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제삼” 에 대한 검색결과 1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1)

사전(13)

  • 근대신어 : 앙리 3세(顯)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37079 앙리 3세 아항 顯 앙리 3세 法國誌畧續稿 漢城旬報 17 博文局 1884 3 11 24 인명
    출전漢城旬報[博文局]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그레고리오 3세(格勒革)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5781 그레고리오 3세 가항 格勒革 敎皇 교황 七百三十一年에敎皇格勒革이東帝力抗야羅馬希臘二敎始分얏고 731년에 교황 그레고리오 3세가 동로마 황제를 힘써 배척하여 로마, 그리스 2교를 처음 나누었고...
    출전萬國事物紀原歷史[皇城新聞社]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제3국어(第三國語)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49505 제3국어 자항 第三國語 有時에兩邊國語互用이有고 유시(有時)에는 양편이 제3국어를 서로 사용함이 있고 兪星濬 法學通論 普昌學校 1905 389 인문학
    출전法學通論[普昌學校]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문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동로마황제, 동제(東帝)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1399 동로마황제, 동제 다항 東帝 七百三十一年에敎皇格勒革이東帝力抗야羅馬希臘二敎始分얏고 731년에 교황 그레고리오 3세가 동로마 황제를 힘써 배척하여 로마, 그리스 2교를 처음 나누었고 張志淵 萬國事物...
    출전萬國事物紀原歷史[皇城新聞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정치주체 [과학지식] 호칭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제3제국(第三帝國)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49516 제3제국 자항 第三帝國 The third Empire 人生의生이本能그대로는살수가업다. 動物과가티 肉慾의世界이나 醜惡한物質的世界에만은 살수가업다러서神과靈의理想鄕에서만도살수가업다. 靈肉一致의帝國이 帝國이다.
    출전開闢[開闢社] | 계통분류 [정치경제] 국가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96)

  • 故先正ㆍ名儒之論,皆代爲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980 喪儀節要 卷二 ITKC_MP_0597A_0980_020_0050 故先正ㆍ名儒之論,皆代爲正。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
    권차명喪儀節要 卷二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仲尼曰:“叔向,古之遺直也。治國制刑,不隱於親,三數叔魚之惡,不爲末減。曰義也夫,可謂直矣。平丘之會,數其賄也,以寬衞國,晉不爲暴。歸魯 季孫,稱其詐也,以寬魯國,晉不爲虐。邢侯之獄,言其貪也,以正刑書,晉不爲頗。三言惡,加三利,殺親益榮,猶義也夫!”【昭十四年 ○叔魚即叔向庶弟】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邢侯之獄,言其貪也,以正刑書,晉不爲頗。三言惡,加三利,殺親益榮,猶義也夫!”【昭十四年 ○叔魚即叔向庶弟】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DCI=...
    권차명論語古今注 卷十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70462 B070462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憲宗 6年 8月 23日_011 ○又以備邊司言啓曰, 卽見禮曹啓目, 則粘連東萊前府使李明迪狀啓以爲, 昨年條第四船送使正官倭藤信年, 設行茶禮, 呈納書契後, 今已身死, 賻物題給及未行宴禮, 船送使倭替行等節, 依請施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7330 B017330 개도 蓋島 도서 전라남도 全羅道邑誌 順天府邑誌 順天府 島嶼 ... 松島在愁太島東斗音方島在白也串西早發島在白也串島東攝島在水營北以上五島居民田畓屬本府大你只島在蓋島南周一百五十里小你只島在大你只島西周一百里金珠島 雲八伊島俱在白也串北周一百五十島在雲八伊北...
    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1712 B031712 금주도 金珠島 도서 전라남도 全羅道邑誌 順天府邑誌 順天府 島嶼 ... p在水營北以上五島居民田畓屬本府大你只島在蓋島南周一百五十里小你只島在大你只島西周一百里金珠島 雲八伊島俱在白也串北周一百五十島在雲八伊北周百里大乃發島在多里島南周百里小乃發島在大乃發島...
    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

  • 석마하연론초자기(釋摩訶衍論草子記)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석마하연론초자기(釋摩訶衍論草子記) 釋摩訶衍論草子記 석마하연론초자기 형태서지 釋論第草子記 筆寫本 [日本] 智山書庫 25-48 無 智山書庫所藏目錄第一...
    대표표제어석마하연론초자기(釋摩訶衍論草子記) | 대표서명釋摩訶衍論草子記 | 한글서명석마하연론초자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석마하연론문서(釋摩訶衍論聞書) 15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석마하연론문서(釋摩訶衍論聞書) 15 釋摩訶衍論聞書 석마하연론문서 형태서지 釋論第四聞書第 筆寫本 [日本] 江戶前期 袋綴裝 2冊 29.0x21.0 ...
    대표표제어석마하연론문서(釋摩訶衍論聞書) 15 | 대표서명釋摩訶衍論聞書 | 한글서명석마하연론문서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86∼1773). 이석형의 후손이다. 한원진, 이간, 윤봉구 등과 친하게 지냈다. 1723년(경종 3) 계묘 증광시 진사 3등 39위로 합격하였다. 영조 37년(1761)에 침랑에 제수되었고, 80세에는 중추부사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