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일” 에 대한 검색결과 17,32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7,295)

사전(1,034)

  • 이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협(協)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29년 협의 손자 이재묵(李在默)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장복추(張福樞)의 서문과, 권말에 김계선(金繼善)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2권 1...
  • 홍용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67(영조 43)∼1816(순조 16).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염주(鹽州). 자는 정중(正中). 강서 출신. 치항(致恒)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경조(景祖)이고, 아버지는 참봉 ()이며, 어머니는 권대필(權大弼)...
    이칭별칭 정중(正中)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초(寄齋史草)』 『난중잡록(亂中雜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1538-1601) 1538(중종 33)-160...
    이칭별칭 중경(重卿)| 장양(壯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반역자. [내용] 이인좌(李麟佐)의 난의 연루자이다. 일명 호(湖)라고도 한다. 신임사화 이후 실각한 노론이 영조의 즉위를 계기로 집권한 뒤 소론파 김일경(金一鏡)ㆍ목호룡(睦虎龍) 등을 처형하였다. ...
    이칭별칭호(湖)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2∼? 시인. [개설] 본명은 진식(鎭湜). 호는 동원(東園). 평안북도출신. [생애 및 활동사항] 일본 아오야마학원(靑山學院) 중학부를 거쳐 1920년 메이지대학(明治大學) 전문부를 졸업하였다. 한때 휘문중학교 교사를...
    이칭별칭진식(鎭湜)|동원(東園)

논문(1)

고서·고문서(13,923)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요녕성(辽宁省) 철령시(铁岭市) 고무작품공장 연구소 7 7 , 중국정부, 책임, 한국정부, 책임, 어느...
    대표표제어이일 | 성씨
  • 栗谷先生全書 卷之一 賦 120 分殊賦 01_090_030.jpg 分殊賦 仰玄覽乎混淪兮, 俯冥觀乎磅礴。 窮絪縕之化源兮, 極羣彙之至賾。 廓遊心於物初兮, 悟萬殊之一本。 俶太虛之無眹兮, 泯聲臭於混沌。 一生兩而之四兮, 闔與闢其相因。 爰成象而效法兮, 沕藏用而顯仁。 分...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九月惺叟至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060 詩集 卷六 ITKC_MP_0597A_0060_020_1010 九月惺叟至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
    권차명詩集 卷六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栗谷先生全書 卷之二 詩 下 157 復首申謝 02_085_072.jpg 復首申謝 山繞平郊水繞邨, 一區花石散荒園。 重開祖業初營室, 未報君恩却鎖 鎖: 시규1‧초국2‧‧중규2에는 “”, 중규1본부터 “鎖”.門。 天上神仙留彩筆, 雲閒笙鶴下幽軒。 寧論霞鶩生顔色?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栗谷先生全書 卷之二 詩 下 157 復首申謝 02_085_074.jpg 復首申謝 舊業蕭條枕水臯, 唾花眞幸遇仙曹。 一揮灑落雲生筆, 四韻淸新僕命騷。 屋宇含輝動光彩, 江流受鎭靜波濤。 榮加存沒將何報, 喜極還悲淚點袍。 復首申謝 ▶1582년(壬午, 선조 15,...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구술자료(36)

  • 주 대담 예술·체육 작품 현대 A-213 3299 전북 현장녹음자료 1) 주의 학습이력 및 부친 이귀중에 대한 얘기가 녹음되어 있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일주
  • 주 대담 예술·체육 작품 현대 A-214 144 미상 대담조사자료 1) 주의 부친인 이기중의 목푸는 성음과 제자에 관한 얘기가 녹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일주
  • 제 선생 일화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앞에 녹음된 자신의 음성을 들려 주자 흐뭇해 하였다. 이번에는 자신의 할아버지인이일제 선생 이야기를 하겠다고 했다. 발음은 분명했으나 목소리에 힘이 없었다.*
    조사일시1985-05-14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북면 | 제보자이호열
  • 주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주 대담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A-304 3375 미상 대담조사자료 1) 주가 자신의 학습이력에 대하여 증언한 자료이다. 2)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일주
  • 이성근, 주 대담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이성근, 주 대담 예술·체육 작품 현대 A-212 430 광주 대담조사자료 1)이 자료는 이성근 및 홍웅표, 주가 자신의 판소리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성근

기초학문(16)

  • 무명작가의 복원과 문인교사의 글쓰기-()의 생애와 문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윤정, 게재일 : 2016
    63610 조윤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현대문학회 2016 무명작가의 복원과 문인교사의 글쓰기-()의 생애와 문학-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
    유형논문 | 게재일2016
  • 분수론으로 보는 주자의 격물치지설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상돈, 게재일 : 2015
    46241 이상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사연구회 2015 분수론으로 보는 주자의 격물치지설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あめりか物語』にみる文明批判―「市俄古の」を中心に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8
    62838 한국연구재단 한국일본문화학회 2008 『あめりか物語』にみる文明批判―「市俄古の」を中心に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
    유형논문 | 게재일2008
  • 牙山􆩛頭帶에 分布하는 有機物層의 花粉分析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지훈, 게재일 : 2010
    46996 박지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진지리학회 2010 牙山􆩛頭帶에 分布하는 有機物層의 花粉分析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내대일여(內如)의 동거(同居) 모티프와이면(裏面) 의미의 발생 ― 呂赫若의 〈玉蘭花〉⋅龍瑛宗의 〈蓮霧的庭園〉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신민영, 게재일 : 2018
    19312 신민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연구회 2018 내대일여(內如)의 동거(同居) 모티프와이면(裏面) 의미의 발생 ― 呂赫若의 〈玉蘭花〉⋅龍瑛宗의 〈蓮霧的庭園〉을 중심으로 https://www.krm.o
    유형논문 | 게재일2018

신문·잡지(2,038)

  • 죠셔샤 시죵원경 리윤용으로 의졍부 찬졍을 명시다
    게재일1898년 9월 3일 | 기사분류관보
  • 의졍부 찬졍 리죵건 사직 샹소 비지에 직면 문득 병을 칭탁니 병이 무 병인고 병이 과치 안커던 양치 말고 공라 옵시고 젼 부호군 오삼갑등과 유학 죠치룡등 언 샹소 비지에 다 졍부로 품야 쳐결 라 옵시다
    게재일1898년 9월 3일 | 기사분류관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인민의 상하의복은 젼일에 게부 고시로 긔어히 실시케고 아들이 년 폐단을 일졀 엄금케라고 경무쳥에셔 각셔로 신칙얏다더라
    게재일1906년 1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萬里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경부와 경의 량텰도에셔 소용 긔관차 이십여 미국에 마츄엇더니 근일에 도박이되야 그회사에셔 용 쥰비하즁인 경부텰도에쓸 긔관차 단니 속하야 경셩에셔 부지팔시간이면 도착하고 부셔 마관지 긔션을타셔 팔시간이면 도박하고 마관에셔 신호지 구시간이오 ...
    게재일1904년 11월 10일 | 기사분류잡보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강셔군슈 셔창보씨 의관으로 젼임고 졍읍군슈 죠한긔씨 신엿다더라
    게재일1903년 7월 1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247)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7039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同窓會 회원명부 1941―06―30 4면 ; 京城府內 桂洞 77-12 1913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4792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3면 ; 京城府內 桂洞 77-12 1913년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영;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4470 북한 평남 耶稣敎長老會神學校 耶蘇敎長老會神學生名簿表 n.r. 8면 영;永 평안남도 평양 내천면 삼리 고정동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耶稣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준;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4718 일본 山形 山形高等學校 山形高等學校一覽 大正13年度 1924―07―15 113면 준;駿 조선
    학교소재지역山形 | 학교명山形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준;駿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4737 일본 山形 山形高等學校 山形高等學校一覽 大正14年度 1925―10―05 108면 준;駿 조선
    학교소재지역山形 | 학교명山形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33)

  • / [종교·철학/유학]

    1538(중종 33)∼1601(선조 34). 조선 중기의 문신. 1558년(명종 13) 무과에 급제해 경성판관 등을 거쳐 1583년(선조 16) 전라좌수사·경원부사를 지냈다. 지중추부사, 비변사당상, 훈련원지사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는『증보제승방략』이 있다.

  • 영 / [종교·철학/유학]

    1773∼1833. 조선후기의 문신. 부친은 이집두, 어머니는 권세모의 딸이다. 1805년 명릉참봉에 임명된 이후의 관력을 서술하고, 평소 박식하고 재능이 출중하였음을 강조했다.

  • 용사일기 / 龍 [언론·출판]

    저자 이노(1544-1598). 목판본. 책의 구성은 1책 86장 이다. 표제명은 <용사일기 전>이다. 이 책은 서명서의 <용사일기서>, 선조가 백성들에게 내린 <교경상도사민등서>, <용사일기>의 본문이라 할 수 있는 <이송암용사일기>, 이로가 명나라 장수에게 올린

  • 12월 12일 / 十二月 十 [문학/현대문학]

    이상(李箱)이 쓴 중편소설. 1930년 2월부터 12월까지『조선』에 실렸다. 이 작품은 적빈으로 인해 고향과 집을 등지고 이국으로 떠난 주인공이 10여 년 후 얼마간의 재산을 모아 고향으로 돌아오지만, 고향에서의 사업과 집이 다시 잿더미로 변하고 마는 비극적 운명을 다

  • 난후사 / 欄後士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평안도에 설치되었던 특수부대. 1747년(영조 23) 평안병사 제(躋)의 건의로 병영이 있었던 안주(安州)와 인근 100리 이내의 장정 중에서 건장한 자들을 뽑아 편성하였다. 그 규모는 2,000여 인으로 도내의 무술시험에서 우수한 자는 변방의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