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잠” 에 대한 검색결과 5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64)

사전(88)

  • 섬계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인 (, 1660∼1706)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필사연대와 필사자는 알 수 없다. 권두에 오광운‧권도일(權道一)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서지적 사항] 1권 1책. 필사본. 편집체제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61(명종 16)∼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무신. [내용] 자는 원인(原仁). 효령대군(孝寧大君) 보(補)의 7대손이며, 선공시(繕工寺) 감역(監役) 태빈(台賓)의 아들이다. 무과에 급제하여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
    이칭별칭 원인(原仁)
  • TD_L14_D_2559 인물 登第, 蹇滯, 辭嚴, 意新, 用事, 險僻, 所尙, 背馳, 不顯 麗朝 陋室, 忠烈王, 益齋 枯木 D_12_08_02 대동운부군옥 12권 8장 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8장 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7_D_0651 남자 人名, 登第, 淸顯, 壁書禍, 被竄, 振作士氣, 賢德, 晨起, 焚香, 端坐, 忘寢食, 道義, 觀察使 丁未 龍仁 仲久, 靜存齋, 中廟, 李芑, 李滉, 退陶 易 D_08_03_22 대동운부군옥 8권 3...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3장 2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L14_D_0187 之 인물 雞林 淸卿, 吳世才, 林春, 竹林七賢會 D_02_01_172 대동운부군옥 2권 1장 172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2권 1장 17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453)

  • 道中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0510 道中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
    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9 第九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10년_유포면(柳浦面) 1810년 유포면(柳浦面) 第十四堂祀里 9 第九統統首碩 第一戶 牧子軍碩年伍拾貳己卯本慶州父福同祖老職折衝將軍僉知中樞 府事老南曾祖山伊外祖金介石乙本金海妻朴召史年肆拾捌癸未本密陽 父嘉善尙奉祖折衝自弘曾祖厚同外祖劉玉道本江陵女年拾柒...
    연도_면이름1810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十四堂祀里
  • 1 第一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64년_외남면(外南面) 1864년 외남면(外南面) 第十羅海里 1 第一統統首白 第一戶 黃山道驛吏白年肆拾玖丙子本慶州父日三祖貴先曾祖奉己外祖 김次命本김海妻李姓年肆拾捌丁丑本慶州父守福祖春根曾祖華枝外祖 不知子春燁年貳拾玖丙申等辛酉戶口相准 第二戶
    연도_면이름1864년_외남면(外南面) | 면이름외남면(外南面) | 마을이름第十羅海里
  • 26 第二十六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92년_대현면(大峴面) 1792년 대현면(大峴面) 第十四三山里 26 第二十六統統首南 第一戶 忠義李順同故代子岑南年參拾玖甲戌本全州父忠義順同祖忠義英弼曾祖末叱世外祖宋孝範本懷德妻朴姓 年參拾玖甲戌本密陽父世元祖英漢曾祖而儉外祖金千石本金海率女年拾壹壬寅等己酉戶...
    연도_면이름1792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十四三山里
  • 18 第十八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84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840년 상부내면(上府內面) 十五路東里 18 第十八統統首山 第一戶 營物膳軍山年參拾陸乙丑本蔚山父原得祖海孫曾祖日郞外祖朴敏孫本 密陽妻李召史年參拾玖壬戌本慶州父莫得祖海孫曾祖合天外祖李馬不本慶州女 年拾捌癸未等丁酉戶口相准
    연도_면이름1840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十五路東里

기초학문(1)

  • 剡溪 의 丙戌年 上疏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혁기, 게재일 : 2013
    56506 송혁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화연구원 2013 剡溪 의 丙戌年 上疏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16)

  • 오년간이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편에 위을 잇지말나 은 고로 졍쟈의 평 잇지 안을 바ㅣ어 을며 오날 대한은 비록 목젼에 큰 화근이 업듯나 실로 평무가 안인즉 엇지 더욱 경계 바ㅣ 아니리요 향쟈 쳥국에 일이 잇슬에 우리가 누누히 말기를 지금 각국이 대한에 별로 상...
    게재일1902년 4월 30일 | 기사분류논설
  • 東署賊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작일밤에 동셔슝신방 등디에셔 암가가 김한식가에 젹한입야 의복등물을탈취얏갓다더라
    게재일1907년 2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英國大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영국에셔 거월샴십일 동부디방에 큰비가 폭슈야 륜도쳘도가 두시간이나 물에 잠겨 통섭지못얏고 영국상아 신문샤하층지 몰겻셧다더라
    게재일1906년 7월 7일 | 기사분류외국통신
  • 有盜難捉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근일 한셩에 유명 젹당이잇셔 동셔로츌몰되 오셔경찰관리가 능히포획지못다 그 도젹은 담넘어드러가 닥다리와 대문빗장이나 문돌츄잘느 긔계며 방속에셔 사자고 안이자숨소듯 긔계와 쳥강슈등속을가지고 단이고로 어셔던지 봉젹 후에 그최를검샤면 지...
    게재일1907년 1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순 56 백합집-푸른하늘 현숙 57 백합집-백국 서연희 57 백합집-그림자 김...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9

기타자료(6)

  • 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5046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58면 (학과)본과신제도 이;伊 경상북도 대구부 서성정 1정목 105 6회 1928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8770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58면 (학과)본과신제도 이;伊 경상북도 대구부 서성정 1정목 105 6회 1928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일본이 신라에 대반숙녜잠만리(大伴宿萬里)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역사 문헌 고대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고려대학교 박현숙 일본이 신라에 대반숙녜잠만리(大伴宿萬里)를 보내다 교류담당 804년(甲申/신라 애장왕 5/발해 康王 正曆 10/唐 貞元 20/日本 延曆 23) 신라 ...
    대표표제어일본이 신라에 대반숙녜잠만리(大伴宿禰岑萬里)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04년(甲申/신라 애장왕 5/발해 康王 正曆 10/唐 貞元 20/日本 延曆 23)
  • 신라 왕자 천일창(天日槍)이 왜에 귀화하면서 7가지 물건을 가져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播磨國宍粟邑 淡路島出淺邑 是二邑 汝任意居之 時天日槍啓之曰 臣將住處 若垂天恩 聽臣情願地者 臣親歷視諸國 則合于臣心欲被給 乃聽之 於是 天日槍自菟道河 泝之 北入近江國吾名邑住 復更自近江經若狹國 西到但馬國則定住處也 是以 近江國鏡村谷陶人 則天日槍之從人也 故天日槍娶但馬國出嶋人 太...
    대표표제어신라 왕자 천일창(天日槍)이 왜에 귀화하면서 7가지 물건을 가져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B.C.27년(甲午/신라 혁거세거서간 31/고구려 동명성왕 11/漢 河平 2/倭 垂仁 3)
  • 신라 왕자 천일창(天日槍)이 왜에 귀화하면서 7가지 물건을 가져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則合于臣心欲被給 乃聽之 於是 天日槍自菟道河 泝之 北入近江國吾名邑住 復更自近江經若狹國 西到但馬國則定住處也 是以 近江國鏡村谷陶人 則天日槍之從人也 故天日槍娶但馬國出嶋人 太耳女麻多烏 生但馬諸助也 諸助生但馬日楢杵 日楢杵生淸彦 淸彦生田道間守之] (『日本書紀』 6 垂仁紀) 『일...
    대표표제어신라 왕자 천일창(天日槍)이 왜에 귀화하면서 7가지 물건을 가져가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B.C.27년(甲午/신라 혁거세거서간 31/고구려 동명성왕 11/漢 河平 2/倭 垂仁 3)

주제어사전(11)

  • / [역사/조선시대사]

    1561(명종 16)∼1593(선조 26). 조선 중기의 무신. 보 7대손, 태빈의 아들이다. 무과급제하여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도체찰사 정철의 막료로 있었는데, 적개의병장 변사정이 그의 현명함을 듣고 청하자 부장이 되었다. 신상필벌을 강화하고 사졸과 고

  • 이담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종실(?∼1786). 인의 아들, 정조 비 효의왕후가 소생 없이 갑자기 죽자, 홍국영에 의해 효의왕후의 양자로 완풍군·상계군으로 개봉되며 후계자로 부각되었다. 이후 홍국영의 미움을 받아 역모로 몰려 자결하였는데, 홍국영 실세 후, 일가가 모두 강화에 유배

  • 이담지 / [문학/한문학]

    고려후기 죽림고회(竹林高會) 7인중 한 사람인 문인. 좌사(左思) 이중약(李仲若)의 내손(內孫)이다. 가계 및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무인란 이후 임춘(林椿)과 마찬가지로 개경을 벗어나 유락객(流落客)이 되었다는 것으로 보아 중앙에 기반을 둔 귀

  • 이광우 / 李光友 [종교·철학/유학]

    1529(중종 24)∼1619(광해군 11).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참봉 , 어머니는 이계유의 딸이다. 어려서 백부인 이원에게『소학』을 배웠고, 22세 때 조식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저서로는『죽각문집』이 있다.

  • 회암서원 / 晦巖書院 [교육/교육]

    충청남도 예산군 봉산면 봉림리에 있었던 서원. 1709년(숙종 35) 지방유림의 공의로 주희(朱熹)·이담()·이흡(李洽)·조극선(趙克善)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