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인상” 에 대한 검색결과 27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8)

사전(5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으며, 문집인 ≪능호집≫의 발문은 김종수(金鍾秀)가 썼다. 凌壺集 丹陵遺稿 丹陵散人遺集 閒靜堂集 江漢集 醇庵集 瓛齋集 夢梧集 阮堂集 手簡(任昌淳 譯...
    이칭별칭 원령(元靈)| 능호관(凌壺觀), 보산자(寶山子)
  • TD_L5_D_0142 讓 인간관계 田租, 租簿, 太子, 太保, 門下侍郞, 判兵部事, 亞相, 判禮部 印觀, 署調, 權守平, 卜章漢, 文克謙, 崔世輔 麗史 D_17_01_14 대동운부군옥 17권 1장 14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1장 1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이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18(광해군 10)∼1671(현종 12). 조선 중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운장(雲長), 호는 남곡(南谷). 인상(獜祥)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통(通)이고, 아버지는 예조참판 경헌(景憲)이며, 어머니는 윤응빙(...
    이칭별칭 운장(雲長)| 남곡(南谷)
  • 이윤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89(숙종 15)∼?.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함평(咸平). 자는 덕중(德仲). 초기(楚奇)의 종손으로, 할아버지는 지성(之星)이고, 아버지는 인상(寅相)이며, 어머니는 최후식(崔後寔)의 딸이다. 1717년(숙종 4...
    이칭별칭 덕중(德仲)
  • 이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56(명종 11)∼1620(광해군 12).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사달(士達). 아버지는 현령 원근(元謹)이며, 어머니는 현감 정희경(鄭熙慶)의 딸이다. 재종숙인감역(監役) 인상(麟祥)에게 입양되었다. ...
    이칭별칭 천구(天衢)

고서·고문서(146)

기초학문(1)

  • 中國民族文化的文化品牌現象硏究-系列爲例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보옥, 게재일 : 2015
    54555 전보옥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사천성 사회과학원 2015 中國民族文化的文化品牌現象硏究-系列爲例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9)

  • 44 성경상 인물들 46 개인전도학 선세은 49 동물회의 57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0
  • 조국근대화를 위한 농촌교육문제 10 비가 온다 3 나촌민 10 이주일의 행정자료 12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8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太醫院副卿 秘書丞尹悳榮 命經理院卿一等 特進官沈相薰 任 肇慶壇守奉官五等 以上五月二十五日 依願免本官 經理院技師李起命 命特進官二等 太醫院卿李重夏 命太醫院卿一等 奎章閣學士尹德榮 任 經理院技師二等 侍從院侍從金圭鎭 任 侍從院侍從九品朴東洙 以上五月二十六日 依願免本官 議政府秘...
    게재일1907년 5월 31일 | 기사분류관보
  • 24 림상준 함흥시 중앙리 3구 36번지 함남인민보사 조경환, 정태훈, 윤영재, 리북명, 장인재, 윤순선, 김윤혁, 리상학, 강경모, 리순남, 고일성, 신득손, 박병엽, 황중석, , 박흥식, 최종환, 주종수, 원동술, 주종식, 권정목, 장지상...
    대표표제어함남인민보_1948_0721_02 | 책임주필림상준
  • 郡守 俵四朗氏の風貌 122 羅津府尹 田口禎憙氏の風貌 123 陸 伊藤春夫 124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7

멀티미디어(59)

  • 18세기의모더니스트_ (1710~1760)_8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차. 선비의 아이러니, 조영석(趙榮祏,1686~1761) 7주차. 대가(大家)정선(鄭歚) 8주차. 18세기의모더니스트, (1710~1760) 9주차. 신선 같은 화원화가 김홍도(1745~1806) 52주차. 김정희, 대중 너머에 있는 아름다움을 찾았던 학자 예술
    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18세기의모더니스트_ (1710~1760)_8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차. 선비의 아이러니, 조영석(趙榮祏,1686~1761) 7주차. 대가(大家)정선(鄭歚) 8주차. 18세기의모더니스트, (1710~1760) 9주차. 신선 같은 화원화가 김홍도(1745~1806) 53주차. 김정희, 대중 너머에 있는 아름다움을 찾았던 학자 예술
    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18세기의모더니스트_ (1710~1760)_8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차. 선비의 아이러니, 조영석(趙榮祏,1686~1761) 7주차. 대가(大家)정선(鄭歚) 8주차. 18세기의모더니스트, (1710~1760) 9주차. 신선 같은 화원화가 김홍도(1745~1806) 54주차. 김정희, 대중 너머에 있는 아름다움을 찾았던 학자 예술
    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18세기의모더니스트_ (1710~1760)_8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차. 선비의 아이러니, 조영석(趙榮祏,1686~1761) 7주차. 대가(大家)정선(鄭歚) 8주차. 18세기의모더니스트, (1710~1760) 9주차. 신선 같은 화원화가 김홍도(1745~1806) 55주차. 김정희, 대중 너머에 있는 아름다움을 찾았던 학자 예술
    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 18세기의모더니스트_ (1710~1760)_8주차_5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차. 선비의 아이러니, 조영석(趙榮祏,1686~1761) 7주차. 대가(大家)정선(鄭歚) 8주차. 18세기의모더니스트, (1710~1760) 9주차. 신선 같은 화원화가 김홍도(1745~1806) 56주차. 김정희, 대중 너머에 있는 아름다움을 찾았던 학자 예술
    강좌제목조선의 서화가 | 강의자류승민

기타자료(2)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0693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3 64면 7. 졸업자;1) 법관양성소 제1회 졸업자 (1895년 11월)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1476 남한 경성 경성법학전문학교 1-08 경성법학전문학교일람 1925 68면 7. 졸업;1) 법관양성소 제1회 졸업자 (1895년 11월)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법학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조선 후기 전각(篆刻) 예술의 보편성과 특수성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성인근 | 경기대학교 | 2023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인화가(1710∼1760). 시·서·화를 갖춘 삼절로 불렸다. 산수화와 글씨 전서·주서 등에 탁월하고, 전각에 능했다. 저서로는《능호집》이 있고, 그림에 〈옥류동〉·〈은선대〉·〈설송도〉 등이 있고, 글씨에〈대사성김식표〉가 있다.

  • 윤제홍 / 尹濟弘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선비화가(1764∼?). 1794년(정조 18) 문과급제 후 대사간에 이르렀다. 산수화에 뛰어났으며 지두화에 능하여 지두화첩들을 남겼다. 정선·심사정·의 화풍을 익혔다. 대표작으로 〈산수인물도〉·〈고사도〉 등이 있다.

  • 심사정 / 沈師正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화가(1707∼1769). 포도를 잘 그렸던 정주 아들이며 익창의 손자이다. 명문 사대부 출신이면서도 과거에 뜻을 두지 않고 그림에 몰두하였다. ·강세황 등과 함께 남종화풍을 유행시키고 뿌리내리게 한 주역이다. 산수화의 대표작으로는 〈강상야박도〉·

  • 이윤영 / 李胤永 [종교·철학/유학]

    서에 뛰어나 의 그림에 화제를 많이 썼다.

  • 임경주 / 任敬周 [종교·철학/유학]

    1718년(숙종 44)∼1745년(영조 21). 조선 후기 유생. 증조는 임승, 조부는 임사원이다. 부친 임적과 모친 윤부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형으로 녹문 임성주가 있다. 부인은 김응복의 딸이다. 18세에는 당시의 문사 황경원··이보행과 벗 원경여 등이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