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적의” 에 대한 검색결과 10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2)

사전(22)

  • 이형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동생이다. 명에 따라 마갈의 진영으로 가 항복하여 이적이세운 계책을 알리며 협조를 구한다. 마갈이 계책을 받아들여 마갈군의 중군에 머문다. 이만영이 패한 척 도망가는 맹달을 쫓자 마갈과 함께 명 진영으로 가 항복을 받아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근대신어 : 물리적(物理的)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9116 물리적 마항 物理的 精神的,物範圍皆彼의所重이오 정신적, 물리적 범위는 모두 저의 중한 바이오 李埰雨 十九世紀歐洲文明進化論 右文館 1908 27 자연과학 몸
    출전十九世紀歐洲文明進化論[右文館] | 계통분류 [과학지식] 자연과학 [예술감각] 몸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중앙아시아(中央亞細亞)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51217 중앙아시아 자항 中央亞細亞 此部落人民은其本이中央亞細亞로브터漂流民이니 이 부락인민은 그 뿌리가 중앙아시아로부터 표류한 오랑캐의 백성이니 兪致衡 憲法 미상 1907 51 자연...
    출전憲法[미상] | 계통분류 [과학지식] 자연지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윤시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대승상이다. 주개의 반역을 알리는 뜻이 그르지 않다고 생각해서 양세충과 함께 병권을 나누어 맡기고 성상을 호위하게 하는 것이 낫다고 아뢴다. 황청일이서울을 지키는 장수로 임명된 뒤 궁성문을 지키되 임금의 어명으로 드나드는 사람 외에는일체의 출입을 단속한다. 동...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근대신어 : 정신적(精神的)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49292 정신적 자항 精神的 精神的,物範圍皆彼의所重이오 정신적, 물리적 범위는 모두 저의 중한 바이오. 李埰雨 十九世紀歐洲文明進化論 右文館 1908 27 精神的: 小林花眠, 新しき...
    출전十九世紀歐洲文明進化論[右文館] | 계통분류 [과학지식] 인문학 [예술감각] 감정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71)

  • 고구려 정벌 공적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4-7 『冊府元龜』 卷357 將帥部 立功10 고구려 고구려 정벌 공적 645년, 668년 정관(貞觀) 19년, 총장(總章) 원년 4236쪽 815쪽 4030쪽 본 기사는 이적이 고구려 정벌에서 여러 성을 격파한 공에 대해 치하 받는 내용을 전하고 있다. 李勣
    권차『冊府元龜』 卷357 將帥部 立功10 | 연도645년, 668년 | 기사해제본 기사는 이적이 고구려 정벌에서 여러 성을 격파한 공에 대해 치하 받는 내용을 전하고 있다.
  • 고구려 신성 공격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4-20 『冊府元龜』 卷366 將帥部 機略6 고구려 고구려 신성 공격 667년 건봉(乾封) 2년 4351쪽 885쪽 4142쪽 본 기사는 당 고종 때인 건봉 2년 고구려 신성 함락에 대한 내용을 전하고 있다. 李勣 …… 乾封二年 爲遼東行軍總管 勣拔高麗...
    권차『冊府元龜』 卷366 將帥部 機略6 | 연도667년 | 기사해제본 기사는 당 고종 때인 건봉 2년 이적의 고구려 신성 함락에 대한 내용을 전하고 있다.
  • 고구려 원정 참전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4-23 『冊府元龜』 卷369 將帥部 攻取2 고구려 고구려 원정 참전 645년 정관(貞觀) 19년 4386쪽 906~907쪽 4175~4176쪽 본 기사는 당 태종 때인 정관 19년(645) 이적이 개모성과 요동성 등 고구려의 성을 함락하는 데 중요한 공적을...
    권차『冊府元龜』 卷369 將帥部 攻取2 | 연도645년 | 기사해제본 기사는 당 태종 때인 정관 19년(645) 이적이 개모성과 요동성 등 고구려의 성을 함락하는 데 중요한 공적을 쌓았음을 전한다.
  • 영국공 개모성 공격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14-17-12 『冊府元龜』 卷985 外臣部 征討4 고구려 영국공 개모성 공격 645년 정관(貞觀) 19년 11570쪽 3949쪽 11404쪽 본 기사는 당 태종 때인 정관 19년(645) 이적이 고구려 개모성을 공격하여 격파한 사실을 전한다. 十九年 四月
    권차『冊府元龜』 卷985 外臣部 征討4 | 연도645년 | 기사해제본 기사는 당 태종 때인 정관 19년(645) 이적이 고구려 개모성을 공격하여 격파한 사실을 전한다.
  • 당 장수 신성 및 16성 공략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14-17-22 『冊府元龜』 卷986 外臣部 征討5 고구려 당 장수 신성 및 16성 공략 667년 건봉(乾封) 2년 11579쪽 3955쪽 11412쪽 건봉 2년(667), 당 장수 이적이 고구려의 신성 및 16성을 공략한 기록이다. 二年九月 李勣拔高麗之新城
    권차『冊府元龜』 卷986 外臣部 征討5 | 연도667년 | 기사해제건봉 2년(667), 당 장수 이적이 고구려의 신성 및 16성을 공략한 기록이다.

신문·잡지(6)

기타자료(3)

  • 당 태종이 주필산 전투에서 승리한 후 3일간의 酺祭를 하사하는 조서(破高麗賜酺詔)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올라서 손바닥 안에서 魯의 봉지를 바라보는 것 같으니, 그 뜻하지 않은 때에 군사를 내어 凶徒가 마침내 흔들렸다. 처음에 하나의 진영이 되어 네 번 군대를 막았으나 이 셋으로 나눠지는 때에 이르러서는 인하여 크게 무너지니, 흐르는 피가 하천에 넘쳐서 푸른 파도가...
    대표표제어당 태종이 주필산 전투에서 승리한 후 3일간의 酺祭를 하사하는 조서(破高麗賜酺詔) | 주제분류외교문서
  • 하고 만여인을 죽이고 그 성을 함락시켰다. 인하여 바다의 요충지에 기대어 군대와 합하니 부여가 이미 항복하였고 다른 40성은 서로 이어서 항복하니 위엄이 요해(遼海)에 떨쳤다. 조서로 인귀는 군사 2만을 거느리고 유인궤와 함께 평양에 주둔하였고 본위대장군(本衛...
    대표표제어남생이 당군에 합류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6년(丙寅/신라 문무왕 6/고구려 보장왕 25/唐 麟德3, 乾封 1/倭 天智 5)
  • 신라 진성왕이 당 소종에게 詔書 두 函을 내린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한 표문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빛이 났고 神筆이 지금까지 아직 젖어 있으니, 寶玉을 伯叔의 나라에 나눠줌을 일찍이 들었으나, 銀鉤를 시골에 하사하심은 보지 못했습니다. 그 詔旨에 이르기를, “반드시 卿을 魯衛에 比하노니 어찌 다시 蕃服과 같으랴.” 하였습니다. 또 大曆 연간(766~779)에...
    대표표제어신라 진성왕이 당 소종에게 詔書 두 函을 내린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한 표문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652년(효종 3)∼1725년(영조 1). 조선 후기 문신·학자 증조는 이개립, 조부는 이휘음이다. 부친 이숭언의 6남 중 5남으로 태어났다. 외조부는 이상백이다. 형으로 이달의·이원의·이수의·이술의가 있고, 동생으로 이첨의가 있다. 서형으로 이철의가 있다. 부인은

  • 이괄의 난 / [정치·법제/정치]

    1624년(인조 2) 정월 이괄이 주동이 되어 일으킨 반란. 이괄이 인조반정 때 공이 컸음에도 불구하고 2등공신으로 책봉되고 더구나 평안병사 겸 부원수로 임명되어 외지에 부임하게 된 데 앙심을 품고 사전에 치밀히 계획해 반란을 일으켰다는 것이 종래의 통설이다. 인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