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정병”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2)
사전(6)
- 이정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59(영조 35)∼1834(순조 3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여주(驢州). 자는 이집(彛執). 호는 금파(琴坡). 경주 양좌동(良佐洞) 출생. 아버지는 이조참판에 증직된 헌백(憲百)이며, 어머니는 평산 신씨(平山...이칭별칭 이집(?執)| 금파(琴坡)
- 근대신어 : 나폴레옹 보나파르트(拿破菕勃那巴的)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07438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나항 拿破菕勃那巴的 拿破菕勃那巴的이精兵四萬을率고來擊야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정병 4만을 거느리고 내습하여 學部編輯局 萬國略史 學部編輯局 1895 65 인명...출전萬國略史[學部編輯局]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금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이정병(李鼎秉) 조선 후기의 문신 의 시문집.[내용]6권 3책. 목판본. 1936년 손자인 석영(錫永)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말에 이능윤(李能允)‧손후익(孫厚翼)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권1에 시‧소, 권2에 경연강의‧서연강의, 권...
- 영양사난창의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2년(순조 22)에 그 곳 유림 정복휴(鄭復休) 등이 주축이 되어 편집, 간행하였다. [내용] 권두에는 유태좌(柳台佐)ㆍ김희주(金熙周)의 서문이, 권말에는 이정병(李鼎秉)의 발문이 각각 있다. 내용은 이 책의 수집 전말을 밝힌 서언, 8조의 범례, 그리고...
- 사후(伺候)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어 있었다. [용례] 兵曹判書魚世恭等來啓曰 本曹無選上 根隨奴子 亦數少 故例率伺候正兵 今憲府劾本曹及都摠府帶率伺候正兵 請待罪 都承旨孫舜孝啓曰 臣曾爲兵曹佐郞時 例率彭排隊卒 其後 代以正兵 名曰伺候 仍舊帶行 及李克增詳定諸司根隨 以兵曹都摠府衛部將宣傳官率伺候 故不給選上 今以...관련어척후(斥候), 중군(中軍), 병조(兵曹)
고서·고문서(76)
- 1869년 이정병(李正柄)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869년 11월 15일에 이정병이 보성군 송곡면에 있는 논 2마지기를 유학 박아무개에게 방매하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거래가격은 40냥으로 선인흠이 증인과 필집을 겸하고 있다.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원광대학교 박물관
- 1831년 직산현(稷山縣) 준호구(準戶口)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 1828년 직산현(稷山縣) 준호구(準戶口)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호적 | 현소장처예산 한곡 한산이씨 수당 고택
- 금파선생문집(琴坡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교동부(喬桐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8120 B028120 교동부 喬桐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純祖 17年 5月 18日_013 ○吏批, 再政, 以徐鼎輔爲兵曹參判, 李玄升爲刑曹正郞, 韓用大爲南部令, 李鼎秉爲豐川府使, 同義禁單李志淵, 喬桐府使單尹郁烈。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이정병 / 李鼎秉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1759∼1834). 통례원상례가 되어 동궁의 입학을 주관하였다. 병조참지·동부승지·우승지를 지냈다. 풍천부사가 되어 환곡 만석을 경감 조치하였다. 돈령부도정이 되고, 오위도총부부총관에 올랐다. 저서로《금파문집》이 있다.
-
금파집 / 琴坡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이정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6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판본. 1936년 손자인 석영(錫永)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말에 이능윤(李能允)·손후익(孫厚翼)의 발문이 있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소, 권2에 경연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