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장곤” 에 대한 검색결과 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0)

사전(3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大東奇聞 海東雜錄 (1474-?) 1474(성종 5)-1519(중종 14). 조선 중기의 문신. ≪명가필보≫에 수록된 글씨.
    이칭별칭 희강(希剛)| 학고(鶴皐), 금헌(琴軒), 금재(琴齋), 우만(寓灣)| 정도(貞度)
  • TD_L14_D_0743 인물 希剛, 鶴臯, 狀貌魁偉, 器度卓犖, 楊水尺, 贊成, 己卯禍, 寓灣病叟 燕山, 中廟初 星山, 巨濟, 咸興, 驪江 洪景舟 D_04_03_71 대동운부군옥 4권 3장 71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4권 3장 7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교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남도 창녕군 대곡면 평지리 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에게 시호를 내린 교지. [내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09호. 이 유품은 1856년(철종 7, 청나라 함풍 6)에 에게 ‘정도...
    연계항목이장곤교지(李長坤敎旨)
  • 금호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대동리 에 있는 조선 말기의 건물. [내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62호. 이 건물은 조선 중종 때 병조판서를 지낸 금헌(琴軒) ()을 배향하고 있는 건물이다.
    연계항목금호재(琴湖齋)
  • 동국고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죽어서는 맺힌 한을 풀기 위해 그 혼령이 한밤중 이병상이 자는 침소에 들어와 잠자리를 같이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또한, 연산군 때 갑자사화로 망명길에 오른 교리 ()이 보성(寶城)을 지나다가 갈증이 심해 우물가에서 물을 긷는 어느 처녀에게 물을 청...

고서·고문서(25)

  • 1844년 문중(門中) 표문(標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서울역사박물관
  • 68575 B068575 동래 東萊 정치행정 中宗實錄 十六年(1521) 十月 중종실록_11610029_007 ○傳于臺諫曰: 事, 觀韓忠招辭, 前年間, 議曰: ‘朝廷信長坤, 長坤若以沐俗事下來于東萊, 則可除去。’ 以此, 可見長坤不附彼輩也。 世應亦不可遞也。”
    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狀啓野人千餘名來屯於方山鎭越邊.
    출처전거『조선왕조실록』 중종실록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정요근 교수
  • ‘果可慮也。’ 柳仁淑佯醉頷首。 河珽等議曰: ‘今聞, 因沐浴, 下東萊。 先除此人, 次擊昆陽郡守蔡忱、昌原府使蔡紹權, 以河珽爲先鋒將、朴英爲右衛將, 東萊縣令安從坦、態川縣監韓琦則臨時脅入, 爲統將, 臣則爲朴英軍官, 令慶尙、全羅兩道兵使起兵, 自草岾至穿川嶺列陣, 以防朝廷之兵。...
    출처전거中宗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5860 B035860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燕山君日記 十二年(1506)八月 연산군일기_11208017_005 ○南海謹理使柳房馳啓: “罪人逃去。” 傳曰: “長坤家, 卽封閉, 其父母、同生、族親囚禁, 遣義禁府郞員純謹者, 與其兄長吉, 措置捕捉, 穿手掌着枷杻而來。”...
    출처전거燕山君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구술자료(3)

  •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쌍근씨의 이야기가 끝나고, 잠시 동안 마련된 술을 한 잔씩 나누고 난 다음 뒷산에 있는 자라바위에 대한 전설을 이야기해 달라고 하자, 제보자는 뒷산에 자라바위가 있고, 앞산에 뱀바위가 있어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데, 분명히 무슨 전설이 있을 상 싶은데 알지 못한다...
    조사일시1980-08-09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 | 제보자이규환
  • 연산군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 이야기에 이어서 계속 했다. 이야기를 구연하는 동안에 노인정에 모여 있던 할아버지들이 하나 둘씩 노인정을 떠났다. 구연이 끝나고 나서, 이야기 내용에 나오는 한자를 직접 써주기도 했는데 글씨가 상당히 좋은 편이다. 다음날 오전에 다시 오면 많은 이야기를 들...
    조사일시1984-07-19 | 조사장소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 제보자이종기
  • ()과 백정의 딸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 얘기에 이어 계속 구연하였으나, 내용상의 구분에 의하여 조사자가 이 이야기를 따로 떼어낸 것이다. 역시 야담책에서 본 것으로 짐작되는데, 앞 이야기에서 고리짝이나 갗바치 이야기가 나왔으므로 기억해 낸 듯하다. 제보자 자신은 ‘이런 얘기가 실렸는지는 모르지만’이라...
    조사일시1983-01-15 | 조사장소경기도 용인군 포곡면 | 제보자홍종은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474(성종 5)∼1519(중종 14). 조선 중기의 문신. 신지 증손, 할아버지는 호겸, 아버지는 승언, 어머니는 이래의 딸이다. 김굉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495년(연산군 1) 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 1502년 알성 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홍문관교리,

  • 연암서원 / 燕巖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후천리에 있었던 서원. 1695년(숙종 2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이승언(李承彦)·()·성안의(成安義)의 덕행과 학문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

  • 나재집 / 懶齋集 [종교·철학/유학]

    편, 기 7편, 대책문 3편, 격문 1편이 실려 있다. 권4에는 잡저 5편 그 가운데 장편의 기행문인 유송도록이 있다. 부록에는 신용개·류순·강혼·정광필·최숙생·김안국·홍언필·이행·경세창··김정국·강중진·성세창 등이 지은 32편의 만사, 2편의 제문이 있다.

  • 기묘제현전 / 己卯諸賢傳 [역사/조선시대사]

    현전≫은 더 많은 인원을 보충한 218인을 다음과 같은 항목으로 분류, 수록하였다. 먼저 8현(八賢)인 정광필(鄭光弼)·안당·()·김정·조광조·기준(奇遵)·김식·신명인(申命仁) 등의 전기를 자세히 기록하였다. 이어 김구(金絿)·한충(韓忠) 등 9인의 유찬(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