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이인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8)
사전(336)
- 이인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역신(逆臣). [개설] 본명은 현좌(玄佐). 본관은 전주(全州). 청주 송면 출신. 할아버지는 관찰사 운징(雲徵)이며, 윤휴(尹?)의 손서(孫壻)이다. 당색이 과격한 소론이었던 그는 영조의 즉...
- 이인좌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영조 때 호서지방에서 난을 일으킨다.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권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언(正言)ㆍ사서(司書)ㆍ필선(弼善)ㆍ장령(掌令)ㆍ수찬(修撰)ㆍ부응교(副應敎)ㆍ보덕(輔德)을 거쳐, 1722년(경종 2)에는 대사간이 되었다. 1724년 전라도관찰사에 이어 1727년(영조 3) 충청도관찰사가 되었는데, 이듬해 이인좌(李麟佐)가 반란을...이칭별칭 숙량(叔良)
- 고응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반란자. [개설]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 난의 주모자이다. 아버지는 수일(守一)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영조가 즉위함에 따라 소론이 실각하자 정희량(鄭希亮)ㆍ이인좌 등...
- 한범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나주토포사(羅州討捕使)로 있다가 영흥부사로 옮겼으며, 1724년 경상좌수사가 되었다.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안성에 모인 적을 무찔러 난을 평정하고 민심을 안정시켰다. 1732년 함경도병마절도사로 부임하였으나, 3년에...이칭별칭 성뢰(聖賚)
고서·고문서(81)
- 李仁佐의 簡札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1738 0897_01 李仁佐의 簡札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장말손 종가, 사회관계, 공동체생활, 서간통고류, 간찰 한자 고문서 SJ1204.JPG 李仁佐의 簡札 簡札 李仁佐 未詳 辛未年 10월 18일 21.5...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장덕필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李仁佐의 簡札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1739 0897_02 李仁佐의 簡札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장말손 종가, 사회관계, 공동체생활, 서간통고류, 간찰 한자 고문서 SJ1204.hwp SJ1204 謹拜 謝上 居雖邇面常濶可謂參啇之隔也 千萬料外忽承 惠亟忙手開讀怳若對...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장덕필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분무녹훈도감의궤(奮武錄勳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728년(영조4) 4월부터 8월까지 이인좌(李麟佐)의 난(亂)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운 오명항(吳命恒) 등 15명의 공신(功臣)을 녹훈(錄勳)한 기록으로, 녹훈도감(錄勳都監)에서 편찬하였다. 이인좌의 난은 영조(英祖) 즉위 이후 정권에서 배제된 소론(少論)과 남인...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개야소도(開也召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352 B017352 개야소도 開也召島 도서 전라북도 忠淸道邑誌 庇仁郡邑誌 舒川郡 牧場 開也召島 牧馬古有今無 關★(氵+厄) 阨 水營屬 成字一防船一隻兵船一隻什物俱代将二人旗牌官十人教師二 人訓導二人火砲教師二人左右捕盗官四人随卒二名元軍九十二名繚舵碇手九名褦櫓九十名출처전거忠淸道邑誌 | 지역분류전라북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정일록(南征日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남정일록(南征日錄)』은 1728년에 발생한 무신난(戊申亂; 李麟佐亂)의 전개와 이를 진압하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기록한 책으로 영조(英祖)의 명(命)에 의해 편찬된 것이다. 책은 영조가 직접 짓고 쓴 어제어필(御製御筆)과, 범례(...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일기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초학문(1)
- 영조의 위기극복 리더십 연구: 이인좌의 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현모, 게재일 : 201024736 박현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010 영조의 위기극복 리더십 연구: 이인좌의 난 사례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유형논문 | 게재일2010
주제어사전(32)
-
이인좌 / 李麟佐 [종교·철학/유학]
?∼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역신. 할아버지는 이운징, 윤휴의 손서이다. 영조의 즉위로 소론이 정계에서 배제되자 정희량·이유익·심유현·박필현·한세홍 등 소론 과격파와 갑술환국 이후 정계에서 물러난 남인들과 공모하여 밀풍군 탄을 추대하고 무력으로 정권쟁탈을 꾀
-
이인좌의 난 / 李麟佐의 亂 [정치·법제/정치]
1728년(영조 4) 3월 정권에서 배제된 소론과 남인의 과격파가 연합해 무력으로 정권탈취를 기도한 사건. 이인좌가 중심이 되었기 때문에 이인좌의 난이라고 하며, 무신년에 일어났기 때문에 무신란이라고도 한다.
-
난리가 / [문학/고전시가]
1728년(영조 4)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쓰여진 작자 미상의 가사. 1책 48장. 국문필사본. 서울을 출발하여 경기도·충청도·경상도·전라도를 거쳐 다시 서울로 돌아오기까지의 과정에서 겪은 군사들에 대한 음식 대접, 무고한 백성들의 희생, 반란군의 대진(對陣) 모
-
정희량 / 鄭希亮 [종교·철학/유학]
?∼1728(영조 4). 조선 후기의 역신. 아버지는 중원. 명문의 자손으로 안음에 거주하면서 부귀를 누리다가 순흥으로 이사하였다. 1728년이인좌·박필현 등과 공모하여, 영조 즉위 후 벼슬에서 밀려난 소론일파의 호응을 얻어 밀풍군 탄을 추대, 왕통을 바로 세워야 한
-
김정운 / 金鼎運 [종교·철학/유학]
1677년(숙종 3)∼1735년(영조 11). 조선 중기의 문신. 조부는 문정공 김경여, 부친은 청주진병마첨절제사를 지낸 통훈대부 김창석, 생부는 청주목사 김명석이다. 호조정랑을 거쳐 합천군수를 역임하였다. 이인좌의 난 때 반란군이 합천, 삼가 등지를 장악하자 의병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