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정청” 에 대한 검색결과 8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2)

사전(5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따라 3필‧2필 등으로 고르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1703년(숙종 29) ()을 설치하고 1704년 수군(水軍)의 군포 3필 중 1필을 감해줌으로써 종래 고르지 못하던 군포를 2필로 균일하게 하였다. 같은 해 12월에는 5군영의 군액(軍額)을 감하는...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철종 때, 삼정의 문란으로 민란이 일어나자 이를 바로잡기 위하여 설치한 임시 관아
    정의철종 때, 삼정의 문란으로 민란이 일어나자 이를 바로잡기 위하여 설치한 임시 관아 | 문광부표기Ijeongcheong | MR표기Ijŏngch’ŏ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양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침내 1703년 9월에 이를 전담하는 기구로 양역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당상(堂上)에 이조판서 이유(李濡)‧수어사(守禦使) 민진후(閔鎭厚)‧병조판서 윤세기(尹世紀)‧강화유수 이인엽(李寅燁)‧함경감사 유집일(兪集一) 등 5인, 그리고 낭청(郎廳)에...
  • 등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62년(철종 13) 삼남 지역을 중심으로 일어났던 농민봉기에 대한 수습 방안을 강구하고자 설치되었던 의 기록. [내용] 1책 72장. 필사본. 설치를 명하는 전교(傳敎)가 내린 1862년 5월 25일부터 윤8월 1...
  • 삼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삼정(三政)의 잘못을 바로잡는 임시 관서. [내용] 1862년(철종 13) 5월에 설치한 관서이다. 조선 후기의 ()은 원래 군제(軍制)의 문란을 정리하고 군정을 쇄신하기 위한 일종의 양역(良役)의 변통(變通)을 위...

고서·고문서(32)

  • 선원록의궤(璿源錄儀軌, 1680)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679년(숙종5)부터 1680년까지 행해졌던 『선원록(璿源錄)』 이정(釐正)의 절차와 과정에 관한 기록으로, ()에서 편찬하였다. 『선원록』은 조선시대 왕실관련 족보(族譜)의 하나로, 왕실족보는 국왕의 친‧인척에 관한 인적사항을 조사한 기록이다. 왕실관...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4210 중국 문집 계륵집 006 기타 雞肋集57 太宗將伐遼行 太宗將伐遼 召靖 問曰 公南平吳㑹 北淸沙漠 西定慕容[吐谷渾也] 惟東有高麗未服 公意如何 對曰 殘年朽骨 惟擬此行 病期瘳矣 太宗愍其老 不許 외교일반, 5대ㆍ송, 외국정세, ...
    국가중국 | 서명계륵집 | 왕대기타  
  • 60014 B060014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1年 6月 24日_019 ... 有未曉, 大抵庭請之擧甚重, 自古必有大擧措, 然後始發, 今爲島配, 則尤過矣。 向者群小之鍜鍊也, 其時之事, 惟意所欲, 豈非痛心處? 趙泰耉事, 雖云當用賊黯例, 而先王之此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61244 B061244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1年 6月 24日_019 ... 有未曉, 大抵庭請之擧甚重, 自古必有大擧措, 然後始發, 今爲島配, 則尤過矣。 向者群小之鍜鍊也, 其時之事, 惟意所欲, 豈非痛心處? 趙泰耉事, 雖云當用賊黯例, 而先王之此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明倫 “容聲”、“歎息”, 須於竦畏處驗之, 如()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HCLL_2:1:26 국중본ㆍ성호기념관본에는 이 단락이 위 단락과 이어져 있다. “容聲”、“歎息”, 須於竦畏處驗之, 如夜入神祠中, 彷彿乎如有人在前. 及將出旋回, 如有擧止衣履之聲; 出, 如有長聲而歎息者. 蓋誠以鬼物爲存於其間, 故感動如此.
    서명소학질서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연구과제(1)

  • 조선 후기 선원각의 제도와 운영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조계영 | 서울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6)

  • / [경제·산업/경제]

    조선시대 군정 또는 삼정의 문란을 시정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서. 1703년(숙종 29) 을 설치하고 1704년 수군의 군포 3필 중 1필을 감해줌으로써 종래 고르지 못하던 군포를 2필로 균일하게 하였다. 같은 해 12월에는 5군영의 군액을 감하는 동시에 수군을

  • 삼정 / 三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에 삼정을 교구하는 일을 관장하였던 임시 관서. 1862년(철종 13) 5월에 설치되었다. 조선 후기의 ()은 원래 군제의 문란을 정리하고 군정을 쇄신하기 위한 일종의 양역변통을 위한 제도로서 1703년(숙종 29)에 설치하여 각 군문의 군액을

  • 양역 / 良役 [정치·법제/법제·행정]

    1703년 양역 쇄신을 위해 설치되었던 관서. 임진왜란 이후 양인 장정들은 대부분 군포를 바치는 납포군으로 바뀌게 되었다. 숙종초부터 양역변통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었다. 마침내 1703년 9월에 이를 전담하는 기구로 양역을 설치하였다. 이후 1750년(

  • 각영등록 / 各營謄錄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에서 1703년에서 1705년 사이의 양역변통에 관하여 수록한 등록. 1책 88장. 필사본. 내용은 조선변통절목(漕船變通節目)·오군문개군제변통절목(五軍門改軍制變通節目) 등 여섯 부분으로 되어 있다. 첫째, 조선변통절목은 공진창(貢津倉)·성당창(聖堂倉)·

  • 정기세 / 鄭基世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14∼1884). 원용 아들, 범조의 아버지이다. 1862년 임술민란 때 판의금부사와 형조판서로서 당상이 되었다. 고종 즉위 후 병조판서·한성부좌윤·철종실록찬집당상·제학·우찬성을 역임하였고, <대전회통> 편찬에 참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