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이익운” 에 대한 검색결과 1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6)

사전(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청선고(淸選考)』 (1748-1817) 1748(영조 24)-1817(순조 17). 조선 후기의 문신. ≪근묵≫에 수록된 글씨.
    이칭별칭 계수(季受)| 학록(鶴麓)| 정숙(靖肅)
  • 쌍벽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상조(相祚) 형제가 동년동학(同年同學)으로 함께 과거에 급제함에, 정조가 장질을 인견(引見)하고 이 성사(盛事)와 아울러 유성룡의 음덕(陰德)을 기려 제문을 지어 승지 ()으로 하여금 치제(致祭)하게 하자, 그날 즉석에서 이 노래를 지었다고 한다. 내...
  • 구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김충갑(金忠甲)의 시문집. [내용] 2권 2책. 목활자본. 1814년(순조 14) 후손 우원(禹元)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홍의호(洪義浩)의 서와 권말에 한교응(韓敎應)‧김우원(金禹元)의 발이
  • 여와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탄핵하는 소를 올리자 이에 대해 변명하는 사직소이다. 「소후변척소(疏後辨斥疏)」는 이 천주교 신자로 지목된 자기 아들을 살리기 위해 올린 소에 대해 반박하는 글이다. 천주교에 대한 저자의 태도를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서(書) 가운데 영의정...
  • 남경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돌아온 뒤부터는 정범조(丁範祖)ㆍ() 등의 정치참여 권유도 뿌리치고 스스로 은거하였다. 자신을 소강절(邵康節)에 비유하여 영호(影湖)에 지연계당(止淵溪堂)을 지어 생도들을 가르치고, 봄ㆍ가을에는 사우(士友)들과 강회(講會)를 열면서 유유자적하였다. ...
    이칭별칭 중은(仲殷)| 치암(癡菴)

고서·고문서(111)

  • 이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備行中之用 尤感 情 無不知仰喩 大政後則 尊駕必有一番入都之行 可得拜穩耶 餘荒迷不備謹疏 乙丑六月望日 卽弟 孤哀子 再拜定山 政堂 執事 回納 / 李喪人 謝疏上 稽顙 向旣書慰而臨弔 又申之以專伻俯存
    분야문학 | 유형문헌
  • 1835년 유상조(柳相祚) () 시장(諡狀)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보고-시장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시장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1780년 () 소(疏) 초(草)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국왕/왕실-보고-상소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상소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 경주부윤(慶州府尹) 용산서원환안축문(龍山書院還安祝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축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축문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 1793년 () 경주부윤(慶州府尹) 용산서원이안축(龍山書院移安祝)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축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축문 | 현소장처경주 이조 경주최씨‧용산서원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48∼1817). 정조가 영남 22읍에 견휼의 윤음을 내릴 때, 경상도위유사로, 여러 가지 시무책을 건의하였다. 1801년(순조 1) 경기도관찰사 재직 중 주문모와 관련된 천주교신자 18인을 잡아들여 심문한 뒤 그 중 3인을 참형하였다. 벼슬이

  • 영남위유어사봉서 / 嶺南慰諭御使封書 [정치·법제]

    1794년(정조 18). 정조가 을 영남 위유어사로 보내면서 내려준 봉서. 이 봉서에는 으로 하여금 위유하는 윤음을 반포하게 함과 동시에 암행어사와 마찬가지로 백성들의 질고와 수령들의 근만 등을 염찰하는 등 14개 조목으로 수행해야할 임무를 열거하고 있다.

  • 구암집 / 龜巖集 [종교·철학/유학]

    조선전기 학자 김충갑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14년에 간행한 시문집. 2권 2책. 목활자본. 1814년(순조 14) 후손 우원(禹元)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홍의호(洪義浩)의 서와 권말에 한교응(韓敎應)·김우원(金禹元)의 발이 있다. 규장각

  • 쌍벽가 / 雙璧歌 [문학/고전시가]

    )하고 이 성사(盛事)와 아울러 유성룡의 음덕(陰德)을 기려 제문을 지어 승지 ()으로 하여금 치제(致祭)하게 하자, 그날 즉석에서 이 노래를 지었다고 한다. 내용은 제사상에 오른 제물로 시작하여, 자신이 과거에 고생하던 경위, 고진감래(苦盡甘來)의 소회,