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재난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
사전(14)
- 이재난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않고 유고(遺稿) 그대로 남아 있는 ≪이재유고≫에서 그 학문의 깊이를 엿볼 수 있다. ≪이재난고≫는 그 엄청난 양뿐만 아니라 실학적인 내용과 함께 한국의 저술사상 최고의 것이라 하겠다. 여기에는 특히 속고 간행시에는 난고 중에서 선집(選輯)한 것도 약간 있지만...연계항목이재난고(이齋亂藁)
- 황이재생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소실되었던 것을 1909년에 다시 지었다. 곳간채는 5칸 규모로서 매우 큰 편이며 바닥에는 모두 마루를 깔아 알곡을 그대로 갈무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가옥 내에는 『이재난고(頤齋亂藁)』 등 문집 50책이 전라북도 유형문화재 제112호로 지정 보존되어 있다.
- 칠정력(七政曆)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리 『이재난고(頤齋亂藁)』에는 1709년과 1710년의 『칠정력』이 시헌력으로 간행되었다고 하여 『조선왕조실록』의 기사와 약간의 차이가 있다. [변천] 『칠정력』이 우리 역사에서 처음 제작된 것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조선 세종대에 제작하였다는 기록이 『세종실...
- 송일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재난고(頤齋全書』(황윤석)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 송일중(1632-1717) 1632(인조 10)-1717(숙종 43). 조선 후기의 문신. 서예에 능하여 초서.예...이칭별칭 문명(文明)| 송재(松齋)
- 단오제(端午祭)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하고 재전(齋殿)에서 청재(淸齋)하였다[『영조실록』 24년 5월 4일].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은 『이재난고(頤齋亂藁)』에서 37세 되던 해인 1765년(영조 41) 단오절 전날부터 다음 날까지 숭릉(崇陵), 즉 현종과 그의 비 명성왕후 단오제의 찬자(贊者)로...동의어속절제(俗節祭) | 관련어단오(端午), 절제(節祭)
기초학문(3)
- 조선후기 의약생활의 변화: 선물경제에서 시장경제로-미암일기, 쇄미록, 이재난고, 흠영의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신동원, 게재일 : 200637358 신동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역사문제연구소 2006 조선후기 의약생활의 변화: 선물경제에서 시장경제로-미암일기, 쇄미록, 이재난고, 흠영의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06
- 正祖代 前半期의 政局動向과 政治勢力의 變化(Ⅱ) - 『頤齋亂藁』‧『盧尙樞日記』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정자, 게재일 : 201663741 김정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조선시대사학회 2016 正祖代 前半期의 政局動向과 政治勢力의 變化(Ⅱ) - 『頤齋亂藁』‧『盧尙樞日記』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16
- 조선후기 천문역산학의 주요 쟁점: 황윤석(1729-1791)의 〈이재난고〉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구만옥, 게재일 : 200922372 구만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과학사학회 2009 조선후기 천문역산학의 주요 쟁점: 황윤석(1729-1791)의 〈이재난고〉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유형논문 | 게재일2009
연구과제(1)
-
조선시대 전라도의 출판문화 연구
창의연구지원시범사업 | 김소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3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1)
-
이재난고 / 頤齋亂藁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이재 황윤석의 유고. 50책 6,000장. 황윤석은 다산정약용보다 1세대쯤 앞서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1829년(순조 29)에 후손 수찬과 당시의 전라도관찰사 조인영에 의하여 간행된 ≪이재유고≫ 12권 7책과 이 유고가 간행된 지 114년 뒤인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