, 안유, 최충, 우탁, 백이정, , 국초(國初), 성균관, 사학, 훈민정음, 중종, 조광조, 김정, 김식, 기준, 김안국, 현량과, 신무문의 화, 남곤, 심정, 명종, 주세붕, 백운동, 백록동, 백운서원, 소수서원, 손조, 갑오경장, 공립, 사립, 허명...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4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삶의 현장 스케치(련재3) 류연산 37 북경에서 오래 생활한 고려시인 한창희 44 미국인상기(2) 진락제...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8

기타자료(4)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7528 남한 경성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1-45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진명>> 1934 128면 ㅁ1. 회원명부(1934년 5월 현재);ㅁ3) 제1회(1911년 3월 30일) 10명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7489 남한 경성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1-45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진명>> 1934 127면 ㅁ1. 회원명부(1934년 5월 현재);ㅁ2) 객원 ; 미국 샌프란시스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해 가야역사 테마파크 조성부지 내 김해 어방동 분산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9 김해시/(재)한국문물연구원 155 박광춘,최종혁,장윤정,권종호,이주성, 이승일,현창호 한국문물연구원 경상남도 김해시 어방동 산 2-15 외 경상남도 김해시 128˚ 41’ 35˚ 9’ 69,607㎡ 구제(테마파크...
    발행연도2009 | 발굴기관김해시/(재)한국문물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40)

  • / [종교·철학/유학]

    1287-1367. 고려 말의 유학자. 백이정에게서 배웠다. 1314년 원나라 연경에 가서 조맹부 등과 고문학을 연구하였다. 귀국 후 왕명으로 실록을 수찬하고 종묘, 위패의 차례를 정하였다.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높이 평가하였다. 그의 학문은 고려 유학의 원류를

  • 장열서원 / 長悅書院 [교육/교육]

    강원도 정선군 북평면 장열리에 있었던 서원. 향중 사림이 (, 1287∼1367)의 학덕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서원이다. 1868년(고종 5)에 흥선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며, 이후 다시 복설되지 못하였다.

  • 소악부 / 小樂府 [문학/한문학]

    한문문학의 악부 속의 한 분파. 문학에서 소악부라는 이름을 최초로 쓴 사람은 ()이다. 그가 지은 소악부는 당시의 고려속요를 번안한 것이다. 지금까지 전해지는 속요 3수는 〈처용가〉·〈서경별곡〉·〈정과정〉이다. 나머지 6수는 ≪고려사≫ 악지에 가명(歌名)

  • 사리화 / 沙里花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본래의 가사는 전하지 않고, 다만 ()의 『익재난고(益齋亂藁)』 소악부(小樂府)와 『고려사』 악지(樂志)에 노래의 내력과 의 한역시가 수록되어 그 내용을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고려사』 악지에 의하면, 부세(賦

  • 거사련 / 居士戀 [문학/고전시가]

    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 현재 원가(原歌)는 전하지 않고, 다만 고려 말기 ()의 한역(漢譯) 해시(解詩)가 『고려사(高麗史)』 악지(樂志)와 그의 『익재난고(益齋亂藁)』 소악부(小樂府)에 수록되어 있어 그 내용만을 짐작할 수 있다.『고려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